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두 차례 양국 정상회담 이후 경색 국면이었던 한일 관계에 훈풍이 불어 양국 경제 협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무역협회도 ‘제22회 도쿄 한국 상품전시회’·‘한일 미래산업 협력 포럼’을 개최하는 등 민간 차원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은 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관서경제동우회’와 오찬 간담회에서 "그동안 민간 협력 사업은 주로 동경을 중심으로 이뤄져 지역 단위의 협력 추진이 미흡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이어 구 회장은 "이번 간담회가 일본 제2경제권을 대표하는 관서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우리 협회는 1948년 첫 해외지부를 오사카에 설립하는 등 관서 지역과 각별한 인연이 있다"며 "한일 경제계를 대표하는 무역협회와 관서 경제동우회가 긴밀히 협력해 양국의 공동 이익과 발전을 위해 함께 나아가기 바란다"고 강조했다.관서경제동우회는 종전 직후 일본 경제의 재건을 위해 당시 중견기업 83명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단체다. 현재는 관서 경제연합회, 오사카 상공회의소와 함께 관서지역 3대 경제단체 중 하나로 현재 850여 명의 기업인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이날 간담회에는 카쿠모토 케이지 대표간사, 미야베 요시유키 위원장, 후지오카 유카 위원장 대행, 카네다 나오키 회장, 히로세 시게오 사무국장이 참석했다.카쿠모토 케이지 대표 간사는 환영사에서 "관서 지역의 무역은 일본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와의 무역 비중이 매우 높다"면서 "2020년 기준 한국은 관서지역 무역의 약 5.6%를 차지하는 제4위 무역 상대국이고 약 80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고 언급했다.이어 그는 "관서지역은 리튬 이온 등 이차전지 산업 개발 및 생산 거점인 만큼 한국 기업과의 공급망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면서 "양국의 미래 지향적 관계를 위해 무역협회와 협력 확대로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이날 양 기관은 올해 8월 관서 경제동우회 방한 시 교류 협력 확대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무협은 "한일 기업인의 상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기업인 교류를 확대할 것"이라며 "양국 간 무역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lsj@ekn.kr기시다 후미오 총리 간담회에 참석하는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