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탄(사진=AP/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하자는 목표가 달성되지 못할 것이란 경고가 커지는 가운데 지구온난화 주범으로 꼽히는 석탄에 대한 세계 은행들의 자금조달 규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산하 에너지조사기관 BNEF에 따르면 화석연료 프로젝트를 위해 지난해 세계에서 조달된 모든 자금 중에서 은행들의 석탄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규모가 약 1200억달러(약 195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약 13%의 비중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2040년대까지 이 비중이 1%로 축소되어야 한다고 BNEF는 지적했다.
국가별 자금액을 살펴보면 중국 은행들이 지난해 석탄 PF를 위해 930억달러를 조달했고 미국이 100억 달러로 뒤를 이었다. 인도와 독일이 30억달러로 공동 3위를 차지했다.
또 조달액 기준 상위 10위 은행은 모두 중국이 차지했으며 중국 대형 국유은행인 공상은행이 1위로 올랐다.
그러나 올해 석탄 수요가 작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전망된 만큼 석탄 PF 규모 또한 전년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글로벌 석탄 소비가 85억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또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석탄 생산량은 45억 톤으로 신기록을 세웠는데 올해는 전년대비 약 3.5% 높은 상황이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서 지구의 온도가 7년 내로 목표치인 ‘1.5도’ 상승 폭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이자 석탄소비국인 중국은 ‘석탄 금융’을 여전히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국제기구인 글로벌 탄소 프로젝트(GCP)가 이달 초 발표한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로 지구 온도가 상승해 2030년 이내에 1.5도 목표를 초과할 가능성이 50%인 것으로 분석했다.
BNEF의 트리나 화이트 지속가능성 금융 애널리스트는 "어디서든지 석탄을 태우는 것은 우리의 기후 목표에 중대한 위협"이라며 "은행들은 일정을 가속화하여 석탄에 대한 자금조달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해 메커니즘을 개발하고 이를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세계 은행들은 석탄에 대한 자금을 지원하는 것도 모자라 청정에너지 지출엔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NEF가 은행 100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은행들의 화석연료와 저탄소 프로젝트의 평균 지출 비율이 1대 0.73으로 분석됐다. 이는 2021년 비율인 1대 0.75보다 더 낮으며 BNEF는 기후대응을 위해 해당 비율이 2030년까지 1대 4로 급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 에너지 분야(저탄소·화석연료 모두 포함)에 조달했던 금액 기준 상위 10위 은행 중에서 JP모건체이스(1대 0.8), 뱅크오브아메리카(1대 1), BNP 파리바(1대 1.4) 등 3곳만 평균을 웃돌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웰스파고와 캐나다 RBC가 1대 0.4 비율로 최하위를 기록했고 씨티그룹, MUFG, 미즈호, 중신증권(CITIC), 공상은행은 비율이 1대 0.6 이하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중신증권, 공상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은행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금융사들의 연합체인 유엔 산하 넷제로은행연합(NZBA)에 모두 가입했다는 부분에 있다. NZBA 가입사들은 탄소중립을 선언했지만 실제론 청정에너지보다 화석연료에 자금을 더 많이 조달하는 상황인 셈이다.
블룸버그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최악의 결과를 막겠다는 세계 은행들의 약속에 진전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일각에선 석탄 수요가 올해 정점을 찍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 만큼 앞으로 상황이 개선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석탄 수출강국인 호주 산업과학자원부는 최근 발표한 분기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발전용 석탄 수입이 올해 사상 최대인 3억 200만톤에서 내년 2억 2100만톤으로 급감할 것으로 내다봤고 IEA는 글로벌 석탄 소비가 내년부터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