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LG에너지솔루션, 회사채 발행…8000억원 규모

7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실시…글로벌 생산시설 투자 등에 활용 LG에너지솔루션이 대규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국내외 생산력 확대를 위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회사채 발행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이 원화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두번째다. 이번 회사채는 2·3·5·7년물로 구성됐다. 발행 신고금액은 총 8000억원 규모다. 7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다. 결과에 따라 증액 발행을 검토할 계획으로, 발행가액과 확정 이자율 등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생산 관련 설비투자에 10조9000억원을 집행했다. 올해도 유사한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방침이다. 현재 북미에서만 △제너럴모터스(GM) 1~3 합작공장 △스텔란티스·혼다·현대차 합작공장 △미시간과 애리조나 원통형·에너지저장장치(ESS) 단독공장 등 8개의 생산시설을 운영·건설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우수한 사업 경쟁력을 인정 받아 한국신용평가·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AA0(안정적)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휴비스, 지난해 영업손실 716억원…전년비 13.7% 개선

휴비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9277억원·영업손실 716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9.2%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13.7% 개선됐다. 당기순손실은 1080억원으로 같은 기간 32.5% 악화됐다. 휴비스 관계자는 “유럽경기 둔화 및 중국 경제 회복 부진의 영향"이라며 “영업손실로 설비 및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1회성 구조조정 비용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HD현대, 설 앞두고 협력사 대금 조기 지급…4200억원 규모

조선·건설기계·HD현대일렉트릭·HD현대마린솔루션, 상생 경영…“안정적 경영환경 조성에 도움되길" HD현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상생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HD현대는 △조선 부문 3개사 △건설기계 부문 3개사 △HD현대일렉트릭 △HD현대마린솔루션이 협력사에 자재대금 4243억 원을 조기지급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HD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현대삼호중공업은 2199억원, HD현대사이트솔루션·HD현대인프라코어·HD현대건설기계는 1698억원을 지급한다. HD현대일렉트릭과 HD현대마린솔루션은 각각 263억·83억원을 지급한다. 조선 부문 3사는 앞서 260곳에 달하는 협력사와 '2024년 HD현대 통합협의회 신년회'를 통해 새해 산업전망과 사업계획 및 비전도 공유했다. 건설기계 3사는 지난해 1월부터 한국생산성본부(KPC)와 '공급망 ESG경영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해 10월 협력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비투자 자금지원 제도'를 신설했다. 지난해의 경우 8개사를 대상으로 28억원의 자금을 3년간 무이자로 지원한 바 있다. HD현대 관계자는 “협력사들의 안정적인 경영 환경 조성과 유동성 확보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동반성장을 위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SK아이이테크놀로지, 지난해 영업이익 320억원…전년비 흑자전환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지난해 매출 6496억원·영업이익 320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8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800억원 이상 늘어나면서 흑자전환했다. 당기순이익은 804억원으로 같은 기간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725억원·269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에쓰오일, 지난해 영업익 1조4186억원…전년비 58.3%↓

국제유가 변동 따른 제품 판가 하락·대규모 정기보수…석유화학 실적 개선·윤활부문 수익성 견조 에쓰오일은 지난해 매출 35조7272억원·영업이익 1조4186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5.8%, 영업이익은 58.3% 하락했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판가가 낮아진 탓이다. 이 중 정유부문의 영업이익은 3991억원으로 집계됐다. 대규모 정기보수와 정제마진 감소가 발목을 잡은 셈이다. 석유화학부문은 2037억원을 달성하는 등 실적이 개선됐다. 윤활부문(8157억원)은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9982억원을 '샤힌 프로젝트'에 투입하는 등 석유화학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주주들에 대한 배당 및 재무건전성 강화 재원으로도 활용한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조8304억원·76억원으로 나타났다. 정유부문은 매출 7조7818억원·영업손실 2657억원을 냈다.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1조2123억원·영업이익 470억원을 시현했다. 윤활부문은 매출 8363억원·영업이익 2262억원을 달성했다. 에쓰오일은 올해 아시아 지역 정제마진이 평년 대비 높은 수준으로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재고가 낮고 수요 성장이 더해진다는 논리다. 석유화학의 경우 파라자일렌(PX)와 벤젠의 수급밸런스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PP)·폴리올레핀(PO) 시장은 신규 증설에 따른 하방압력이 이어지겠으나, 중국 경기 회복에 따른 점진적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견조하게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규 설비 증설이 제한적이고 고품질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친환경 성장을 목표로 탈탄소 로드맵을 추진 중"이라며 “샤힌 프로젝트는 2026년 상반기 기계적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에코프로, 북미서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사업 추진

서바 솔루션즈와 MOU 체결…IRA 대응력 강화·'클로즈드 루프 시스템' 현지 진출 모색 에코프로가 미국 서바 솔루션즈와 손잡고 북미 지역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나선다. 1일 에코프로에 따르면 이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 및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확대를 위함이다. 서바 솔루션즈는 스크랩 및 폐배터리에서 니켈 등 주요 광물을 추출하는 기업이다. 일본 종합상사 마루베니로부터 5000만달러 투자도 유치했다. 에코프로는 서바 솔루션즈의 현지 네트워크를 토대로 경쟁력 있는 폐배터리 등의 스크랩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IRA는 급등한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북미산 생산품에 세액공제 및 보조금 혜택을 주는 조치이다. 2차전지 배터리 및 생산 공정과 관련해서는 핵심 광물 요건(일정 비율 이상 북미 혹은 미국 FTA 체결국 내 생산) 및 배터리 부품 요건(일정 비율 이상 북미 내에서 제조 및 조립된 배터리) 등이 있다. 양사는 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미래 전략을 협의하고 추후 세부적인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제이 와고 서바 솔루션즈 최고상업책임자(CCO)는 “재활용은 가치 사슬의 핵심 요소로 전기차 배터리에서 순환 경제를 창출할 것"이라며 “에코프로와의 협력을 통해 공급망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회림 에코프로 경영전략실장은 “서바 솔루션즈의 프리미엄 재활용 관련 노하우를 통해 배터리 재활용부터 양극재 생산까지 아우르는 에코프로의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의 북미 진출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정부, SMR 상용화·5세대 전투기용 코어엔진 개발 박차…2030년 목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국가전략기술 R&D 임무 로드맵 발표 6G 기반 초연결 네트워크·인간 수준 자율형 로봇·산업제어시스템 보안관리 자립화 포함 정부가 미래 먹거리 육성을 위한 의지를 표명했다. 2030년까지 첨단 분야 기술력을 향상시키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가 △차세대 원자력 △우주항공 △차세대통신 △첨단로봇 △사이버보안을 비롯한 5개 분야의 임무 중심 전략 로드맵을 수립·의결했다고 1일 밝혔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수로형 소형모듈원자로(SMR)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기종 대형 원전 대비 제작 기간을 단축한 제조 기술 개발 등 조기 상용화도 추진한다. 고온가스로·소듐냉각고속로·용융염 원자로를 비롯한 차세대 원자로 핵심기술 및 맞춤형 연료 기술도 확보한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전주기 기술 확보를 목표로 처분 및 부지평가 기술 확보도 지원한다. 우주항공 및 해양 분야의 경우 차세대 발사체 중심이 될 대형 다단 연소 사이클 엔진 기술을 포함한 5개 중점기술이 꼽혔다. 정부는 25㎝ 크기의 물체를 분간 가능한 합성개구경레이더(SAR) 등 위성 탑재체 핵심부품을 자립화한다는 계획이다. 1.8t급 달 착륙선 개발에 필요한 연착륙 기술도 확보한다. 4.5~5세대 전투기에 탑재될 코어엔진도 만든다는 구상이다. 미래 영공안보의 핵심이 될 6세대 전투기용 엔진 핵심기술도 선행 개발한다. 해양자원 탐사 및 채굴기술 확보도 지원한다. 글로벌 6G 시장 선도를 위해 표준특허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2026년까지 현재 대비 50배 빠른 속도(초당 1테라비트)와 지연시간을 10분의 1로 줄이는 핵심기술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통신 분야 공급망을 강화하고 6G 핵심부품 국산화율도 높인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악천후·장애물을 만나도 우회경로를 찾는 '인간 수준 자율형 로봇'을 위한 기술도 개발한다. 사이버보안 분야에서는 주요국이 의무화를 추진 중인 '소프트웨어 구성 명세서(SBOM)' 체계 등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부터 사이버보안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양자 내성 암호 등 기존 암호체계 무력화에 대응하는 기술도 보유한다는 방침이다. 국가 기반 시설 대상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제어시스템 보안관리 자립화도 추진한다. 특별위원회는 AI반도체 활용·K-클라우드·무기발광 디스플레이·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후보 사업 4건도 선정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SK케미칼, 美 의료 패키징 시장 공략 박차

'MD&M 2024'서 순환재활용 솔루션 공개…패커 손잡고 입지 강화 모색 SK케미칼이 순환재활용 솔루션을 앞세워 미국 의료 패키징 시장을 공략을 가속화한다. SK케미칼은 오는 6일부터 사흘간 미국 애너하임에서 열리는 의료용품 전시회 'MD&M 2024'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이는 미국에서 개최되는 의료 기기 및 제조 산업을 위한 주요 전시회 중 하나로, 의료 기기 디자인·제조와 관련된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는 장이다. SK케미칼은 마스크 쉴드와 의료용품 보관용기 등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패키징에 적용해왔던 코폴리에스터 뿐 아니라 스카이펫(SKYPET) CR·에코트리아 CR도 함께 선보인다. 미국 의료용 패키징 기업 패커와의 협력도 강화한다. 의료기기 업계에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요를 공략하기 위함이다. 패커는 전시장에 SK케미칼의 소재가 적용된 제품을 영상을 통해 소개한다. SK케미칼 부스에서는 소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뤄지는 형태의 협업이 진행된다. 양사는 스카이펫 CR·에코트리아 시리즈 등 재활용 원료를 기반으로 한 제품도 개발할 예정이다. 만성 질환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로 인해 의료 용품 시장이 성장하면서 의료용 패키징 시장도 함께 커지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밴티지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에 244억3000만달러(약 32조8200억원) 규모였던 의료 패키징 시장은 2030년 395억3000만달러(약 53조11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제이슨 에켈 패커 마케팅 부사장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재활용 소재가 포함된 소재를 공급하는 SK케미칼와의 협업을 더욱 강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응수 SK케미칼 그린소재사업본부장은 “이번 협업이 의료 패키징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기점이 될 것"이라며 “의료 패키징 분야에 재활용 소재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더욱더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코오롱인더스트리, 지난해 영업익 1574억원…전년비 35.1%↓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매출 5조612억원·영업이익 1574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이번 공시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15% 이상 변경 공시 조치에 따른 것이다. 매출은 전년 대비 5.7%, 영업이익은 35.1%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타이어코드 수요 위축과 전방산업 침체로 필름사업 적자가 지속된 탓이다. 당기순이익은 341억원으로 같은 기간 82.0% 줄었다. 이자비용이 불어나고 필름사업에서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까닭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올해 아라미드 증설분의 본격 가동과 아라미드 펄프·PMR 증설 완료 및 패션부문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에 힘입어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spero1225@ekn.kr코오롱 서울 마곡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LG화학, 지난해 영업익 2조5292억원…전년비 15.1%↓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LG화학은 지난해 매출 55조2498억원·영업이익 2조5292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8.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5.1%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3조1348억원·2474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8.2% 개선됐다.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한 LG화학의 지난해 매출은 약 26조6000억원이다. LG화학은 올해 매출 목표를 전년 대비 5% 증가한 27조8000억원으로 설정했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글로벌 수요 둔화로 석유화학 산업의 시황 악화가 지속됐다"며 "전기차 수요에 대한 시장 우려와 함께 리튬을 비롯한 메탈값 급락이 매출과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 외부 변수에 따른 변동성이 극심했던 한 해였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도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및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를 비롯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3대 신성장동력 육성에 있어 실질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의 변곡점이 되는 해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여기에는 △석유화학 부문 지역 다각화 전략 및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사업 육성 본격화 △첨단소재 부문 고객 프로젝트 다변화를 통한 양극재 출하 물량 증가 △AVEO를 중심으로 글로벌 임상 개발 박차(생명과학 부문) 등이 포함됐다. spero1225@ekn.krLG화학 LG화학 대산공장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