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국가채무가 7월 말 현재 1022조원으로 한 달새 14조5000억원 늘었다.올 들어 7월까지 세수는 37조1000억원이 늘었는 데도 지출이 이 보다 더 많아 86조8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면서다. 15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9월호’에 따르면 올해 1∼7월 총 수입은 394조원으로 1년 전보다 37조1000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국세수입은 261조원으로 1년 새 37조3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기업 실적 호조와 고용 회복으로 법인세와 소득세가 동시에 늘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사업이 진행되면서 지출은 더 큰 폭으로 늘었다. 1∼7월 총지출은 450조4000억원으로 72조8000억원 증가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으로 기금 지출이 37조4000억원 늘었고, 예산 지출도 26조5000억원 증가했다. 지출 규모가 수입 규모를 웃돌면서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는 56조3000원 적자를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86조800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다만 적자 폭은 전월(101조9000억원)에 비해 다소 줄었다. 정부는 "추경 사업 지출의 영향으로 수지가 전년 동기 대비 악화했으나 7월 수입 증가·지출 감소로 전월 대비로는 개선됐다"며 "연말까지 계획한 범위 내에서 관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연말 관리재정수지는 110조8000억원(2차 추경 기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7월 말 기준 국가채무(중앙정부 채무 잔액, 지방정부 채무는 연 1회 산출)는 1022조원으로 1년 전보다 14조5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국고채 잔액은 80조원, 주택채 잔액은 2조2천억원, 외평채 잔액은 8천억원 각각 증가했다. 8월 국고채 발행액은 12조1000억원(경쟁입찰 기준 10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5000억원 줄었다. 정부는 "주요국의 통화 긴축 장기화 전망,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당분간 시장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