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건설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해당 수치가 전체의 15%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근로자공제회가 16일 발표한 ‘분기별 퇴직공제 피공제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 수는 10만986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건설 현장 근로자(74만1698명)의 14.8%에 해당한다. 남성은 9만9836명, 여성은 1만29명으로 각각 4147명, 1068명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이하가 1만6259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2938명(22.1%)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30대는 1401명(7.8%) 증가한 1만9311명, 40대는 1370명(6.6%) 증가한 2만2170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건설업 특성상 남성, 20∼30대 젊은 층을 선호하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 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수는 이전부터도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3월에는 7만7047명 수준이었으나 2021년 3월 8만6836명, 지난해는 9만3404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 비율 또한 2020년 3월 12.9%, 2021년 3월 13.7%, 지난해 3월 14.1%로 확대됐다. 다만 인원수는 최종 집계 시 지연 신고 반영 등으로 변경되기도 해 연도별 단순 비교는 어렵다고 공제회는 설명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장에서 체감하는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이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실제 외국인 근로자 가운데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불법 체류자 규모가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건설근로자공제회도 지난해 말 발간한 ‘건설근로자 수급실태 및 훈련수요 조사’에서 통계청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등의 행정 통계 자료를 토대로 실제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외국인을 43만6000여명으로 추정했다. 특히 업무 강도가 센 기초공사 공정에선 한국인 근로자가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인 채용이 제한된 플랜트 공사에서는 비중이 작고 주택이나 토목 공사 비중이 큰 중소형 건설사는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더 클 수밖에 없다. 한편 건설직 기피 등으로 내국인만으로 인력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건설 현장의 외국인 인력은 향후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daniel1115@ekn.krPYH2023010412060001300_P4 건설현장 외국인 근로자 수가 전체의 15%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한 건설현장 전경.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