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주가 부진으로 올해 국내 증시에서 삼성그룹 시가총액이 160조원 넘게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 상장된 삼성그룹 종목들의 합산 시가총액은 지난 26일 기준 548조441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709조6920억과 비교하면 올 들어 약 161조2500억원, 22.7% 쪼그라들었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삼성그룹 종목은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22개 종목(우선주 포함)으로, 이들 시총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6일 기준 27.57%로 조사됐다. 지난 2021년 1월 초 38%대까지 올랐던 수치가 올해 하반기 들어 30% 아래로 내려오더니 최근 27%대까지 내려온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코스피에 입성한 지난 2016년 11월 이후 수치와 비교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기도 하다. 대장주인 삼성전자 주가가 같은 기간 31.71% 빠진 영향이 컸다. 아울러 삼성SDI(-47.66%), 삼성E&A(-42.68%), 호텔신라(-42.58%), 삼성에스디에스(-23.94%) 등을 포함한 14개 종목이 약세를 보였다. 한편 금융 계열사인 삼성생명(45.44%), 삼성화재(40.68%), 삼성카드(26.58%) 등은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기대감에 올랐다. 최근 조선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삼성중공업(49.37%)도 크게 상승했고, 외국인의 매수세가 두드러졌던 삼성바이오로직스(23.28%)도 올랐지만 그룹 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부진을 만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삼성그룹을 주 테마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KODEX 삼성그룹밸류'는 올해 들어 14.15% 내렸다. 또한 'TIGER 삼성그룹펀더멘털'과 'ACE 삼성그룹동일가중'은 각각 13.12%, 3.86% 하락했다. 증권가에선 그러나 삼성전자 주가가 내년에 쉽게 반등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이달 들어 NH투자증권(9만→7만5000원), KB증권(8만→7만원), DB금융투자(9만→7만9000원), iM증권(7만2000→7만1000원) 등 다수 증권사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내렸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