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중소기업계의 8월 업황 전망이 전월에 비해 소폭 호전됐다. 30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3년 8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7월 13~20일, 3062개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에서 8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79.7을 기록하며 직전 7월에 비해 0.6포인트(p) 상승했다. 6월과 7월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소폭 반등한 수치일 뿐 아니라,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도 1.2p 상승한 수치이다. 중소기업건강도지수로도 불리는 SBHI는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전망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많음을 의미하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8월 경기전망은 전월대비 3.5p 하락한 80.6인데 반해, 비제조업은 2.4p 상승한 79.3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88.2로 전월대비 6.4p 상승했으며, 서비스업은 77.4을 기록해 전월대비 1.5p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제조업의 경우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88.6) △가구(72.5) 등 7개 업종은 전월대비 상승한 반면, 의료용물질및의약품(88.9), 자동차및트레일러(80.3), 가죽가방및신발(66.5) 등 15개 업종은 전월대비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8.2) △서비스업(77.4)이 전월대비 상승했다. 전체 산업을 항목별로 보면 △내수판매(78.7) △수출(76.6)은 전월대비 하락한 반면 △영업이익(76.7) △자금사정(78.4)은 상승했다. 고용수준(95.1)은 전월대비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3년간 동월 SBHI의 평균치와 비교해 보면, 2023년 8월의 항목별 SBHI 평균치는 제조업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의 경우, 수출 전망은 악화됐지만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중소기업의경영애로는 △내수부진(61.9%)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인건비 상승(43.7%) △업체간 과당경쟁(33.4%) △원자재 가격상승(31.2%)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지난 6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4%로, 전월대비 0.5%p 상승했으나,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했다. kch0054@ekn.kr중소기업 경기전망 중소기업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 추이. 자료=중소기업중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