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넥슨 사옥 전경. |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올해 1분기 넥슨이 분기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국내 게임시장에서 독주체제를 굳히고 있다. 넥슨의 이러한 성장세는 안정적인 파워 지식재산권(IP) 성과에 더해 플랫폼과 장르적 다양화 시도에 따른 효과로 분석된다.
◇ PC게임 흥행·중국 매출 상승
15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넥슨의 1분기 매출은 1조1920억원으로 2N(엔씨소프트·넷마블)의 합산액을 넘어섰으며, 영업이익(5071억원)도 2N과 2K(카카오게임즈·크래프톤)를 모두 합한 금액보다 높았다. 국내 게임사 빅5(3N·2K) 중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상승한 곳은 넥슨이 유일했다.
넥슨의 이러한 호실적의 배경은 PC 부문 매출과 중국 등 글로벌 매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넥슨의 1분기 PC게임 매출은 894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7% 늘었다. 특히 주력 매출원인 ‘피파온라인4’가 실적을 견인했다. 넥슨의 PC게임 매출 비중은 전체의 74.4%를 차지한다.
지역별 고른 매출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북미 유럽은 10%, 동남아 등 기타 지역에서도 지난해보다 24% 성장했다. 특히 중국 매출은 같은 기간 45% 성장한 4138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매출 역시 PC게임인 ‘던전앤파이터’가 이끌었다. 피파4도 중국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 키워드는 장르·플랫폼 다변화
모바일, 또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등 한가지 플랫폼이나 장르에 집중한 게임사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실적 개선을 위해 게임사들은 신작 출시에 공을 들이는데 이마저도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이어져 수익성은 더욱 악화했다.
반면, 넥슨은 지난해부터 콘셉트·장르적 다양화와 플랫폼 확장 등 새로운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오는 6월 정식 출시하는 넥슨의 서브 브랜드 민트로켓의 ‘데이브 더 다이브’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말 스팀 얼리엑세스(미리해보기)로 첫선을 보인 이 게임은 독특한 콘셉트로 97%의 스팀 이용자에게 ‘압도적 긍정’ 평가를 받는 등 인기를 끌었다.
모바일에서는 서브컬처 장르의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블루 아카이브’가 국내를 넘어 서브컬쳐 본고장인 일본 시장에서까지 호평을 받았다. 중국에서도 사전예약자 200만명을 돌파하며 글로벌 흥행을 예고했다.
올해도 넥슨의 이 같은 다양화 기조는 계속된다. 모바일에서는 지난 3월 출시한 ‘프라시아 전기’가 최고 매출 상위권을 지키고 있으며, 오는 19일에는 PC 1인칭 슈팅 게임(FPS) ‘베일드 엑스퍼트’가 얼리엑세스로 출시된다. 또 연내 PC·콘솔 플랫폼으로 루트 슈터 장르 ‘퍼스트 디센던트’를 선보인다.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넥슨의 실적 독주는 기존 IP 파워의 중요성과 글로벌 흥행작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2분기부터 모바일, PC·콘솔 플랫폼 신작들이 쏟아져 나올 예정으로 이 같은 성장세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
▲PC 게임 ‘피파온라인4’(위)와 ‘던전앤파이터’ 이미지. |
sojin@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