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폴스타, 인천 송도서 ‘투 온 투어’ 진행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폴스타코리아는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 인천 송도 트리플 스트리트에서 ‘폴스타 2’ 차량을 전시하고 시승 경험을 제공하는 ‘투 온 투어’(2 on tour)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홈페이지를 통한 폴스타 2의 사전 시승 예약뿐만 아니라 현장 시승까지 펼쳐진다. 평일과 주말 모두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된다. 폴스타코리아는 지난해 서울과 경기, 인천, 대전, 대구, 부산, 제주 등 전국 주요 8개 도시에서 총 10회의 투 온 투어를 진행했다. yes@ekn.kr[이미지] 폴스타코리아가 지난해 10월 ‘송도 트리플 스트리트’에서 진행한 폴스타 ‘2 on tour’ 행사장 전경.

볼보 ‘서비스바이볼보 2023 스프링’ 캠페인 진행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서비스바이볼보 2023 스프링’ 캠페인을 다음달 2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서비스 센터에서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행사 기간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20만원 이상 유상 수리를 진행한 고객에게는 친환경 브랜드인 클린켄틴과 콜라보레이션한 텀블러 또는 머그컵을 증정한다. 송경란 볼보자동차코리아 고객 서비스 총괄 전무는 "사계절의 시작인 봄을 맞아 가족과의 나들이 혹은 캠핑을 계획 중인 고객의 안전하고 편안한 운행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기획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 서비스 만족을 위해 다양한 캠페인을 활발히 전개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yes@ekn.krㅇ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서비스바이볼보 2023 스프링’ 캠페인을 다음달 2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서비스 센터에서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지엠한마음재단코리아, 지역사회 환경 개선 프로그램 본격 가동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지엠한마음재단코리아는 인천부평구 및 인천산곡노인문화센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지역사회 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한마음재단은 지난 22일 부평 본사에서 지역 취약계층 어르신 대상 환경 실천가 양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환경 교육 활동에 필요한 2000만원 상당의 교구 구입비를 전달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 취약계층 어르신을 환경 전문가로 양성하고, 부평구 소재의 국공립·민간 어린이집에 파견해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골자다. 이를 통해 어르신 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미래 환경 실천가를 양성하는 등 지역사회 환경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은 "이번 협약식은 제너럴모터스(GM)의 트리플 제로 비전(교통사고 제로, 탄소 배출 제로, 교통 체증 제로)을 달성하고자 하는 한국사업장의 노력의 일환"이라며 "이번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사회 환경을 만드는 한편 GM의 비전 달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yes@ekn.kr사진자료_지역사회 환경 개선 협약식_4 지엠한마음재단코리아가 22일 부평 본사에서 인천부평구 및 인천산곡노인문화센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지역사회 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시동을 걸었다. 직원들이 이날 행사에 참여해 환경 교육을 듣고 환경 관련 제품을 만들어 보고 있다.

한국타이어, 독일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자사의 ‘벤투스 S1 에보3’가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 빌트’에서 실시한 ‘2023 여름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제동거리 부문 1위를 차지했다고 22일 밝혔다. 아우토 빌트는 전 세계 50개의 타이어 브랜드를 대상으로 먼저 마른 노면과 젖은 노면의 제동성능을 테스트하고 이를 통과한 제품에 한하여 2차 테스트 진행해 종합 순위를 발표한다. 이번 테스트는 한국타이어를 비롯해 미쉐린, 굿이어, 브리지스톤, 콘티넨탈, 피렐리 등 전 세계 50개 타이어 브랜드의 225/45 R18 규격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해 젖은 노면과 마른 노면에서 각 브랜드 별 제품의 제동성능을 평가했다. 테스트 결과 한국타이어 ‘벤투스 S1 에보3’는 젖은 노면과 마른 노면에서 탁월한 제동성능을 발휘하며 1위를 차지했다. 젖은 노면과 마른 노면에서 시속 80km/h, 100km/h로 진행된 테스트에서 각각 24.8m와 33.3m로 합산 58.1m의 제동거리를 기록했다. 이는 테스트 평균인 65.7m 보다 약 10% 이상 우수한 결과다. 아우토 빌트는 한국타이어를 포함해 제동성능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상위 2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핸들링, 정숙성, 회전저항, 수막현상 등 2차 테스트를 진행하여 최종 순위를 가릴 예정이다. kji01@ekn.kr한국타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자사의 ‘벤투스 S1 에보3’가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 빌트’에서 실시한 ‘2023 여름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제동거리 부문 1위를 차지했다고 22일 밝혔다.

[기획] 급변하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환경···韓 기업 ‘생존법 찾기’ 고심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환경이 급변하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도 생존법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완성차·배터리 업체들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전동화 전환’을 추진하며 선전하고 있지만 최대 경쟁 상대인 중국이 급부상하고 있다는 게 가장 큰 고민거리다.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 시장 태동과 함께 전용 플랫폼 ‘E-GMP’를 개발해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주력 차종인 아이오닉 5의 경우 글로벌 수상과 호평 세례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4월 ‘2022 월드카 어워즈’에서 ‘세계 올해의 자동차’를 수상했으며 10월에는 세계적인 권위의 자동차 전문지 모터트렌드 ‘올해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전기차 최초로 선정됐다. ‘2022 독일 올해의 차’, ‘2022 영국 올해의 차’ 등 타이틀도 지녔다.문제는 현대차·기아가 현재 전기차 판매 대부분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 도입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활로를 찾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해야 했다. 당장 리스 차량 판매 확대 등 궁여지책을 마련했지만 조지아에 전용 공장이 만들어지는 2025년까지는 실적 확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노조와 관계도 변수다. 현대차·기아는 단체협약 내용 탓에 공장을 만들고 생산 차종을 결정할 때 노조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더 큰 관심사는 중국이다. 2016년 ‘사드 보복’ 이후 현지에서 차량 판매가 급감한 상황이라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완성차·배터리 기업들이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며 우리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당국에 등록된 전기차는 1083만대로 집계됐다.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합한 수치다. 점유율 기준 중국 업체는 1위(BYD, 187만대), 3위(상하이자동차, 97만8000대), 5위(지리자동차, 64만6000대)를 휩쓸었다. 지난해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656만대로 전년보다 97.1% 증가했다. 반면 유럽은 11.2%, 북미는 49.8%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점유율 상위권 10위 업체 중 중국계 BYD와 지리차만 세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고, 점유율도 이들 두 업체만 전년 대비 상승했다.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기업들은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등을 앞세워 글로벌 배터리 시장 주도권을 가져가고 있다"며 "미국 기업인 포드가 중국 CATL과 협력을 추진할 정도로 판도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 양상"이라고 전했다.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이 양질의 특허 기술 확보, 선진국과 합종연횡 등을 통해 돌파구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2015년부터 6년간 한국의 전기차 특허 수는 304개이지만 중국은 3분의 1 수준인 108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파고들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특허로 나타나는 기술력이 당장 올해나 내년의 자동차 생산 수준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앞으로 만들게 될 전기차의 독자 기술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며 "자체 기술력을 활용하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포인트"라고 진단했다.이 교수는 또 "한국과 중국의 전기차 기술은 서로 보완적이기보다는 경쟁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우리나라 전기차가 앞으로 기술력을 높이려면 중국기업보다는 (결이 다른) 일본이나 미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누구나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세상이지만 첨단기술이 적용된 수익성 있는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업은 여전히 소수"라며 "이제부터는 기술을 가진 자가 이기는 게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yes@ekn.kr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아이오닉 5.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이미지.

[기획] "전기차 사볼까?" 소비자 선택지 더 넓어진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정부가 올해 전기차 보조금 차등 지급 계획을 밝히자 전기차 구매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후관리역량과 배터리 밀도 등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이 최대 20% 차이 나기 때문이다. 미국 등이 자국에서 생산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국내에서 역차별 논란이 일어난 데 대한 개편안인만큼 국산 전기차가 수입산 전기차보다 가격 면에서 유리해질 전망이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일 ‘2023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안’을 발표, 작년보다 대당 보조금을 최소 20만원 이상 줄이고 수입 전기차는 실질적으로 더 인하하기로 했다. 보조금을 전액 받을 수 있는 전기승용차는 지난해 5500만원 미만에서 올해 5700만원 미만으로 가격 기준이 상향 조정됐다. 5700만원 이상, 8500만원 미만 전기승용차에는 보조금이 절반만 지원된다. 8500만원이 넘으면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보조금의 핵심인 연비·주행거리에 따른 ‘성능보조금’ 상한은 중대형 기준 최대 500만원으로 정해졌다. 지난해 책정된 600만원보다 100만원 줄어든 것이다. 소형은 상한선이 400만원이고 초소형은 작년보다 50만원 적은 350만원이다. 같은 성능이라도 애프터서비스(AS)센터 등 사후관리 역량에 따라서도 보조금이 달라진다. 직영 AS센터를 운영하고, 정비 이력 전산 관리 시스템을 갖췄다면 ‘1등급’으로 성능보조금이 모두 지급된다.이외에도 이행보조금(140만원), 충전인프라보조금(20만원), 혁신기술보조금(20만원) 등 총 180만원의 인센티브가 추가 지급된다. 이행보조금은 저공해차 보급 목표제 대상 기업 중 목표 달성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충전인프라보조금은 ‘3년 내 급속충전기 100기 이상을 설치한 제조사’만 받을 수 있다. 혁신기술보조금은 올해의 경우 전기차에서 전기를 끌어다 쓸 수 있는 ‘V2L’ 기능을 적용한 차량이 지급 대상이다. 성능보조금과 인센티브를 모두 더하면 최대 68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대차 아이오닉 5와 6, 기아 EV6 등에 대한 보조금은 작년보다 20만원 줄었다. 지난해 315만원을 받았던 테슬라 모델 3와 모델 Y 보조금은 260만원으로 55만원 깎였다. 현대차·기아와의 보조금 격차는 385만원에서 최대 420만원으로 35만원 더 벌어졌다.현대차·기아 다음으로 보조금이 많은 차량은 한국지엠(GM)의 볼트 EV와 EUV다. 두 모델 모두 64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쌍용차의 코란도 E-모션은 608만원으로 책정됐다. 제네시스 GV70와 GV60는 300만원대 초·중반 수준을 받을 수 있다.수입차 대부분은 200만~300만원 수준의 보조금을 받는다. 메르세데스-벤츠 EQA와 EQB는 270만원 안팎, BMW i3와 i4는 300만원 안팎으로 결정됐다. 아우디 Q4는 253만원을 받을 수 있다. 볼보 C40와 XC40는 200만원 수준에 그쳤다.kji01@ekn.kr정부가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최대 20% 차등 지급하기로 하면서 보조금이 적용된 최종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테슬라 전기차가 충전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기획] 글로벌 전기차 시장 ‘지각변동’···판도 바뀐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주요국이 산업 보호를 위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같은 진입장벽을 쌓고 있는 가운데 제작사들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치킨게임’을 시작했다. 중국 업체들은 급성장하며 우리 밥그릇을 넘보고 있다. 아직 기술 표준도 정립하지 못한 채 완성차 기업들과 ‘짝짓기’를 해야 하는 배터리 기업들은 속내가 더욱 복잡하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주요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며 점차 ‘블록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일찍부터 노골적으로 자국 기업에만 보조금을 밀어줬다. 미국은 지난해 IRA 카드를 꺼내며 이에 대응했다. 유럽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우리나라 역시 올해부터 국산차와 수입차의 보조금을 사실상 차등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배터리밀도, 서비스센터 직영화 등 명분을 내걸어 전기승용차 보조금 차이를 최대 140만원까지 벌어지게 했다.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훨씬 높은 한국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는 점에 주요 외신들도 주목했다. 시장이 커지면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기차 제조사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점유율 1위인 테슬라는 지난달 주요 차종 판매 가격을 최대 20% 인하한다고 밝혔다. 주력인 모델 Y의 경우 판매가가 6만6000달러에서 5만3000달러로 내려갔다. 곧이어 포드가 머스탱 마하-E의 가격을 1.2~8.8%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뉴욕타임스는 상대적으로 고가였던 전기차 가격이 올해는 휘발유차 수준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그 원인으로는 주요 부품인 배터리 가격 하락과 업계의 가격 인하 경쟁을 꼽았다.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를 만드는 업체들은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장이 막 개화해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데다 마땅한 표준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기 때문이다. 당장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 이차전지 모양에 대한 각 기업별 접근 방식이 다르다. 저가형인 리튬인산철(LFP) 제품에 대한 갑론을박도 여전하다. 전고체 배터리를 최종 목표로 삼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반고체 배터리’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업계 가장 큰 걱정거리는 중국 전기차·배터리 기업들이 무서운 속도로 약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탄탄한 내수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발산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는 1083만대로 집계됐다.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합한 수치다. 이는 전년(671만대)보다 61.3% 증가한 양이다. 점유율은 1위가 중국 BYD(187만대), 2위가 미국 테슬라(131만대)였다. 현대차·기아는 51만대로 6위를 기록했다.yes@ekn.kr기아 오토랜드 화성 생산라인 이미지. 기아의 전기차 EV6가 제작되고 있다.

이상엽 현대차 부사장, 월드카 어워즈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 선정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21일(현지시간) ‘월드카 어워즈’(WCA) 주최 측이 발표한 2023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으로 이상엽 현대·제네시스글로벌디자인센터장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루크 동커볼케 현대차그룹 사장에 이어 2년 연속 현대차그룹 구성원이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으로 이름을 올린 셈이다. 2004년 출범한 월드카 어워즈는 캐나다 토론토에 본부를 두고 있다. 세계 3대 자동차상으로 불리는 ‘세계 올해의 자동차(WCOTY)’ 시상으로 유명하다.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등 전 세계 32개 국가의 저명한 자동차 전문기자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매년 비밀 투표로 수상작을 선정한다. 객관성이 높은 시상식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 상은 월드카 어워즈가 시상하는 7개 부문 중 하나다. 지난 한 해 동안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기여한 전문가에게 수여된다. 심사위원단은 이상엽 부사장이 전용전기차 ‘아이오닉 6’, 2세대 ‘코나’, 수소 하이브리드 롤링랩 ‘현대 N 비전 74’ 등 양산차, 콘셉트카를 아우르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현대차의 디자인 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제너럴모터스(GM), 폭스바겐, 아우디, 벤틀리 등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에서 20여 년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현대차에 합류했다. 이후 차별화된 디자인을 지속 선보이며 현대차와 제네시스 두 브랜드의 디자인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이 부사장은 "이번 수상은 개인 차원이 아니라 높은 목표를 제시하는 경영진의 독려, 이를 통해 더욱 고무되는 창의성에 대한 모두의 열정에 힘입은 결과"라며 "현재의 현대차 디자인을 있게 한 것은 수많은 인재들이 끊임없이 노력한 덕분"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그룹 디자인 부문을 지휘하는 인물들이 2년 연속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에 선정된 것은 현대차그룹이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갖췄음을 의미한다"며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yes@ekn.krㅇ 이상엽 현대·제네시스글로벌디자인센터장(부사장). 이 부사장은 21일(현지시간) 월드카 어워즈 2023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에 선정됐다.

전기차 효율등급 표시 바뀐다···"에너지절감 촉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동차의 에너지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고시안에 대해 이달 23일부터 다음달 16일까지 21일간 행정예고를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제작·수입되는 차종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각 전기차의 에너지소비효율 수준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개정안은 △전기차의 복합에너지소비효율(전비)에 따른 효율등급(1~5등급) 기준을 신설하고 효율등급을 자동차에 표시하도록 하며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 표시라벨의 표기정보 및 디자인을 개선하고 △신고제도와 관련된 행정절차를 정비하는 게 골자다. 산업부는 우선 전기차 전비에 따른 1~5등급 부여 기준을 마련하고 전비등급의 신고 및 표시의무를 자동차 제작자에게 부여한다. 현행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 표시제도에 따라 2012년부터 전기차도 전비(km/kWh) 및 1회충전 주행거리(km)를 외부에 표시하고 있다. 연비에 따른 효율등급을 함께 표시하는 내연기관차와는 달리 전비에 따른 등급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개정안은 전기차의 전비를 등급화해 표시·광고하도록 했다. 내연기관차처럼 소비자가 시판 차종 간 효율을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전기차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할 예정이다.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신고대상 차종, 신고확인서 발급 처리기한, 차종별 신고확인이 가능한 내용을 명시하는 등 행정절차 정비에 관한 내용도 이번 개정안에 포함됐다. 산업부는 업계 요청사항을 반영해 자동차의 분류기준을 관계법령과 통일한다. 신고확인서를 신청일로부터 14일 이내에 발급하도록 명시해 자동차 효율 신고와 관련된 기업의 행정부담을 완화한다는 구상이다. yes@ekn.krcatsASDFASDF 표시라벨 디자인 개선안.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동차의 에너지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고시안에 대해 이달 23일부터 다음달 16일까지 21일간 행정예고를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지난달 SUV 부문 해외 판매 1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한국지엠은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Trailblazer)가 지난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부문 해외 판매 1위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트레일블레이저는 형제 모델인 뷰익 앙코르GX와 함께 1월 한 달간 총 1만5311대(잠정치)를 해외 시장에 판매했다.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은 "트레일블레이저는 품질에 있어 타협하지 않는 제너럴모터스(GM)의 품질 최우선 가치를 통해 탄생한 모델로 정통 아메리칸 브랜드 본연의 가치를 보유한 프리미엄 SUV"라고 말했다. yes@ekn.krㅇ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이 차는 지난달 SUV 부문 해외 판매 1위를 기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