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윤호

kyh81@ekn.kr

김윤호기자 기사모음




삼성 ‘반등 본격화’ vs. LG ‘부진 장기화’…전자 빅2 희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2 18:30

삼성전자·LG전자 3분기 실적 전망 대조적

삼성, 10조원대 영업익 재진입 기대감 고조

LG, 美관세·中 경쟁 이중압박 TV적자 지속

삼성전자 서초사옥. 에너지경제DB.

▲삼성전자 서초사옥. 에너지경제DB.

국내 전자업계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3분기 실적 전망이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1년여 만에 10조원대 영업이익 달성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반면, LG전자는 가전 수요 둔화와 관세·물류비 부담, 중국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 등 악재가 겹치며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84조1312억원, 영업이익 10조141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4%, 10.4%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가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한다면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의 기록이 된다.


2분기 '바닥'을 찍고 3분기 반등하는 흐름이 예상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 4조676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5.23%나 줄어든 수치다.


실적 회복의 주된 요인은 반도체(DS) 부문의 선전이다. 범용 메모리 가격이 상승한 데다, 부진했던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수익 개선이 기대된다. 파운드리 사업 역시 수주 확대에 따라 적자 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의 호실적도 성장세를 뒷받침한다. 3분기 MX 사업부의 영업이익은 3조~3조4000억원으로 예상되며, 전년 동기(2조8200억원) 대비 최대 20%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성과는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 Z폴드7·플립7'의 흥행 효과 덕분이다. 지난 7월 말 출시된 두 제품은 국내 사전판매에서 시리즈 역대 최다인 104만대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도 정식 판매 첫 주 주문량이 전작 대비 25% 이상 늘었으며, 인도 시장에서는 출시 48시간 만에 21만대가 팔리는 등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MX사업부는 올 상반기에도 '갤럭시 S25' 시리즈 흥행을 바탕으로 7조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2021년 말 무선사업부에서 MX사업부로 개편된 이후 상반기 기준 최대 실적이다. 여기에 폴더블폰까지 판매 호조를 이어가면서 삼성전자 실적을 이끄는 '효자 사업부'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 Z폴드7 판매량이 예상치를 웃돌아 디스플레이와 MX사업부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며 “연말까지 이익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반면 LG전자는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부진이 예상된다. LG전자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21조2278억원, 영업이익 600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3%, 20.1% 감소한 수치다. 회사는 2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46% 급감한 영업이익을 기록한 바 있다.


부진의 원인으로는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관세 부담, 물류비 상승, 중국 제조사의 저가 공세 등이 꼽힌다. 이 같은 복합 악재는 특히 TV를 담당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솔루션(MS) 사업본부에 직격탄이 됐다. MS사업본부는 2분기 191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번 분기에도 반등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박상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확대 등으로 MS사업본부는 이번 분기에도 적자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전장(VS) 사업본부는 긍정적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황지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VS사업본부는 수익성 높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수주 잔고의 매출 전환이 이어져 역대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을 앞세워 실적 회복세를 본격화하는 반면, LG전자는 TV 부문의 부진을 전장 사업 성장으로 얼마나 만회하느냐가 향후 실적 반전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