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연임을 확정한 영향으로 중국 기업들의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다. 이 영향으로 중국 부호들의 재산이 하루만에 총 350억달러(약 50조 2000억원) 이상 증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 주가가 24.6% 급락해 황정 핀둬둬 창업자의 재산이 약 51억달러(약 7조 3100억원) 줄었다. 마화텅 텐센트(텅쉰) 창업자와 중국 최고 부자인 생수업체 농푸산취안 창업자 중산산의 순자산은 각각 25억달러(약 3조 6000억원), 약 21억달러(약 3조 200억원) 줄었다. 이어 인터넷·게임업체 넷이즈의 딩레이 창업자가 약 18억달러(약 2조 5800억원),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는 10억달러(약 1조 4300억원)의 자산 감소를 겪었다. 지난 주말 마무리된 중국 공산당 지도부 개편에서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전원 시진핑 국가 주석의 측근 인사들로 채워지면서 당국의 민간기업 통제가 계속되고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우려에 전날 범 중국·홍콩 증시는 큰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전날 홍콩 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36% 떨어진 1만 5180.69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초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특히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7.30% 추락했고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2.02%), 선전성분지수(-1.76%)도 급락 마감했다. 이날 주가 하락 외에도 전부터 중국 부자들은 제로 코로나 정책 등으로 인해 올해 이미 10년 만에 최악의 재산 감소를 경험했다.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으로 전 세계 500대 부호 중 중국인 억만장자는 76명이고 순재산 규모는 총 7830억달러(약 1127조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79명, 순재산 총 1583조원)보다 인원과 재산 모두 줄어들었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중국 증시가 시 주석 1명의 뜻에 따라 좌우되는 고위험 투자처가 됐다고 진단했다. CEB인터내셔널인베스트먼트의 연구책임자인 배니 람은 "시장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시 주석의 측근으로 채워지면서 시장 친화적이지 않은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시 주석의 능력이 강화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범 중국 증시와 위안화 환율은 25일에는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 전날 큰 낙폭을 기록했던 홍콩 항셍지수는 이날 장중 2% 넘게 올았고 CSI 300 지수는 1% 올랐다. 하지만 중국 역내 위안화 가치는 이날 달러당 7.3079위안까지 떨어져 2008년 초 이후 최저치였던 전날 기록을 경신했다. 역외 위안화 가치도 달러당 7.3686위안까지 하락해 2010년 거래 시작한 이후 최저치를 갈아치웠다.인사말 하는 시진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