
[에너지경제신문 김유승 기자] 중소기업들이 6월 업황 경기전망이 직전 5월보다 나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소기업중앙회가 30일 발표한 ‘2023년 6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5월 15∼22일, 3058개사 대상) 결과에서 6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가 81.1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5월 SBHI 83.8보다 2.7포인트(p) 하락한데다 5월의 전월대비 3.1p 상승률을 이어가지 못하고 한 달만에 꺾인 수치였다. 지난해 6월 SBHI(86.1)와 비교해도 5.0p 감소했다. 제조업(84.0)과 비제조업(79.9) SBHI에서 둘 다 하락했지만, 하락 폭이 제조업(-2.5p)보다 비제조업(-2.8p)이 더 컸다. 비제조업 부문에선 건설업(80.6)의 -0.7p보다 서비스업(79.7)의 -3.3p로 하락수치가 더 높았다. 서비스업종도 5월(83.0)에서 6월 79.7로 한 달 새 -3.3p 내려앉았고, 교육서비스업(-4.4p), 도매및소매업(-4.0p)이 하락세를 주도했다. 반면에 운수업(0.3p), 숙박및음식점업(1.1p)로 상승했다. 전산업 항목별에서 △내수판매(84.6→81.4) △수출(86.9→85.9) △영업이익(81.0→78.2) △자금사정(80.8→78.5)이 1∼3p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중기중앙회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산업에 타격을 받았던 최근 3년간 평균지수와 비교할 경우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경기전반·생산·수출 등 모든 항목에서 0.7∼12.1% 상승세를 보여 2020∼2021년 시기보다는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한편, 4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로 전월대비 0.7%p 나란히 떨어졌다. 중소기업들은 5월 중소기업 경영애로 사항(복수응답)으로 △내수부진(61.2%) △인건비 상승(44.5%) △업체간 과당경쟁(35.6%) △원자재 가격상승(34.3%) △고금리(25.0%) 순으로 지적했다.중기 경기전망지수 23.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