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부동산 시장 침체기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부촌인 서울 강남구에서는 최근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 때문에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오를 곳은 결국 오른다’는 말 또한 나오고 있다.11일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강남구 청담동 ‘청담8차상지리츠빌’ 전용면적 203㎡는 지난 5일 2020년 4월 직전거래가(26억3500만원)에 비해 12억원 이상 상승한 38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최근 강남구 내에서는 고급 아파트들을 위주로 신고가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청담동 ‘상지리츠빌카일룸2차’ 전용면적 244㎡는 2019년 11월 64억5000만원에 계약을 체결했지만 지난 3월 18일 82억1000만원에 거래돼 17억6000만원 급등하면서 신고가를 썼다.청담동 ‘청담대우로얄카운티6차’ 전용면적 166㎡ 또한 지난 3월 9일 29억2000만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직전거래에 비해 4억4000만원 오른 가격으로 신고가를 기록했다.신사동 ‘압구정하이츠파크’ 213㎡(60억원), 압구정동 ‘신현대’ 전용면적 107㎡(58억원), 삼성동 ‘롯데캐슬프레미어’ 전용면적 101㎡(27억6000만원), 삼성동 ‘쌍용플래티넘’ 전용면적 152㎡(25억원), 도곡동 ‘타워팰리스’ 전용면적 84㎡(22억5000만원) 등 최근 강남구 내에서 수억원의 가격 급등세를 연출하면서 신고가를 기록하는 아파트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웃돈 주더라도 매물 없어…가격 상승할 수밖에이처럼 최근 강남구 내 고급 아파트 단지들에서 신고가가 기록되고 있는 것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매물이 귀해지면서 희소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청담동 내 A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청담동, 신사동, 압구정동 등 강남구 고급 아파트에서 최근 신고가가 기록되고 있는 것은 해당 단지들의 세대수가 워낙 적고 매물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며 "수요는 많은데 물건이 없으니 매물이 나오면 가격과 상관없이 사려는 사람이 대부분이다"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재건축 등의 호재는 전혀 없지만 매물이 귀하기 때문에 웃돈을 주고서라도 입주하고 싶어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강남구 고급 아파트 인기, 향후에도 지속될 것부동산 시장은 경기 침체,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고금리 등의 여파로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첫째 주(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13%으로 4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올해 들어 정부가 시행한 전방위적 규제완화의 영향으로 최근 일부 수도권 지역에서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침체기를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최근에는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7주 연속 이어나가던 하락폭 축소 행진이 멈추기도 했다.반면 강남구 고급 아파트들은 이러한 침체 분위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무풍지대로 여겨지고 있다.해당 단지들의 인기는 부동산 시장 냉각기에도 계속해서 이어져왔으며 고급화 전략, 최적의 입지, 희소성 등을 이유로 앞으로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전문가들은 강남구 일부 아파트들은 일반적인 지역들과 궤를 달리한다는 점을 시사했다.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최근 강남구 압구정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기한이 연장되면서 거래에 제약이 생겼지만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해당 지역이 투자에 알맞은 지역이라는 뜻"이라며 "그러한 지역에 고가 아파트들은 거래할 수 있는 매물이 한정적이다 보니 희소성이 생겨 높은 가격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송 대표는 이어 "강남구와 같이 소득계층이 높은 지역은 일반적인 주택 가격과는 다르게 움직일 것"이라며 "해당 지역 내에서도 고급 주택들은 따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daniel1115@ekn.kr부동산 시장 냉각기에도 서울 강남구에서는 10억대 이상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3년 연속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1위를 차지한 서울 강남구 청담동 ‘더펜트하우스청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