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국내은행들이 당분간 가계대출 문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30일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 설문 결과를 보면 국내 은행의 4분기 대출태도 지수는 -11로 전분기(-2) 대비 9포인트(p) 낮아졌다. 이번 설문조사는 총 204개 금융사의 여신 총괄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신용위험,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에 대한 평가를 가중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를 산출한다.지수가 음수(-)면 ‘(신용위험·대출수요) 증가’ 또는 ‘(대출태도) 완화’라고 답한 금융기관 수가 ‘감소’ 또는 ‘강화’보다 적었다는 의미다. 국내은행의 4분기 대출태도 지수가 음수인 것은 은행들이 전반적으로 대출 태도를 강화할 것이란 뜻이다. 차주별로 보면 가계주택은 3분기 11에서 4분기 -11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14) 이후 처음 음수로 나타났다. 가계일반은 -8에서 -6으로 상승했다. 한은은 "가계에 대한 대출태도는 장기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관리 방안 실시 등을 반영해 가계주택 중심으로 강화될 전망"이라고 했다. 대기업은 0, 중소기업은 -6으로 각각 나타났다. 한은은 "대기업의 경우 최근 대출 취급이 확대된 상황에서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지속 등으로 중립을 보일 전망"이라며 "중소기업은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에 따른 리스크 강화 등으로 강화된 대출 태도가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은행들이 예상한 4분기 신용위험지수는 29로, 전분기(31) 대비 2p 낮아졌다. 4분기 대기업의 신용위험 지수는 8, 중소기업은 31로 전분기 대비 각각 2p, 3p 상승했다. 4분기 가계 신용위험은 3분기 31에서 4분기 25로 6p 내렸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한은은 "기업 신용위험은 일부 업종, 영세 자영업자 채무상환 능력 저하 등으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했다. 이어 "가계 신용위험도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 증대 영향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4분기 대출수요 지수는 16으로 전분기(14) 대비 2p 상승했다.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지속으로 운전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대기업(14)과 중소기업(28)은 대출수요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반면 가계주택(3), 가계일반(0) 등 가계대출 수요는 실물경기 둔화, 금리 상승 등 영향으로 중립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4분기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지수를 보면 상호저축은행(-22), 상호금융종합(-30), 신용카드(-14), 생명보험(-9) 모두 대출 문턱을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연체율이 상승하며 비은행 기관들이 여신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점을 반영했다. 비은행 기관의 차주 신용위험은 모든 업권에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취약 차주의 채무상환 부담이 늘어나고, 부동산 관련 대출에 대한 신용리스크가 여전하다고 분석됐다. 상호저축은행(37)과 상호금융조합(44)은 모두 전 분기보다 10p, 1p 하락했지만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신용카드(29)와 생명보험(31)은 전분기 대비 22p, 11p 각각 상승했다. 대출수요의 경우 업권별로 전망이 갈렸다.상호저축은행(9)과 생명보험(6)은 가계 생활자금 중심으로 대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상호금융조합(-1)과 신용카드(0)는 중립 수준으로 관측했다. dsk@ekn.kr자료=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