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이번 달 미국 소비자신뢰지수가 5개월 만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11월 주택 거래량도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가 인용한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는 대표적 경제 선행지표 중 하나인 소비자신뢰지수가 12월에 110.7을 기록, 11월 101.00보다 올라갔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7월 114.00 이후 최고치이며, 전월 대비 상승 폭은 9.7로 2021년 3월(19.7) 이후 최대이다.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04.0을 넘어선 것이기도 하다.현재 사업·노동시장 상황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반영하는 지수는 지난달 136.5에서 이번 달 148.5로 올랐고, 향후 6개월간의 소득·사업·노동시장 전망 지수는 지난달 77.4에서 85.6으로 올라갔다.12개월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전월 5.7%에서 5.6%로 하락, 2020년 10월(5.6%)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는 가운데 향후 6개월 안에 자동차와 주요 가전제품 구매 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늘어났고, 휴가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3년 만에 가장 많았다.향후 6개월 이내에 주택 구매 의향이 있다는 비율은 8월 이후 최고였다.일자리가 충분한지 묻는 ‘노동시장 편차’ 지수는 11월 23.0에서 27.5로 올라갔다. 이러한 상승 폭은 지난해 초 이후 최대이며, 실업률이 10월 3.9%에서 11월 3.7% 내려갔다고 밝힌 정부 공식 통계와 유사한 흐름이다.로이터는 주식시장 강세,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 휘발유 가격 하락 등이 소비자신뢰지수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봤다.콘퍼런스보드의 데이나 피터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달 소비자신뢰지수 상승에 대해 "현 사업 상황, 구직 가능성에 대한 더욱 긍정적인 평가와 단기적인 사업·노동시장·소득에 대한 덜 비관적인 전망을 반영한다"고 말했다.이어 지정학적 충돌을 비롯해 정치·금리에 대한 우려가 모두 완화된 가운데, 인플레이션 전망 개선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최우선 고려사항은 여전히 물가라고 설명했다.미국의 주택 거래량도 지난달 소폭 회복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11월 기존주택 판매가 전월 대비 0.8% 증가, 계절조정 기준 382만 채(연율)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7.3% 낮은 수치지만, 전월 대비로는 5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마감한 것이다.씨티그룹의 베로니카 클라크 이코노미스트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더욱 비둘기(통화 완화 선호)파적 입장을 보이면서 모기지 금리가 더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면서 "내년 봄 성수기 등에 주택 가격이 추가로 오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한편,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불확실한 인플레이션 전망을 이유로 내년 6월까지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들은 최근 업데이트된 미국 경제 관련 보고서에서 향후 몇 차례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고집스럽게 변화가 없을 수 있으며, 연준은 많은 사람이 예상하는 것보다 늦게까지 금리 인하를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또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계속 상승하면서 향후 2개월 동안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더 오르고, 6개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인플레이션율이 내년 1분기에는 점차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미국 소비자들이 물건을 고르는 모습(사진=AP/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