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방사청, 인니 KF-21 분담금 1조원 삭감 제안 수용 방침

방위사업청이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 개발 분담금 1조6000억원에서 1조원 깎아달라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제안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8일 방사청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KF-21 체계 개발 종료 시점인 2026년까지 6000억원으로 분담금 조정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도네시아 측이 납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정을 추진 중"이라고 부연했다. 방사청은 국방부·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를 거쳐 인도네시아 측 제안 수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달 말 열리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결론이 도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1월 인도네시아는 KF-21 전체 개발비의 20%인 약 1조7000억원을 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 6월까지 납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치의 관련 기술을 넘겨받기로 했다. 이후 납부액은 협상을 거쳐 약 1조6000억원으로 깎였지만 약속한 금액의 3분의 1 수준인 6000억원만 내고 기술 이전도 그만큼만 받겠다고 우리 측에 먼저 제안했다. 노지만 방사청 한국형전투기사업단장은 “조정된 분담금 규모에 맞춰 인도네시아로의 기술 관련 이전 가치의 규모도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노 단장은 “체계 개발 시기와 전력화 임박 시점에서 인도네시아 측의 분담금 미납 지속으로 개발 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분담금 관련 의사 결정 지연 시 KF-21 전력화에도 영향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인도네시아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결론을 낸 이유를 설명했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인도네시아는 지난달 전까지 납부했던 약 2800억원에 더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3년간 매년 1000억원씩 추납하게 된다. 올해분 1000억원은 지난달 말 우리 정부가 받았다. 앞서 인도네시아는 올해부터 2034년까지 매년 1000억원, 총 1조원을 추가 납부하겠다는 계획을 작년 말에 타진했다. 이 경우에도 2026년까지 3000억원이 추가로 들어오는 것은 같다. 그러나 방사청은 체계 개발 종료 시점이 2026년인 만큼 그 이후 분담금 납입은 KF-21 사업의 불확실성이 키울 수 있다는 이유로 당시 인도네시아의 제안을 거절했다. 방사청은 2026년까지의 완납을 조건으로 분담금을 3분의 1 수준으로 낮춰주고 그만큼만 받겠다는 인도네시아의 수정 제안에 대해서는 협상이 가능하다고 봤다. 방사청 관계자는 “6000억원만 내고 1조6000억원 어치의 기술을 인도네시아가 가져갈 일은 절대 없다"며 “애초 분담금 납부의 대가였던 KF-21 시제기 제공도 원점 재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곧 KF-21 시제기 6대 중 1대를 인도네시아에 제공하기로 했는데 분담금 대폭 삭감에 따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또 동시에 제공하기로 했던 KF-21 기술 자료도 약식으로만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KF-21 전체 개발비가 당초 예상보다 줄어든 것도 인도네시아 측 분담금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는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무장을 뺀 KF-21 체계 개발 비용은 당초 8조1000억원으로 책정됐다. 하지만 개발 과정에서 비용 절감이 이뤄져 7조6000억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방사청은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가 납부해야 할 분담금을 1조 깎아줘도 우리 정부가 추가 충당해야 할 비용은 1조원이 아닌 5000억원이 될 것이라는 게 방사청 공식 발표 내용이다. 그와 동시에 방사청 측은 “부족한 재원 마련은 정부와 업체의 노력을 통해 가능하다"며 “개발 비용 부족 탓으로 전투기 개발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담 비율 조정과 부족 재원 확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당초 계획상 KF-21 개발비 분담 비율은 한국 정부 60%,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20%, 인도네시아 20%였다. 방사청은 이를 조정해 인도네시아가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을 대폭 줄이고 비는 재원은 정부와 KAI의 추가 부담으로 충당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의 KF-21 공동 개발 중단도 거론됐지만 방사청은 이에 선을 그었다. 방사청 관계자는 “중단이 가장 쉽고 깔끔하다"면서도 “국익과 추후 양산, 수출 파급 효과 등을 볼 때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양국 협력 관계 등을 고려할 때 공동 개발 구도가 유리하다"고 설파했다. 인도네시아는 KF-21 48대를 자국 내에서 조립 생산해 도입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가 도입 계획을 포기하면 대당 생산 단가가 올라 결국 수출에도 악영향이 갈 여지가 크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고려아연, 메탈값 강세로 호실적…성장 기반 강화

고려아연이 금속가격과 원달러 환율 강세에 힘입어 우상향 그래프를 이어갈 전망이다. 포트폴리오 확장 등 지속가능성도 높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3754억원·영업이익 184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0%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26.6% 증가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 10조2895억원·영업이익 7907억원을 달성하는 등 전년 대비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다. 주요 금속 가격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11월7일 t당 2538달러였던 아연값은 지난 3일 2891달러로 상승했다. 금 가격도 같은 기간 1960.7달러에서 2294.5달러, 은도 22.5달러에서 26.5달러로 인상됐다. 원·달러 환율이 높아진 가운데 호주 SMC 증설도 실적 개선에 기여할 요소로 꼽힌다. 2분기에도 철강 도금용 수요 등에 힘입어 아연 가격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고려아연은 동 판매량 증가와 설비 가동률 향상 등이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주력 사업 및 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트폴리오 확장도 지속하고 있다. 자원순환과 제련 부산물 활용 등을 통해 지난해 3만1050t이었던 구리 생산력을 2028년 15만t으로 늘린다는 전략이다. 여기에는 총 10만t급 건식제련 설비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지난해 대비 관련 매출이 1조3000억원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자회사 페탈포인트를 통해 미국 금속 트레이딩 업체 카타만메탈스 지분 100%도 인수했다. 카타만메탈스는 북미·남미·아시아·유럽 지역에 오피스를 갖춘 업체로 연간 30만t 이상의 스크랩 원료를 거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 대금은 5500만달러(약 741억원) 규모다. 고려아연은 이번 인수를 통해 2030년까지 필요한 연간 동 원료(약 30만t)의 75%를 조달하는 등 동 생산량 향상을 위한 원료를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카타만메탈스가 보유한 자원순환 트레이딩 및 리스크 관리 노하우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페달포인트의 실적 반등도 기대하고 있다. LG화학과 2000억원을 들여 울산 온산산업단지에 한국전구체도 설립했다. 이 공장은 연간 전구체 생산목표는 2만t에 달한다.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중국산 소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것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호주 매킨타이어 풍력발전소도 실적 향상에 힘을 보탤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호주 퀸즈랜드주 브리스번 남서쪽에 위치한 것으로 발전용량은 총 923.4MW다. 연간발전량은 최대 2951GWh로 예상된다. 올 1분기말 기준 공정률은 77.8%로 내년 3분기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발전소는 생산전력의 70%를 텔스타·SMC에 10년간 공급할 예정이다. 이태환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트로이카 드라이브 선언 이후 배터리용 동박 설비 투자, 니켈제련소 건설 투자 등도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카타만메탈스의 동스크랩 비중이 고려아연의 요구에 맞춰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1조원 VS 7227억원’…한화비전 작년 매출, 어떤 게 맞는 걸까

한화비전이 업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유의미한 재무 개선에 성공했다. 7일 한화비전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1조466억9000만원, 영업이익은 1533억4000만원, 세전 부문 이익은 1473억9000만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4.43%, 4.57%, 2.10% 늘어났다. 북미 시장에서는 환율 효과와 경기 침체로 인한 시큐리티 업계 투자 위축이 점차 해소되는 분위기이고, 유럽 시장에서는 영국을 중심으로 매출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 것이 주효했다. 한화비전 관계자는 “이는 2022년 매출 1조원 달성에 기여했던 선행 영업 확대와 솔루션 포트폴리오 강화 전략의 지속적인 추진 결과"라며 “선제적인 경기 대응 노력으로 영업이익 역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3월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된 사업보고서상 실적은 별도 기준이다. 지난해 매출은 7227억5648만원, 영업이익은 879억9562만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11%, 22.5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과 별도 재무제표 간 추이의 차이가 발생한 것에 대해 한화비전 관계자는 “지난해 해외 법인이 재무 건전성 개선 차원에서 보유한 재고를 소진하는데 노력을 기울인 결과 매출은 증가했다"며 “이는 본사와 법인 간 내부 거래로 발생하는 매출이 감소하게 된 데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본·부채 총계나 판매·관리비 등 연결 기준 정보는 당사가 공시하고 있지 않은 내부 정보로, 외부에 공개하지 않은 것은 기업 회계 기준서 제1110호의 연결 재무제표 작성 면제 규정을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당사의 자회사 실적까지 확인하려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연결 재무제표를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개발비는 1366억648만원으로 전년보다 22.77%가 늘어 미래 경쟁력 확보에 투자했다. 또 산업재산권의 가치도 62억9600만원으로 5억3812만원이 덩달아 증가했다. 재무 건전성도 확보했다. '기업 건강'의 척도인 현금과 현금성 자산은 879억1246만원으로 118억원이던 전년보다 무려 645.02%나 폭증했다. 자본 총계는 3984억6924만원으로 전년 대비 979억6861만원이 늘어날 동안 부채 총계는 2790억1422만원으로 248억4305만원이 줄었다. 이에 부채 비율은 101.11%에서 70.02%로 대폭 감소했다. 한편 금융 비용은 149억1890만원으로 전년 대비 48.21% 감소했다. 한화비전 측은 “외화 환산 손실이 6억6300만원으로 1.5배 가량 확대됐지만 외환 차손이 226억7752만원에서 81억4203만원으로 대폭 쪼그라든 것이 주효했다"고 전했다. 재무 호조세에 직원 28억4650억원이던 복리후생비는 38억996만원으로, 48억686만원이던 광고선전비는 60억1633억원으로 크게 뛰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올해 북미 지역 수요 회복과 유럽 시장에서의 매출 지속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강달러가 예상되는 만큼 매출 성장에 따른 한화비전의 이익 증가도 기대해볼만 하다"고 전망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포스코홀딩스 전직 임원, 458만원 횡령 혐의 약식 기소

2일 포스코홀딩스는 458만원 상당의 횡령·배임 혐의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이 당사 전직 임원을 법인 차량 일부 사적 이용 혐의로 약식 기소했다"며 “'혐의 발생 금액'은 확정된 규모가 아니어서 추후 법원 판결에 의해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검찰의 공소 제기일은 지난달 30일이고, 사측이 이를 확인한 것은 2일 이날이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추후 진행 사항과 확정 사실 등이 있을 경우 관련 사항을 밝히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민·관, FA-50 성능 향상 나서…수출길 확대 모색

정부와 방산업계가 2027년 글로벌 방산 수출 4강 진입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첨단 기술이 집약되는 공중 무기체계 포트폴리오도 확대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FA-50 경전투기 성능 향상에 총 65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단행한다. 여기에는 △단좌형 모델 개발 △보조연료시스템 추가 △작전반경 최대 30% 향상 △지상충돌방지(AGCAS) 국산화 등의 프로젝트가 포함된다. 단좌형 모델은 복좌형 보다 많은 연료를 실을 수 있어 공대공·공대지 작전반경을 늘리기 용이하다. KAI도 기존 운용국들을 중심으로 단좌형 수요가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2031년까지 FA-50급 기체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713대로 추정된다. 이 중 단좌형은 639대 수준이다. FA-50은 T-50 고등훈련기 기반의 초음속 다목적 기체로 최대 이륙중량은 3만파운드, 최고 속도는 마하 1.5에 달한다. 최고 추력도 애프터버너 사용 기준 1만7700파운드중량이다. 전투 임무 뿐 아니라 조종사 양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 중으로 F-35 및 F-16으로의 기종 전환이 쉬운 것도 강점이다. 필리핀을 필두로 지금까지 138대가 수출됐다. 폴란드의 경우 수출 계약 체결 1년 3개월 만에 FA-50GF 12대가 공급됐고 내년부터 2028년까지 FA-50PL 36대가 인도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에서도 지난해 맺은 계약과 동일한 규모의 2차계약(18대)이 추진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이집트·아랍에미리트(UAE)도 FA-50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필리핀에서도 추가 도입 및 기존 FA-50PH 업그레이드 등이 논의됐다. 필리핀은 앞서 반군 공습에 FA-50을 투입한 바 있다. KAI는 미국 해군 고등훈련기 및 공군 전술기 도입을 비롯한 프로젝트를 수주해 글로벌 경전투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이들 사업의 경쟁자로는 보잉의 T-7A 등이 꼽힌다. 최근 보잉의 민항기에서 각종 결함이 발생하는 것도 FA-50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민항기 보다 고기동을 요구하는 전투기 특성상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역내 분쟁으로 인한 안보 불안과 노후 기종 교체 수요가 맞물린 중동·아프리카 시장 공략도 강화하는 중이다. 해당 지역에서 K-방산의 입지가 강화된 것도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동남아·중남미·유럽 내 다른 국가에서도 비즈니스를 타진하고 있다. KAI는 단좌형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는 등 최대 300대 이상의 수주를 노리고 있다. 기존 기계식 레이더를 레이시온의 팬텀 스트라이크 전자주사식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로 교체하는 등 성능 개량도 이뤄지고 있다. 향후 국산화를 통해 수출 안정성도 높인다는 목표다. KAI는 독일 미사일 전문업체 디힐디펜스와 무장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도 강화했다. KF-21 보라매에 장착될 IRST-T 단거리 공대공미사일을 FA-50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업계는 KAI가 영국 MDBA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점을 들어 미티어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통합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FA-50은 F-4 등 노후 기종 대체로 국내 안보 역량도 높이는 기체"라며 “장기적으로는 보라매 수출길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방산업계, 국내·외서 실적 향상 잰걸음…하반기 기대감↑

올해도 중동·유럽 내 분쟁 등으로 한국산 무기체계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도 수익성 제고를 기대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7399억원·영업이익 48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1%, 영업이익은 147.4% 확대됐다. 현재 폴란드향 FA-50PL 매출 인식이 이뤄지고 있으며, FA-50M 등 동남아시아향 고정익 항공기 수출도 하반기 들어 기여도를 높일 예정이다. KF-21 보라매 초도 양산 계약도 다가오고 있다. 상륙공격헬기(MAH)와 소해헬기(MCH) 체계개발도 수익성 향상에 일조하고 있다. KUH-1 수리온도 중동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첫 수출을 노리고 있다. 특히 미국 진출이 향후 성장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KAI는 T-50 계열 항공기를 앞세워 미 해·공군의 훈련기 도입 프로젝트를 수주한다는 목표다. 이집트·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도 가속화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8483억원·374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9%, 영업이익은 83% 줄었다. 그러나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방산부문 실적이 지난해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1분기말 기준 방산부문 수주잔고가 30조3000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K-9 자주포 등은 2분기부터 폴란드 상륙을 본격화한다. 최근 폴란드와 2조2526억원 규모의 △K-239 천무 발사대 72대 △사거리 80㎞급 유도탄 CGR-80 △290㎞급 유도탄 CTM-290 공급계약도 체결했다. 루마니아향 자주포 수출도 청신호가 켜진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포탄 수요가 급증한 한화의 장약 수출 확대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한화오션은 영국 밥콕을 비롯한 기업과 손잡고 캐나다·폴란드 등 글로벌 해양방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무인수상정과 함정 유지·보수·정비(MRO)를 비롯한 분야에서 미래 먹거리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LIG넥스원은 매출 7635억원·영업이익 670억원을 시현했다. 인도네시아 경찰청 통신망 사업 등 지휘통제(C4I) 부문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향후에는 수익성이 낮은 프로젝트의 비중이 줄어들고 정밀타격(PGM) 부문의 실적이 회복될 전망이다. LIG넥스원은 최근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이순신 방위산업전'에서 무인수상정, 해궁, 비궁을 비롯한 유·무인복합체계(MUM-T) 솔루션을 선보였다. 중동 지역 등에서 한국형 GPS 유도폭탄(KGGB)와 3세대 대전차 유도미사일 현궁을 비롯한 무기체계 수출도 타진 중이다.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Ⅱ 추가 수출도 수주잔고를 대폭 늘릴 요소로 꼽힌다. 현대로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478억원·447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9.3%, 영업이익은 40.3% 증가했다. 디펜스솔루션 부문에서는 폴란드향 K-2 전차 납품에 대한 매출이 인식되고 있으며 하반기에 관련 실적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 2차계약과 루마니아향 수출 기대감도 고조되고 있다. 레일솔루션 부문도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교통국과 8688억원 규모의 전동차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국·내외에서 판로를 넓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항공수요 회복에 따른 수혜도 기대할 수 있다"며 “위성 포트폴리오 강화 등 우주시장 내 입지 확보를 위한 노력도 경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철강협회, 신임 회장 선임…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한국철강협회가 30일 임시총회를 열고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을 제10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장 회장은 1955년생으로 1988년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에 입사한 뒤 강구조연구소장 및 △포스코 신사업실장 △재무투자본부 신사업관리실장 △철강마케팅솔루션실장 △철강생산본부장 등을 역임하고 지난달 포스코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 철강협회는 1975년 설립됐으며 현대제철 등 40곳에 달하는 철강제조사와 6곳의 유통기업 및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협회장직은 포스코 회장이 겸직하고 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