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호수·바다 옆 ‘워터프론트’ 아파트, 높은 인기에 가격↑

수요자들 사이에서 호수·바다·강 입지에 녹지 인프라를 갖춘 '워터프론트' 아파트 단지의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탁 트인 조망과 물길을 따라 형성된 공원‧녹지 인프라가 쾌적한 생활환경을 갖춘 워터프론트 단지들은 '수세권'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내며 몸값을 올리고 있다. 7일 KB부동산시세에 따르면 최근 워터프론트 단지들은 해당 지역 내에서 다른 아파트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가격에 팔리고 있다. 예컨대 경기도 파주 운정 호수공원 인근 수세권 아파트인 '해솔마을 7단지 롯데캐슬' 84㎡A 타입의 경우 평균 매매가격이 지난 7월 기준 5억1000만원인데, 이는 인근 비수세권 아파트 동일 면적 평균 매매가(4억3500만원)보다 7500만원 가량 높은 금액이다. 수도권 이외 지방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다. 강원도 속초 영랑호 워터프론트 단지인 'e편한세상영랑호' 84㎡C 타입의 지난달 평균 매매가격은 4억5000만원으로, 인근 비수세권 아파트 동일 면적평균 매매가격(3억6000만원)과 9000만원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주거 및 자연환경을 중요시하는 수요자들의 성향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게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최근 주택시장 전반에 쾌적한 주거환경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면서, 호수 및 바다 인근에 위치한 단지들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서 발표한 '부동산 트렌드 2024'에 따르면 주택 결정 시 주요 고려 요인 중 '주거·자연환경 쾌적성' 항목은 23%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앞으로 이사갈 때 주택을 결정하는 요인에서도 37%의 높은 선택을 받았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워터프론트 단지들의 경우 인근으로 들어설 수 있는 부지가 한정된 만큼 희소가치가 높다는 점이 단지 몸값을 끌어올렸다"며 “수세권 단지는 지역 고급 아파트라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강이나 호수 인근에 자리한 단지들이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주요 건설사들도 이같은 '워터프론트' 아파트 단지 분양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달 인천 연수구 송도동에서 분양하는 '힐스테이트레이크 송도5차'가 대표적이다. 이 단지는 송도 랜드마크시티 내 약 5000여 가구의 힐스테이트 브랜드타운 중 5차 공급분이다. 송도 랜드마크시티 내 핵심시설인 워터프론트 호수와 맞닿아 있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자랑한다. 차량 10분 거리에는 인천지하철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인천대입구역'(GTX-B 예정), '센트럴파크역' 등이 위치해 있다. 아암대로, 인천대로를 통한 제2경인고속도로와 제3경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이용도 편리해 서울 및 수도권으로 이동하기 편하다. 지하 2층~지상 26층, 12개 동, 전용면적 84~215㎡ 총 72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동일스위트가 경남 창원 진해구 웅동 일원에 분양하는 '남문 동일스위트 디 오션'도 비슷한 입지를 갖췄다. 지하 3층~지상 12층, 10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613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는 제덕항 인근 입지로 일부 세대에서는 거실에서 영구적인 바다 조망이 가능하다. 롯데건설이 광주 서구 금호동 일원에 분양 중인 '중앙공원 롯데캐슬시그니처'도 마찬가지다. 지하 3층~지상 최고 28층, 전용면적 84~233㎡ 총 2772가구 규모다. '중앙공원 1지구'민간공원특례사업으로 조성되는 단지는 인근에 풍암호수가 위치한다. 중앙공원 1지구에는 산책로, 캠핑장 등의 시설들이 들어선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수도권 집값 상승세에 묵은 미분양도 완판

최근 수도권 미분양 단지들이 잇따라 완판(완전판매)에 성공하고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주택공급 불안감이 커지면서 내 집 마련을 서두르려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7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대표적인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 단지인 서울 동작구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는 최근 771가구를 100% 계약 완료했다. 이 단지는 지난해 9월 1순위 청약 당시 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계약단계에서 대거 미분양이 발생했다. 전용면적 84㎡ 기준 분양가가 최대 14억원에 육박하며 고분양가 논란이 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신규 아파트 분양가가 계속 오르면서 기존 분양 단지의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졌다는 인식이 확산하더니 완판에 성공했다. 또 경기도 광명시 '트리우스 광명'(광명2R구역 재개발)도 최근 미분양을 모두 소화했다. 이 단지는 지난해 10월 최초 분양에 나섰지만 인근 단지 대비 1억원 이상 높은 분양가(84㎡ 기준 11억5380만원)로 총 730가구 중 105가구가 미분양됐다. 태영건설이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 오전나구역에서 선보인 '의왕 센트라인 데시앙'도 최근 완판에 성공했다. 지난해 10월 분양을 시작한 '의왕 센트라인 데시앙'은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으로 총 733세대 규모로 지어진다. 동탄~인덕원선 복선전철(예정)이 개통되면 급행열차가 정차하게 될 오전역(가칭)과 근접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주택시장 침체와 지난해 말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이 맞물리며 분양이 잠시 중단됐다. 최근 분양을 재개한 지 한 달여 만에 계약률 100%를 달성했다고 태영건설 측은 설명했다. 서울 강동구 둔촌현대1차를 리모델링한 '더샵 둔촌포레'(572가구)도 지난 3월 청약후 일부 미계약 물건이 나왔다. 하지만 최근 분양가 상승 흐름을 타면서 지난 6월 완판 소식을 알렸다. 이처럼 최근 수도권 미분양 단지들이 잇따라 완판(완전판매)에 성공하고 있는 이유는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주택시장이 회복양상을 보이면서 내 집 마련을 서두려는 수요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의 '7월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19주 연속, 전셋값은 63주 연속 상승세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45주 만에 최대 상승폭을 보이는 등 아파트를 위주로 집값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주택공급 불안감도 미분양 해소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국토연구원이 조사한 서울의 지난해 주택공급 인허가(3만9000가구) 및 착공(2만8000가구) 건수는 최근 10년간 연평균과 비교해 각각 56.7%, 44.3% 수준이다. 올 1~4월 서울 아파트 인허가 건수(6214가구)는 전년 동기(1만3515가구) 대비 45.9%에 그쳤다. 주택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주택공급 불안감이 커지면서 내 집 마련을 서두르려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며 “수도권 분양시장에 온기가 도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인허가 실적 줄자…수도권 신축 아파트 희소가치↑

인허가 실적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최근 1년간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준공 5년 이하 신축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연령별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매매가격지수 상승지표(지난 6월 기준)는 △5년 이하 2.77포인트(p) △5년 초과~10년 이하 2.50p △10년 초과~15년 이하 1.81p △15년 초과~20년 이하 1.34p △20년초과 0.39p로 집계됐다. 신축 아파트 단지일 수록 상승률이 높았던 것이다. 인천 아파트시장도 비슷하다. 지난 6월 인천 5년 이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인천 매매가격지수(86.21) 대비 4.21p 상승했다. 동기간 연식별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5년 초과~10년 이하 2.50p △10년 초과~15년 이하 2.56p △15년 초과~20년 이하 2.32p △20년초과 -1.32p로 나타났다. 신축 단지 시세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향후 인천의 신축 아파트 공급은 더욱 줄어들며 새 아파트의 희소성은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인천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4932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인허가 물량(8018가구)에 비해 61.5%나 줄어든 수치이다. 같은 기간 서울의 인허가 물량은 9300세대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66%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신 건축 트렌드를 반영한 신축 단지가 높은 가격 상승률을 나타내는 것을 당연한 일"이라며 “인천, 서울 지역에서 아파트 인허가 실적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신축 단지의 희소성은 더욱 높게 평가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에, 올 하반기 분양을 앞둔 수도권 단지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물산은 송도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부지 내에 건립되는 '래미안송도역센트리폴'을 오는 10월 분양할 예정이다. 송도역세권구역 도시개발사업은 송도역 인근 28만9976㎡(약 8만8000평) 부지를 공동주택 5개 블록과 상업시설, 학교, 공원, 도로 등을 갖춘 정비된 구역으로 개발하는 사업으로, 삼성물산이 시행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3개 블록에 해당하는 '래미안송도역센트리폴'은 지상 최고 40층, 19개 동, 전용면적 59~101㎡ 총 2549가구 대단지로, 블록별 가구수는 △1블록 706가구(전용면적 59~84㎡) △2블록 819가구(전용면적 59~95㎡) △3블록 1024가구(전용면적 59~101㎡)이다. 삼성물산은 이 중 3블록을 우선 분양할 예정이다. 래미안송도센트리폴은 삼성물산이 시행부터 시공까지 모두 진행하는 자체개발사업이다. 이 단지는 수인분당선이 지나는 송도역에 인접해 교통 편의성이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 수인선과 GTX-B노선(예정)의 환승역으로 유력시되고 있는 청학역과 가까울 뿐만 아니라, 인천발 KTX, 월판선 등의 호재도 예정돼 눈길을 끈다.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르면 현재 송도역이 포함된 수인선과 인천에서 부산 및 목포를 잇는 인천발 KTX 직결사업의 사업시행 기간 만료가 2026년, 송도역에서 판교까지 환승 없이 30분대로 이동할 수 있는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의 사업시행 기간 만료가 2028년으로 예정되어 있어 송도역 일대가 인천시의 새로운 교통 중심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포스코이앤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 또한 인천시 미추홀구학익동 일원에 자리한 '시티오씨엘 6단지'를 하반기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47층, 9개 동 총 1734가구 규모이며 수인분당선 학익역 이용이 가능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경기 오산시 양산동 일원에 건립되는 '힐스테이트 오산더클래스'를 오는 9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3층, 12개 동, 전용면적 84㎡ 단일 면적 총 970가구 규모다. 이곳은 수도권 지하철 1호선(급행)이 이미 지나고 있는 데다 병점역을 중심으로 기존 인프라가 탄탄하게 구축돼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전망이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5억 로또’…래미안 레벤투스 특공 1만2000여명 몰려

서울 강남구 도곡동 '래미안 레벤투스' 특별공급에 1만2000여명의 청약자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특별공급을 진행한 래미안 레벤투스는 62가구 모집에 총 1만2092명이 신청해 평균 19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총 11가구를 모집한 생애최초에 가장 많은 5941명이 몰렸고, 23가구를 모집한 신혼부부에는 4229명이, 11가구를 모집한 다자녀가구에는 1734명이 각각 신청했다. '래미안 레벤투스'는 도곡 삼호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단지로 지하 3층~지상 최고 18층 4개동, 총 30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조합원 및 임대분을 제외한 전용 45~84㎡ 133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분양가는 3.3㎡당 6480만원으로, 전용 59㎡ 기준 약 16억원, 전용 84㎡ 기준 약 22억원이다. 올해 6월 인근 464가구 규모 '래미안 그레이튼 2차'가 26억원, '도곡렉슬'이 29억5000만원에 각각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4억~5억원가량 시세 차익이 기대된다. 래미안 레벤투스는 이날 1순위 해당 지역(서울 2년 이상 거주자), 7일 1순위 기타 지역(서울 2년 미만 거주자 및 수도권 거주자) 청약을 받는다. 입주 예정 시기는 2026년 하반기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서울 집값 상승세 수도권 번지나…매매지수 상승세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13주 연속 상승세를 나타났다. 매매거래량도 증가하며 신규분양 물량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29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93.444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5월 6일 주 92.562의 지수를 기록한 이후 13주 연속 상승, 0.95% 가량 오른 수치다. 동기간 서울의 경우 1.97%(1.855포인트(p)) 상승했으며, 경기는 0.41%(0.375p) 증가 폭을 보였다. 또 인천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0.89%(0.815p) 상승했다. 매매거래량 역시 6개월 연속 증가 추세다. '아파트매매 거래현황'에 의하면 아파트 지난해 12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9321건으로 저점을 찍은 이후 △1월 1만2083건 △2월 1만3671건 △3월 1만6184건 △4월 1만9507건 △5월 1만9842건 △6월 2만1888건을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전세가격이 지속적 상승세를 보이면서, 아파트 매수에 나서는 수요자들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2023년 6월(82.6) 이후 최근(지난 6월 87.4)까지 12개월 연속 증가, 약 5.81% 상승했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비싼 전세가격을 감당하는 것 보다 오히려 매수에 나서는 수요자들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신규 공급 아파트를 선점하려는 움직임도 더욱 분주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빙하기’ 지방 아파트 분양, ‘공급 가뭄 지역’ 노린다

노후 아파트 비율이 높은 공급 가뭄 지역에 연내 5600여 가구의 분양 단비가 내릴 예정이다. 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최근 5년 이상 분양 물량이 없었던 지방에서 연내 분양 소식을 알린 곳은 7개 단지, 총 5674가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북 2곳, 강원, 부산, 대구, 세종, 전남 각 1곳씩이다. 공급 가뭄 지역은 구축에서 신축으로 갈아타기를 희망하는 대기수요가 풍부하고,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두드러져 분양 성적이 좋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경북 구미시 봉곡동에 10년 만에 분양된 '힐스테이트 구미더퍼스트'는 올해 7월 청약 접수 결과, 평균 2대 1, 최고 18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올해 지방 분양시장은 0점대 청약 경쟁률 사례가 속출하고 있어 비교적 성공적인 결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지난해 8월 대전 서구 탄방동에 분양된 '둔산자이아이파크'는 705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4만8415명이 몰려 평균 6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탄방동에서 2018년 'e편한세상 둔산' 이후 5년 만에 분양 소식을 알린 새 아파트란 점이 흥행 요인으로 꼽힌다. 공급 소식이 뜸했던 지역일수록 새 아파트의 가치는 두드러진다. 주변 노후화된 타 단지들과 상품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전북 전주시 서신동에 14년 만에 분양된 '서신 아이파크 e편한세상'은 2억원대에 분양된 전용 84㎡가 지난해 7월 4억5500만원에 거래됐으며, 1년이 지난 올해 7월에는 5억6000만원으로 올랐다. 같은 해 대구 달서구 본리동에 10년 만에 분양된 '달서 센트럴 더샵'의 경우 전용 84㎡가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0년 6억원대까지 올랐다. 최근에는 고금리 여파로 4억원대까지 떨어졌으나, 올해 6월 다시 5억3000만원에 매매 거래되며 회복하는 모습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아무래도 신축 아파트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 공사비 등 여러 이유로 공급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고 있어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더해져 신축과 구축의 가격 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남에서는 2000년대 분양이 아예 없었던 순천 덕암동에서 대우건설이 '순천 푸르지오 더 퍼스트'를 8월 분양할 예정이다. 순천 첫 푸르지오 아파트로 전용 84~111㎡, 560가구다. 9월에는 2017년 이후 6년간 분양이 뜸했던 강원 강릉시 회산동에 '강릉 회산 아테라'가 분양된다. 총 329가구로 조성되며, 시공은 금호건설이 맡았다. 10월에는 부산 사하구 당리동 '한화포레나 부산당리(가칭, 543가구)'와 전북 전주시 중노송동 '기자촌구역 재개발(가칭, 530가구)', 대구 북구 검단동 '대구금호지구 1차 대방디에트르(636가구)' 등 3곳이 분양될 예정이다. 이외 전북 전주시 인후동 '종광대2구역 재개발(가칭, 530가구)'과 세종 연서면 '월하리 공동주택(가칭, 850가구)' 등이 연내 분양을 예정하고 있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앗 뜨거” 7월 1순위 청약 경쟁률, 4년 만에 최고

지난달 1순위 청약 경쟁률이 4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7월 전국에서 분양된 아파트 단지 청약 결과 1순위 평균 경쟁률은 42대 1로 2020년 10월(58.7대1)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단지 별로는 신반포15차를 재건축한 래미안원펜타스(서초구)가 가장 높았다. 분양가상한제를 적용 받아 주변 시세 대비 낮은 가격으로 공급돼 큰 관심을 끌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8월 입주(일반분양 기준)하는 후분양 단지로 잔금 납부 일정이 임박함에도 불구하고 1순위 최고 1604대 1의 경쟁률, 단지 평균 52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같은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인 경기 파주 제일풍경채운정(45BL)이 1순위 평균 126.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또 서울 성북구 푸르지오라디우스파크 35.2대 1, 대전 유성구 힐스테이트도안리버파크1단지 5.9대1 순으로 청약경쟁률이 높았다. 무순위 청약도 큰 이슈였다. 동탄역롯데캐슬 전용 84㎡ 1세대가 2017년 최초 공급 당시의 분양가(4억 8200만원)로 공급됐다. 청약 당첨 시 주변시세 대비 최대 10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어 이른바 '로또청약'으로 불리며 온 국민의 관심을 끌었다. 294만 4780개의 접수자가 몰리며 역대 무순위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공급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지난달 총 2만 8323세대가 공급될 예정이었으나 실제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총 1만 3015세대(공급실적률46%)로 집계됐다. 수도권 위주로 예정물량이 많은 편이었지만 상당수 단지들의 분양일정이 8~9월로 미뤄지며 7월 공급실적률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8월 분양예정 물량은 26개 단지, 총 2만 2861세대(일반분양 1만 6,692세대)로 조사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1만 6351세대, 지방 6510세대가 공급될 예정으로 전체 물량의 72%가 수도권에서 공급된다. 수도권은 경기도가 1만 1679세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3450세대 △인천 1222세대 순이다. 지방에서는 충남이 1854세대로 분양 물량이 가장 많다. 또 △부산 1233세대△경남 877세대 △충북 847세대 △울산 803세대 △전남 560세대 △대전 336세대 순이다. 직방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비수기로 불리는 7~8월이지만, 올해는 날씨만큼이나 분양시장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며 “분양가 상승과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 심리가 커지면서 분양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영끌족’의 눈물…빚에 쫓긴 부동산 임의경매 11년만 최대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빚을 갚지 못해 경매에 넘어가는 부동산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법원에 접수된 경매 물건 숫자가 11년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4일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7월 법원에 접수된 부동산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는 총 1만3631건(8월3일 기준)이었다. 전달 1만983건에 비해 24.1%, 전년 같은 달 9328건에 비해선 무려 46.1%나 급증한 수치다. 2013년 7월 1만4078건 이후 11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임의경매는 부동산 담보 대출 채무자가 원금 또는 이자를 제때 갚지 못했을 때 채권자가 돈을 회수하기 위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행위다. 강제경매와 달리 별도의 재판가 필요 없이 곧바로 법원에 신청할 수 있으며, 대체로 은행·제2금융권 등이 채권자로서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이같은 임의 경매 건수 급증을 '영끌족'의 눈물로 해석하고 있다. 즉 2021~2022년 부동산 가격 급등시 담보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샀지만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워진 '영끌족'들로 인해 임의경매 신청이 대폭 증가했다는 것이다. 실제 임의 경매 물건 종류 별로 보면 아파트 등 주거시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집합건물(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집합상가 등)이 대폭 늘어났다. 지난 달 한달 동안 법원에 접수된 집합건물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는 5484건으로 전년 동기(3547건) 대비 54.6%나 증가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던 2022년 7월 2290건에 비하면 2.4배나 된다. 2010년 11월(5717건) 이후 13년 8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지역 별로 보면 경기 지역이 1639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759건, 서울 639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빌라 전세 사기가 임의 경매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 지역 내에서도 특히 빌라 전세사기가 많이 발생했던 수원시 권선구의 신청 건수가 129건으로 가장 많았기 때문이다. 무리한 갭투자로 대출금을 갚지 못했거나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한 임대인들의 주택들이 경매에 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구로구에서 19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광진구(41건), 강서구(39건) 등의 순이었다. 미국발 고금리 사태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임의경매는 2023년 이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집합건물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는 총 3만9059건이었는데, 2022년(2만4101건)에 비해 62%나 급증했다. 올해 1∼7월 들어서도 3만3710건나 접수돼 1년 전 2만1497건에 비해 52.8% 증가했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분양가상한제가 부른 ‘로또 청약’ 광풍…7월 3개 단지 31만명 ‘우르르’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및 분양가 상한제의 영향을 받아 지난달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역대급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약자 수가 지난 1~6월을 합한 것보다 많아 전국 경쟁률이 50대1에 육박, 44개월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총 31개 단지, 1만320가구 모집에 50만2294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청약자 수(43만3409명)보다 더 많은 규모다. 이에 따라 평균 경쟁률은 48.67대 1로 나타났다. 55.96대 1을 기록했던 2020년 11월 이후 월간 기준으로 4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분양제 상한제를 적용한 수도권 3개 단지에만 31만명이 청약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 신축 아파트보다 가격이 싼 분양가 상한제 단지는 최소 수억원의 차익이 발생해 '로또 청약'이라고 불리며 수요자들이 대거 몰린다. 지난달 1순위 청약을 받은 경기 화성시 '동탄역 대방엘리움 더 시그니처', 경기 과천시 '과천 디에트르 퍼스티지',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 등 3개 단지의 청약 신청자 수만 31만3900명에 달했다. 동탄역 대방엘리움 더 시그니처는 186가구 모집에 11만6621명(평균 경쟁률 626.99대 1), 과천 디에트르 퍼스티지는 453가구 모집에 10만3513명(228.51대 1)이 접수했다. 래미안 원펜타스는 178가구 모집에 9만3864명(527.32대 1)이 신청했다. 이 단지들은 주변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공급되는 분양가 상한제 단지들이다. 분양가 상한제 단지는 일반적으로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의 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 수요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시도별로 봐도 분양가 상한제 단지들이 분포한 경기도와 서울의 청약 평균 경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 3346가구 모집에 32만568명이 신청해 평균 95.8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793가구 모집에 14만7682명이 접수해 경쟁률이 186.23대 1에 달했다. 청약 열기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리얼투데이는 전망했다. 분양가 상한제 단지들이 줄줄이 분양에 나설 예정이기 때문이다. 강남 3구에서 그동안 분양이 지연됐던 서울 강남구 '래미안 레벤투스', 서울 서초구 '디에이치방배' 등의 하반기 분양이 예정돼 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분양 캘린더] 8월 첫째 주 전국 5475가구 청약 접수

이달 첫째 주 전국에서 5400여 가구가 분양될 것으로 전망된다. 2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8월 첫째 주 전국 9곳에서 총 5475가구(민간임대, 공공임대 포함, 행복주택 제외)가 청약 접수를 받는다. 서울에서는 강남구 도곡동 '래미안 레벤투스'(133가구)가 분양에 나서 화제다. 특히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분양가 상한제 단지로, 전용면적 84㎡ 기준 인근 아파트의 매매가를 감안하면 약 10억원 내외의 시세 차익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 30일 1순위 청약 경쟁률 527.33대 1을 기록한 '래미안 원펜타스'도 분양가 상한제 단지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인천, 경기에서도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공공택지지구 내 아파트가 공급된다. 인천 서구 '검단 아테라 자이'(709가구), 경기 고양시 '고양 장항 아테라'(760가구)의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 지방에서는 대전 유성구 '도안 푸르지오 디아델'(1134가구), 전북 군산시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군산'(275가구) 등이 청약 접수에 나선다. 견본주택 오픈 예정은 5곳이며, 당첨자 발표는 4곳, 정당 계약은 4곳이 예정돼 있다. 이현주 기자 zoo10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