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봇 시장 현황. 자료=전경련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5일 ‘글로벌 로봇산업과 한국의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로봇산업은 제조·의료·가정·군사 등 산업·서비스용 로봇시장으로 구성돼 있다. 2020년 기준 시장규모는 기준 243억달러(약 33조7900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한국의 로봇시장은 30억달러(약 4조1700억원) 규모로 세계시장의 12.3%에 불과하며, 글로벌 시장이 연간 9% 성장할 때 한국은 2%대의 성장에 그쳐 산업이 침체돼 있는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국은 또 노동자 1만명당 설치된 로봇 대수(로봇 밀도)는 전 세계 1위로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로봇 수요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로봇 밀도는 932대로 전 세계 평균인 126대를 크게 웃돌았으며 일본(390대), 독일(371대), 미국(255대), 중국(246대)과 비교해도 높았다.
다만 이처럼 많은 로봇 수요에도 한국의 로봇산업 경쟁력은 주요국과 비교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로봇산업 종합경쟁력은 미국, 일본, 중국, 독일, 스위스 등 주요 6개국 중 6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로봇 부품 생산 역량을 의미하는 조달 부분에서도 한국은 일본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부품 조달 경쟁력에서 9.8점(10점 만점)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지만, 한국은 6.7점으로 6개국 중 최하위에 그쳤다. 한국은 로봇 감속기의 61%, 서브모터의 65.1%를 일본에서 수입하는 등 핵심 부품의 대일 의존도가 높았다.
기타 필수 품목인 구동부 부품의 국산화율은 15%에 불과했으며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율도 24%에 머물러 한국 첨단산업의 고질적인 약점으로 꼽힌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한편 한국 로봇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분야는 ‘기업 간 연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로봇산업협회 조사 결과 기업별로 전문 영역에서 특화된 뒤 상호 분업하는 경쟁국과 달리 한국은 각 기업이 가치사슬 전(全) 단계를 담당해 비용이 증가하고 경쟁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로봇산업은 제조업 경쟁국들이 미래의 산업 주도권을 위해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분야"라며 "한국은 부품의 수입 의존도 개선,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 내 분업 구조 활성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신산업인 선제적인 규제 혁신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주요국 로봇산업 경쟁력. 사료=전경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