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데이터센터 지방 이전 등 에너지 수요 분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순 인센티브 제공을 넘어 지역에 산업 생태계와 주거 여건 개선 등 전방위적인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정치권과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국민의힘은 이같은 내용을 당론으로 채택해 지방소멸 방지와 국가균형발전의 밑바탕이 되도록 당론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소장은 한무경 국민의힘 국회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당 간사)과 에너지경제신문이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 개최한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 필요성과 과제 세미나’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송인호 소장은 "단순히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기업과 데이터센터가 지방으로 이전하는 게 아닌 지역의 서비스업 육성 등 여러 산업과 연계를 이끌어야 에너지 수요 분산이 성공할 수 있다"면서도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대형 산업 시설의 비수도권 이전을 위한 인센티브 도입, 시설 부담금 할인, 예비전력요금 일부 면제를 고려하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인센티브만으로는 데이터센터 유치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지방 이전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송 소장은 "우리나라 산업 재편은 이미 경제적으로 우월한 지역을 중심으로 다각화를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지역들도 산업 다각화 방향으로 지역 발전을 시도하고 있으나 제조업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며 "갑작스럽게 신산업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무리한 투자를 하기보다는 산업을 디지털시대에 맞게 업그레이드 하면서 점진적으로 외부의 자원을 유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박상희 산업통상자원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은 구체적인 정책도 제시했다. 박상희 과장은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안이 국회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계통영향평가를 통해 수도권에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을 거부할 수 있다"며 "정부는 수도권 기업이 대형발전소가 있는 지방으로 이전하도록 맞춤형 입지 공급과 정주여건 개선, 재정·세제 혜택 등 범부처 추진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전 기업에 전기요금의 할인 등 지역 산업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센터는 디지털경제 핵심이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면서 송·배전망 등 전력 인프라 추가 건설이 부담되고, 계통 혼잡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면서 "데이터센터의 적기 건설,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전력 공급이 풍부하며 계통 접속이 원활한 지역으로 입지를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날 세미나에는 집권 국민의힘의 김기현 당대표, 윤재옥 원내대표, 박대출 정책위의장 등 이른바 신 당 3역 등이 축사해 화제를 모았다. 특히 국민의힘은 이 자리에서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당론으로 채택하기로 했다.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전력 소비가 많은 기업의 지방 이전을 통해 소멸 위기에 처해 있는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등 국가균형발전 차원의 토론과 의견이 국민의힘 당론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한무경 의원은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은 수도권에 집중된 전기 다소비 기업의 지방 이전을 유도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 경제 활성화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js@ekn.kr한무경 국민의힘 국회의원, 임정효 에너지경제신문 사장 등이 23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 필요성과 과제’ 세미나에 참석,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호정 고려대학교 교수, 송인호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 조홍종 단국대학교 교수, 한무경 의원,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임정효 에너지경제신문 사장, 박상희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 임은선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유재국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손성호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사진=송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