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르노코리아 협력업체 "생존 위한 수출 지원 절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르노코리아자동차 협력업체들이 "생존을 위해 수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호소문을 냈다. 르노코리아자동차협력업체협의회는 12일 입장문을 통해 "자동차 수출 위기 국면에 따른 수출 지원 방안을 정부와 부산시 그리고 지역 경제계에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협의회는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 반도체 부품 부족, 원부자재 가격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등 많은 이슈를 극복해 왔다"며 "최근 2배 이상 높아진 수출 물류비로 인해 어렵게 버텨온 자동차 수출 경쟁력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했다.그러면서 "세계 각국이 자국 경제를 위해 해상 수출입 물류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기존의 수출 지원 정책에 더해, 특히 전용 선사가 없는 국내 자동차 완성차 및 부품 협력업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수출 물류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르노코리아와 부품 협력업체들은 부산 지역 수출 경제의 15~2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완성차 수출 물량은 전년 대비 63.3% 증가한 11만7020대를 기록했다. 다만 급격한 물류비 상승으로 올해 수출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진 상태다.르노코리아 1차 협력업체 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제외한 중소 협력업체의 종업원 수는 약 6만4000명이다. 협의회는 "정부의 수출 지원 인식을 지지한다"며 "자동차 전용 수출 선박 확보와 수출 물류비 개선, 항만 시설 이용 비용 개선 등을 위한 관계 부처와 부산시의 신속하고 실질적인 후속 지원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요청했다.yes@ekn.kr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생산라인. 르노코리아 협력업체들은 12일 "생존을 위해 수출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냈다.

현대차·기아, 설 특별 무상 점검 서비스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전국 서비스 거점에서 ‘설 특별 무상 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점검 항목은 △엔진 구동 상태 △냉각수 및 오일류 △브레이크 패드 △타이어 마모도, 공기압 △각종 등화 장치 점등 상태 등이다. 워셔액 보충 서비스도 제공한다. 전기차는 냉각수 및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을 추가로 검사한다.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13일까지 △마이현대(myHyundai) △마이기아(MyKia) △마이제네시스(MYGENESIS) 등 각 사 통합 고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상 점검 쿠폰을 다운로드 해야 한다. 이후 현대차 고객은 1282개 블루핸즈, 기아 고객은 771개 오토큐를 방문해 무상 점검 쿠폰 제시 후 차량 검사를 받으면 된다. 현대차·기아 직영 서비스센터에서는 시행하지 않는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을 맞아 장거리 귀성길 운행에 도움이 되고자 무상 점검 서비스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현대차·기아 고객에 대한 차량 점검 강화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사진) 현대차·기아 양재사옥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설 특별 무상 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 사진은 현대차·기아 양재사옥.

쉐보레, 설 연휴 무상점검 캠페인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한국지엠은 쉐보레가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2023 설 연휴 무상점검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캠페인은 서울, 동서울, 인천, 부산, 창원, 대전, 광주, 전주, 원주에 위치한 쉐보레 직영 서비스센터 9개소에서 진행된다. 차량을 입고한 고객들은 △엔진오일 △에어컨 필터 △오토미션 오일 △브레이크 오일 △배터리 △타이어(공기압·마모도) △브레이크 패드 △와이퍼(암·블레이드) 등 총 8개 항목의 무상점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yes@ekn.kr사진자료_2023 설 연휴 서비스 캠페인 쉐보레가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2023 설 연휴 무상점검 캠페인’을 실시한다.

새 수장 맞은 한국토요타, 전동화·친환경차 반격 나서나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한국토요타자동차가 콘야마 마나부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하면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여파를 극복하고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선 본격적으로 전동화·친환경차 출시에 나서야 시장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새로 부임한 콘야마 대표는 1990년 토요타자동차에 입사한 뒤 리서치부, 딜러 네트워크 개발, 해외 시장 판매 및 운영 전략 부문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왔다. 2011년부터는 중국제일자동차(FAW)와 토요타의 합작회사인 ‘FAW 토요타’에 부임했고, 2013년부터는 부사장 역할을 수행했다. 2019년부터 최근까지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부에서 동아시아 지역 담당으로 근무했다. 콘야마 대표는 "역동적인 자동차 시장인 한국에서 근무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고객으로부터 사랑받는 토요타와 렉서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앞서 2019년 일본 불매운동이 벌어지면서 한국토요타는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토요타는 2017년 1만1698대, 2018년 1만6774대, 2019년 1만611대로 4년 연속 1만대 클럽을 유지했다. 그러나 2020년 들어 6154대 판매에 그쳤고, 2021년은 6441대, 지난해에는 5819대 판매에 그쳤다. 콘야마 대표가 새로 부임하면서 한국토요타가 전기차, 친환경차 출시 등을 통해 재기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그간 기능, 디자인에 대한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으니 소비자에게 어필이 어려웠다"며 "특히 하이브리드차에 몰두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기차에 대한 흐름이 고립됐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한국토요타가 내세워야 할 전략으로 "전기차, 친환경차 등 선도적인 부분을 내세워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신차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주도세력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한국토요타는 올해 상반기 내 ‘렉서스 RZ 450e’를 출시할 예정이다. RZ 450e는 이미 환경부 배출 가스 및 소음 인증을 완료해 본격적인 출격을 앞두고 있다. RZ 450e는 렉서스 첫 전용 전기차 모델로 1회 충전 시 최대 345km를 주행할 수 있다. kji01@ekn.krKakaoTalk_20230111_143451382_03 한국토요타가 국내 시장 부진을 이겨내고 반등에 나설 수 있을 지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출시된 토요타 라브(RAV) 4 하이브리드 모델.

[AD] 현대차그룹, 美 ‘2022 굿디자인 어워드’ 11개 수상 쾌거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차·기아·제네시스의 제품이 미국 디자인 상인 ‘2022 굿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11일 밝혔다. 현대차그룹 총 11개 제품은 운송(Transportation) 디자인 부문과 로보틱스(Robotics) 디자인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는 미국 시카고 아테네움 건축 디자인 박물관과 유럽 건축예술디자인도시 연구센터가 협력해 선정하는 상이다. 전자, 운송, 가구, 로보틱스 등 포춘 500대 기업의 다양한 제품들에 대해 각 부문별 수상작을 매년 발표하고 있다. 1950년 시작돼 2022년으로 72회째를 맞은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는 정통성과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현대차는 2022 굿디자인 어워드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트레일러 드론 △세븐(SEVEN) 콘셉트, 로보틱스 디자인 부문에서 △PnD(Plug & Drive) 모빌리티 △L7 △모베드(MobED)가 수상해 총 5개 제품이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신개념 수소 모빌리티인 ‘트레일러 드론’은 지난 2022 레드 닷 어워드 디자인 콘셉트 부문에서 최고상인 대상(Luminary) 수상에 이어 굿디자인 어워드에도 선정됐다.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의 비전 콘셉트인 ‘세븐’은 낮은 후드 전면부터 루프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곡선과 긴 휠베이스로 전형적인 SUV 디자인과 함께 차별된 비율을 구현해냈다는 분석이다. 현대차는 특히 총 8개의 제품만이 선정된 로보틱스 디자인 부문에서 3개의 상을 거머쥠으로써 로보틱스 분야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상을 수상한 PnD 모빌리티와 L7은 미래형 모빌리티 솔루션인 PnD 모듈을 기반으로 한다. PnD 모듈은 인휠(In-wheel) 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및 환경 인지 센서를 하나의 구조로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모베드’는 DnL(Drift and Lift)를 활용한 신개념 소형 모빌리티다. 기울어진 도로나 요철 위에서도 차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향각이 크고 휠베이스 조절이 가능해 좁고 복잡한 도심 환경에서도 뛰어난 이동성을 제공한다. 기아는 △니로 △EV9 콘셉트 △마젠타(Magenta) 디자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전기차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총 4개가 선정되며 양산 차량과 콘셉트 디자인, SW(소프트웨어) 디자인을 골고루 수상했다. 작년 1월 출시된 친환경 SUV인 ‘니로’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와 그 속성 중 하나인 이유있는 즐거운 경험(Joy for Reason)을 반영해 독창적이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EV9 콘셉트’는 ‘물’이라는 요소를 표현한 바다 빛의 차체 색상에 폐어망을 재활용한 바닥재와 플라스틱병을 재생한 원단으로 만든 시트 및 도어트림을 적용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사회를 위한 기아의 의지가 담겨있다. 기아의 플래그십 전동화 SUV EV9은 올해 상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기아의 ‘마젠타 디자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전기차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각각 수상명단에 올랐다. 차량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마젠타 색상 기반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계기판과 중앙 디스플레이가 부드럽게 연결되는 일체감을 강조하며, 세계 최초로 시간, 날씨, 속도에 따라 배경 이미지가 변경되는 ‘다이내믹’ 테마를 제공한다. 전기차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매끄럽게 연결되는 검은색 바탕에 종이의 형태와 유사한 얇고 부드러운 느낌을 구현했다. 또 기존에 제공되던 정보를 과감히 제거하고, 전기차 운행에 필요한 필수 정보만 직관적으로 표시해 가독성을 높였다. 제네시스는 △G90 △제네시스 ccIC(connected car Integrated Cockpit)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총 2개를 수상했다. 이로써 제네시스는 2015년 브랜드 출범 이후 8년 연속으로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G90’는 제네시스 디자인 철학 ‘역동적인 우아함’의 정점에서 우아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외관으로 품격 있고 세련된 디자인을 갖췄다. △신규 크레스트 그릴과 두 줄 램프로 제네시스 엠블럼을 형상화한 전면부 △럭셔리 세단의 인상을 주는 파라볼릭 라인, 개방감을 고려한 DLO 라인이 조화를 이룬 측면부 △얇고 긴 두 줄의 리어램프와 당당하고 안정감 있는 모습의 후면부로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최고의 라이프스타일 모빌리티를 구현하려는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의 열정과 노력이 만들어 낸 결과"라며 "고객의 삶에 더 높은 수준의 가치를 더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람과 모빌리티간의 감성적인 연결고리를 만들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d 현대차그룹 2022 굿디자인 어워드 수상작 이미지. (사진2) 현대차 트레일러 드론 콘셉트.

"테슬라 등 전기차 중고 시세 3개월만에 급락"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테슬라 등 상승을 거듭하던 전기차 중고 시세가 3개월 만에 20%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이딜러는 지난해 2분기부터 4분기까지 9개월 동안 자사 앱에서 경매가 진행된 주요 전기차 5종의 거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테슬라 모델3는 2021년 6월까지 상승세를 거듭하며 평균 중고차 시세가 5714만원을 웃돌았다. 같은 해 초와 비교했을 때 16% 상승한 가격이다. 다만 최근 3개월간 중고차 시세가 20% 떨어져, 현재 평균 4243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테슬라 모델 3 외에도 주요 전기차 모두 중고차 시세가 15% 이상 급락했다. 테슬라 모델3(-20.1%), 아이오닉5(-19.5%), EV6(-16.6%), 모델Y(-16.3%)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박진우 헤이딜러 대표는 "최근 테슬라가 주요 모델의 국내 신차 판매 가격을 10% 넘게 인하했다"며 "신차 가격 인하와 중고차 시장 침체가 겹치면서, 그간 높은 인기를 누리던 중고 전기차의 시세가 올해 급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ji01@ekn.kr사진 1. 전기차 중고 시세 하락 순위 헤이딜러가 주요 전기차 중고 시세 하락순위를 11일 발표했다.

현대차그룹, 美 ‘굿디자인 어워드’ 부문별 11개 수상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자사 11개 제품이 미국의 디자인 상 ‘2022 굿디자인 어워드’에서 운송(Transportation) 디자인 부문과 로보틱스(Robotics) 디자인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굿디자인 어워드는 미국 시카고 아테네움 건축 디자인 박물관과 유럽 건축예술디자인도시 연구센터가 협력해 선정하는 상이다. 전자, 운송, 가구, 로보틱스 등 포춘 500대 기업의 다양한 제품들에 대해 각 부문별 수상작을 매년 발표하고 있다. 현대차는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트레일러 드론 △세븐(SEVEN) 콘셉트, 로보틱스 디자인 부문에서 △PnD(Plug·Drive) 모빌리티 △L7 △모베드(MobED)가 수상해 총 5개 제품이 선정됐다. ‘트레일러 드론’은 신개념 수소 모빌리티다. 앞서 2022 레드닷 어워드 디자인 콘셉트 부문에서도 최고상인 대상(Luminary)을 수상했다. 기아는 △니로 △EV9 콘셉트 △마젠타(Magenta) 디자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전기차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총 4개가 선정됐다. ‘EV9 콘셉트’는 ‘물’이라는 요소를 표현한 바다 빛의 차체 색상에 폐어망을 재활용한 바닥재와 플라스틱병을 재생한 원단으로 만든 시트 및 도어트림을 적용해 만들어졌다. 제네시스는 △G90 △제네시스 ccIC(connected car Integrated Cockpit)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총 2개를 수상했다. 이로써 제네시스는 2015년 브랜드 출범 이후 8년 연속으로 이 분야 상을 받았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최고의 라이프스타일 모빌리티를 구현하려는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의 열정과 노력이 만들어 낸 결과"라며 "고객의 삶에 더 높은 수준의 가치를 더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람과 모빌리티간의 감성적인 연결고리를 만들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사진2) 현대차 트레일러 드론 콘셉트. 이 제품은 2022 레드닷 어워드 디자인 콘셉트 부문에서도 대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현대글로비스, 인천 중고차 경매센터 개소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글로비스는 인천 서구 가좌동에 중고차 경매센터 ‘오토벨 인천센터’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총 1만7851㎡ 규모로 약 600대의 차량을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이다. 300석의 경매장, 차량 정밀 점검 시스템 등도 갖췄다. 현대글로비스는 오토벨 인천센터에 차량 보관 및 점검 시설을 확보한 만큼 경매에 출품할 중고차를 매집해 나갈 예정이다. 인천은 물론 서울과 경기 북부 지역을 타깃으로 삼아 물량이 풍부한 수도권 중고차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게 업체 측 목표다. 현대글로비스는 또 경매에 참여할 업체(중고차 딜러) 확보를 위한 영업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오토벨 인천센터가 대규모 중고차 매매단지와 인접해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오토벨인천센터 구축에 앞서 경기 분당과 시화, 경남 양산 3곳에서 경매센터를 운영해왔다. 각 센터에서 진행하는 중고차 경매에는 월 평균 1만여대의 차량이 출품된다. 약 2100여개의 매매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출품건수 기준 국내 경매시장 점유율 50%에 육박하는 최대 공급자다. 중고차 경매 사업에 진출한 2001년 이후 지난해까지 140만대 이상의 차량이 출품됐다. 회사의 중고차 경매는 경쟁 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최고가를 제시한 딜러가 낙찰 받는 식이다. 일반 소비자는 경매에 참여할 수 없지만 차량을 출품할 수 있다. 차주는 최고가를 제시한 딜러에게 차량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값을 기대할 수 있다. 딜러들은 양질의 차량을 구할 수 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오토벨인천센터 등에서 진행되는 공정한 경매를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차량을 매각하고, 딜러들은 현대글로비스의 정밀한 점검을 마친 양질의 중고차를 낙찰 받을 수 있는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전경 현대글로비스 오토벨 인천센터 내 경매장. 이 경매장은 총 300석의 좌석을 갖췄다.

현대차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현대자동차는 ‘MobED 와 B.B.래빗의 신비로운 여행’을 오는 31일까지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3층에서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모바일 로봇 플랫폼 모베드(MobED)에서 착안한 대체불가능토큰(NFT) 캐릭터와 일러스트 작가 ‘부원’의 토끼 캐릭터 ‘B.B.래빗’과의 협업 전시다. 이번 전시는 토끼 캐릭터 B.B.래빗으로 잘 알려진 부원 일러스트 작가와 함께 모베드 NFT 캐릭터와 B.B.래빗의 여행을 담은 작품을 통해 다가온 토끼의 해를 희망차게 맞이하자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두 캐릭터의 여정은 캔버스 아트부터 피규어까지 총 6점의 작품으로 만나볼 수 있다. 현대차의 모베드 NFT는 지난해 5월 커뮤니티 기반의 NFT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판매한 ‘별똥별 NFT’가 변환된 것으로, 현대 NFT 세계관인 ‘현대 메타모빌리티 유니버스(Hyundai Metamobility universe)’의 첫 번째 메타모빌리티 NFT 컬렉션이다. 모베드 NFT는 이동 영역이 무한하게 확장된다는 현대 메타모빌리티 유니버스의 개념을 담고 있다.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의 바디에 독립적인 기능성 바퀴 4개가 달려있어 이동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활용될 수 있는 모베드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디자인을 가진 1만 개의 고유한 NFT 캐릭터를 보유 중이다. 현대차는 이번 협업을 통해 메타모빌리티 유니버스의 확장성을 보여주며 오프라인에서도 더 많은 고객과 소통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시 기간 현장 인증샷 이벤트를 비롯해 현대 NFT 커뮤니티 대상 관람평 이벤트 등 온·오프라인 행사를 진행하고 전시 작품이 담긴 엽서를 제작해 소장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부원 작가는 "현대차의 신개념 로보틱스 기술에서 따온 모베드 NFT 캐릭터와의 협업은 이색적이고 흥미로운 경험이었다"며 "관람객들이 밝고 가벼운 마음으로, 기분 좋게 작품을 즐겨 주셨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현대차 관계자는 "온라인을 통해서만 만날 수 있던 모베드 NFT가 재밌고 친근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첫 오프라인 전시를 열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NFT를 통한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kji01@ekn.kr230110 (사진 1) 현대자동차, 계묘년 새해맞이 'MobED와 B 현대자동차가 일러스트 작가 ’부원’과의 협업 전시전 ‘MobED와 B.B.래빗의 신비로운 여행’을 선보인다.

기아, 모닝 전용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기아는 경차 모닝 전용 ‘굿모닝’ 할부 프로모션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차량 할부 금리로 적용되는 구매 프로그램이다. 프로모션을 통해 모닝을 계약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 소비자는 할부 기간(12/24/36개월) 차량 출고월 1일 기준의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적용받아 원리금을 상환하면 된다. 현대 M계열 카드로 선수율 10% 이상 결제해야 한다. 월중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시 다음달 금리가 반영된다. 기아는 ‘굿모닝’ 프로모션을 통해 모닝을 계약한 고객들에게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기아 관계자는 "고금리 시대에 고객들의 차량 구매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파격적인 할부 프로그램을 마련하게 됐으며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낮을 때 출고하는 것이 좋다"며 "앞으로도 시장 상황을 고려해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구매 프로그램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kji01@ekn.kr기아, 기준금리 적용 모닝 전용 ‘굿모닝’ 할부 프로모션 실시 기아가 모닝 전용 ‘굿모닝 기준금리 할부’ 프로모션 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