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에코프로, 실적 하락에도 성장 기반 구축 박차

전기차 시장이 캐즘 구간에 진입하면서 2차전지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어려움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에코프로가 향후 2년간 원가 30% 절감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대응방안 마련에 나선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206억원·영업손실 298억원을 냈지만, 올해 투자 계획을 크게 변경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과 회사채 발행 등으로 확보한 자금으로 성장 기반을 확충한다는 것이다. 에코프로는 이날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5만4000t급 헝가리 1공장은 차질 없이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며 “2공장 투자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에코프로비엠은 오는 30일부로 100% 자회사 에코프로글로벌도 합병한다. 헝가리 공장 건설을 비롯한 해외 사업의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에코프로는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해외투자를 통한 수익이 공급망 구축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도 강화한다. 인도네시아 QMB 니켈 생산량 확대에 따른 지분법 수익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신규 프로젝트 추가 투자도 진행 중이다. 리튬 광산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 하이니켈과 함께 미드니켈과 리튬인산철(LFP)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과의 마케팅도 강화할 계획이다.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을 통한 배터리 재활용의 강점을 앞세워 신규 고객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하반기부터 니켈 원재료 판매도 늘려 연간 2000t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지난 3월 글로벌 OEM과 계약을 체결했고 셀·양극재 기업과 제품 공급을 위한 추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황 부진이 이어지는 탓에 2분기 실적도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방 시장 둔화로 물량이 감소하면서 고정비 부담이 불어난다는 논리다. 래깅(원재료 투입 시차) 효과 때문에 원재료비 비율이 높아지는 것도 언급했다. 실제로 에코프로비엠은 매출 9705억원·영업이익 67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51.7%, 영업이익은 93.8% 하락했다. 양극재 평균 판매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40%, 수산화리튬 평균가격은 82% 낮아진 탓이다. 2분기에도 메탈값 하락이 판가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매출과 영업손실도 각각 792억원·13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구체 판매량과 단가가 각각 40%·12% 감소했기 때문이다. 에코프로에이치엔도 매출 515억원·영업이익 73억원을 시현하는 등 수익성이 하락했다. 전지재료사업향 수처리 사업의 공사 진행률 확대 및 케미컬 필터 사업 경쟁력 강화로 실적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 고객사의 양극재 내재화 움직임과 포드의 전기차 출시 연기를 비롯한 난제가 산적한 상황"이라면서도 “단결정 양극재 판매량을 전분기 대비 22% 늘리는 등 돌파구 마련에 나서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1보]에코프로, 1Q 영업손실 298억원…전분기비 75% 개선

에코프로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206억원·영업손실 298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6% 줄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425억원)은 적자전환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20% 가량 축소됐으나, 영업손실은 75% 가까이 개선됐다. 재고자산 평가손실 충당금 일부를 환입한 영향이다. 양극재 생산 가족사 에코프로비엠은 매출 9705억원·영업이익 67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51.7%, 영업이익은 93.8% 하락했다. 전구체 생산 가족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매출과 영업손실은 각각 792억원·130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66.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친환경 토털 솔루션 업체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매출 515억원·영업이익 73억원을 냈다. 매출은 13.4%, 영업이익 39.2% 줄었다. 에코프로는 전방산업 부진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고 제품·고객·영업 등 각 부문에 걸쳐 사업전략을 재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구성한 원가혁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2년내 원가 30% 절감도 추진 중이다. 하이니켈과 함께 미드니켈과 리튬인산철(LFP)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과의 마케팅도 강화할 계획이다.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을 통한 배터리 재활용의 강점으로 고객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머티리얼즈 상장과 회사채 발행 등으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한 만큼 미래성장 동력 마련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도레이첨단소재, 전략물자 자율준수무역거래자 ‘최고 등급’ 획득

도레이첨단소재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전략물자 자율준수무역 거래자 최고 등급인 AAA를 세번 연속 획득하며 지속가능한 수출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도레이첨단소재는 2014년, 2019년에 이어 세번 연속으로 자율준수무역 거래자 최고등급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탄소섬유 대량생산 시대를 연 도레이첨단소재는 탄소섬유를 비롯한 전략물자가 우려국가에 유입되지 않도록 자율준수관리체제를 구축하고 고객의 거래문의부터 제품 출하, 통관,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해 철저하게 실행해 오고 있다. 김영섭 사장은 “전략물자 관리는 기업 생존의 문제를 넘어 국가 경제와 안보를 지키는 일"이라며 “지속적인 관리체제 개선과 이행 의무를 철저히 준수해 건강한 수출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삼성SDI, 1Q 영업익 2674억원…전년비 29%↓

삼성SDI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1309억원·영업이익 267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영업이익은 29% 감소했다. 전지 부문은 매출 4조5818억원·영업이익 2145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5%, 영업이익은 32% 하락했다. 소형 전지는 매출이 감소했지만, 파우치형 전지를 중심으로 수익성이 향상됐다. 중대형 전지 중 에너지저장장치(ESS)용은 비수기 영향 등으로 수익성이 줄었다.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 판매와 미주향 P6 공급 개시 등 고부가 제품 판매와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수익 인식 영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원형 전지는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 고객의 재고 영향으로 매출이 축소됐다. 전동공구는 장기 공급계약을 토대로 전분기 수준의 실적을 냈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에 따라 수익성이 높아졌다.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5491억원·영업이익 529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1%, 영업이익은 10% 하락했다. 편광필름은 75인치 이상 대형패널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어났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반도체 소재는 고객의 일시적 재고 조정의 영향을 받았다. 삼성SDI는 2분기 들어 중대형 전지 실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P6와 '삼성 배터리 박스(SBB)' 판매 확대 및 UPS용 고출력 배터리 수요 증가가 이뤄진다는 논리다. 소형 전지도 수익성 확보와 함께 신규 수요를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미주 야외용 전동공구(OPE) 및 인도·동남아 전기이륜차 시장의 조기 진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46파이 전지 고객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하반기 신제품에 선제 공급을 추진한다. 전자재료 부문은 시장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편광필름은 3분기 TV 시장 성수기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소재는 메모리 반도체 시황 개선에 따른 실적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OLED 소재는 계절적 비수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재생에너지 전환 △전지 리사이클링 확대 △용수 사용량 절감 등 8대 전략과제를 진행 중이다. 공급망 지속가능성도 제고하고 있다.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ESRS) 및 국제회계기준(IFRS) 기후 관련 공시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세스 정비 및 시스템 구축도 준비하고 있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는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 환경에서도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및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차원이 다른 변화와 혁신을 통해 2030년 글로벌 탑 티어 회사 달성을 앞당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LG화학, 1Q 영업익 2646억원…전년비 67.1%↓

LG화학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1조6094억원·영업이익 2646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7%, 영업이익은 67.1%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1.6%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7.0% 증가했다.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4552억원·영업손실 312억원을 냈다. 원료값이 올랐지만, 긍정적인 납사 래깅 효과와 비용절감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적자 폭을 줄였다. 2분기에는 가전 및 주요 제품의 성수기 진입과 고부가 제품 신규라인 가동 등이 실적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5834억원·영업이익 1421억원을 달성했다. 전지재료는 전분기 기저효과 등으로 출하량이 확대됐다. 전자소재는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실적이 향상됐다. 2분기에는 양극재 출하량 증가 및 메탈값 안정화로 수익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849억원·영업이익 33억원을 시현했다. 당뇨·성장호르몬을 비롯한 주력 제품 판매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소폭 늘어났으나, 글로벌 임상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개발(R&D) 비용이 불어났다. 2분기에는 주요 제품 판매와 희귀비만치료제 라이선스 아웃 계약금 인식으로 일시적인 지표 개선이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1287억원·157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략고객향 수요에 대응해 원통형 매출을 늘렸지만, 전방시장 일부 수요 둔화 및 메탈값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축소됐다. 2분기에도 유럽 등 전방시장 수요 약세 가능성이 있으나, 주요 고객사향 물량 확대로 매출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팜한농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457억원·영업이익 349억원으로 나타났다. 비료 판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하락했지만, 작물보호제 해외 판매 확대 및 판가 인상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2분기에는 저수익 비료 화공사업 중단으로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작물보호제 해외 판매 확대가 연간 수익성 향상을 견인할 전망이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회사의 위기관리 능력을 토대로 전분기 대비 개선된 수익성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3대 신성장동력 중심의 근본적인 사업 경쟁력 제고와 운영 최적화 활동 등을 통해 점진적인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SK이노베이션, 1Q 영업익 6247억원…전년비 66.6%↑

SK이노베이션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8551억원·영업이익 6247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66.6%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976억원으로 같은 기간 87.9% 줄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3.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760.3% 급증했다. 당기순손실은 4098.8% 악화됐다. 석유사업은 정제마진 강세와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관련 이익에 힘입어 영업이익 5911억원을 달성했다. 전분기 대비 7500억원 이상 늘어나면서 흑자전환했다. 화학사업의 영업이익은 1245억원으로 같은 기간 1241억원 확대됐다. 벤젠 스프레드 개선에 따른 마진 상승 및 납사값 상승에 의한 재고관련 이익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윤활유사업의 영업이익은 2204억원으로 전분기를 소폭 상회했다. 판매량 증가와 고정비 감소로 수익성이 높아졌다. 석유개발사업 영업이익은 1544억원으로 집계됐다. 중국 17/03 광구의 생산량 확대의 영향이다. 배터리사업은 매출 1조6836억원·영업손실 3315억원을 냈다. 해외 법인 생산성이 향상됐으나 고객사 재고 조정에 따른 가동률 저하가 이뤄진 탓이다. 첨단제조새엑공제(AMPC)도 축소됐다. 소재사업의 영업손실은 644억원으로 나타났다. 고객사향 판매 물량 감소 및 가동률 하락으로 고정비 부담이 불어났기 때문이다. SK이노베이션은 2분기 정제마진이 견조한 수준으로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감산이 지속되고 드라이빙 시즌에 따른 이동 수요가 개선된다는 논리다. 화학사업은 하반기 가솔린 블렌딩 수요 증가로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 정부의 내수활성화로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스프레드도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활유사업은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확대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석유개발사업에서는 중국 17/03 광구가 올 3분기 최대 생산량 도달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터리사업은 SK온 출범 이후 2년 만에 180조원에 달하는 물량을 추가 수주했다. 누적 수주잔고는 400조원을 돌파했다. 전기차 시장이 캐즘 구간에 진입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라인 운영 최적화 등으로 출하량을 늘린다는 전략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비우호적인 업황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설비 증설 시점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수익성 역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정유업계, 중동 분쟁 속 수익성 개선 박차…경유 시장 우려

국내 정유사들의 올 1분기 실적이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분기에는 경유를 중심으로 일부 품목의 수익성 하락이 우려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9조3085억원·영업이익 454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5.3%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정제 마진과 유가 상승에 힘입어 정유 부문이 흑자 전환한 덕분이다. 글로벌 정유사들의 정기 보수·지정학적 불안 등에 따른 공급 차질의 영향이다. 매출 19조5293억원·영업손실 1675억원을 냈던 SK이노베이션도 매출 18조6366억원·영업이익 3968억원으로 반등할 전망이다. 배터리 사업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나, 석유 사업 흑자 전환이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다. 원·달러 환율이 높아진 것도 언급된다. 석유제품 수출액이 128억2400만달러에서 124억1600만달러로 3.2% 가량 줄었지만 원화 환산 금액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2분기 석유 제품에 대한 기대치는 엇갈리고 있다. 휘발유는 드라이빙 시즌 진입, 항공유도 글로벌 업황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올 1분기 휘발유 마진이 지난해 4분기를 상회했고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국제 유가가 상승했으나 제품값도 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유와 등유 마진은 축소될 것으로 보는 것이 시선이 많다. 제품값이 유가 인상폭을 따라잡지 못했다는 이유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4월 경유 마진이 배럴당 15.6달러로 지난해 4분기 평균(21.4달러) 및 올 1분기(21.6달러)를 하회한다고 분석했다. 등유 마진도 14.9달러로 같은 기간 8달러 가까이 낮아졌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도 이들 제품에 대해 유사한 견해를 제시했다. 미국 생산량이 2016년 이후 최저치로 축소되고 프랑스·이탈리아·독일 등 유럽 지역에서도 감소세가 나타나는 탓이다. 실제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올 1분기 5256만5000배럴에 달하는 경유를 수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9% 늘어난 수치다. 반면 수출액은 53억6500만달러로 같은 기간 6.1% 상승에 그쳤다. 공급 측면에서도 정유사들에게 불리한 국면이 형성되고 있다. 중국이 경유 수출량을 끌어올리고 나이지리아·멕시코를 비롯한 신흥국 석유 제품 생산량도 불어났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가동에 차질을 빚었던 러시아 정제 설비가 복구되는 것도 경유 공급을 확대할 요소로 꼽힌다. 캐나다발 수출량 확대도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경유는 전체 석유 제품 수출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품목"이라며 “오는 6월 1일 예정된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회의 결과가 향후 수익성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