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작년 부동산 자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며 부자 1인당 총자산이 약 6억원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부자들은 여전히 부동산 투자를 선호했으며, 3명 중 1명 이상이 오는 2025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대한민국 웰스(Wealth) 리포트’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부자의 총자산 평균은 약 72억원으로, 전년(78억원) 대비 6억원 감소했다. 이 자료에서 정의하는 ‘부자’란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한다. 특히 부자 1인당 평균 부동산 자산 보유액은 지난 2021년 말 45억원에서 작년 말 39억7000만원으로 줄었는데,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자산 가격 하락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금융자산 규모는 31억원으로 차이가 없었다.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부동산이 55%, 금융자산이 43%, 기타 2% 등이었다. 작년 한 해 부자 중 66%는 금융자산 운용으로 수익을 냈지만, 32%는 손실을 입었다. 지난 2021년 91%가 이익을 내고 8%만 손실을 본 것과 대비된다. 부정적인 영향을 준 금융자산은 주식(50%), 펀드·신탁(25%), 가상화폐(7%) 등의 순이었다. 반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금융자산은 예금(46%), 보험·연금(15%) 등이었다. 금융자산 1억원 이상에서 10억원 미만 보유자인 대중부유층 역시 금융자산 운용으로 손실을 본 비중이 2021년 15%에서 지난해 39%로 커졌다. 부자 중 79%는 올해도 실물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 역시 84%에 달했다. 올해 부동산 매매가격 하락 폭에 대해 현 수준 대비 10∼30%와 5∼10%로 예측한 이들이 각각 41%였다. 부자의 37%는 오는 2025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26%는 2024년 하반기, 24%는 2024년 상반기로 각각 전망했다. 단 주식 시장에 대해서는 47%가 올 하반기에 상승 전환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경기 전망이 대체로 부정적임에도 불구하고 부자 중 절반은 현재 자산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나머지 절반은 일부 변경 계획이 있다고 했다. 부자의 64%는 올해 금융자산으로 5∼10%의 수익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10% 이상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비중은 20%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낮아졌다. 부동산 경기 침체 예상에도 불구하고 부자들은 부동산(32%)을 향후 투자 의향이 높은 자산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예금(22%), 주식(14%), 펀드·신탁(10%), 채권(10%) 등 순이었다. 부자 3명 중 1명은 올해 부동산 매입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가장 선호하는 매입 부동산 유형은 중소형 아파트(40평형 미만)였으며, 대형 아파트와 상가는 각각 20%와 18%로 나타났다. 부자가 보유한 평균 주택 수는 1.7채였다. 부자 중 80%는 "올해 부동산을 매도할 계획이 없다"며 부동산 자산 매도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부자 가운데 36%는 ‘자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보존하는 기능’을 부동산 투자의 장점으로 꼽았다. ‘장기적 관점에서 다른 자산에 비해 투자수익률이 우수’하다고 인식하는 이는 32%로 나타났다. 부자의 절반 이상은 아파트가 부를 축적하는 데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부자의 연령대별 부동산 매수 횟수를 보면 40대 이하는 3.4회, 50대는 5회, 60대는 5.8회로 각각 집계됐고, 70대 이상은 9.7회에 달했다. 부자 중 29%는 그동안 거래 경험이 있었던 부동산 중 본인의 자산 확대에 가장 크게 기여했던 부동산 유형으로 중소형 아파트(40평형 미만)를 꼽았다. 대형 아파트(40평형 이상) 25%, 토지 11%, 빌딩(50억원 초과) 10%, 상가 5% 등이 뒤를 이었다. suc@ekn.krclip20230409111242 출처=하나금융연구소 clip20230409111407 출처=하나금융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