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부산 다대동 옛 한진중공업 부지 개발 공공기여금 1699억원으로 조정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부산 사하구 다대동 옛 한진중공업 부지 용도를 준공업지역에서 준주거지역 등으로 변경해 개발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한 공공기여금이 1699억원으로 조정됐다. 23일 부산시는 에이치에스디와 다대동 옛 한진중공업 부지 개발과 관련한 공공기여 협상을 마무리하고 부산시의회에 의견 청취안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협상안 내용에 따르면 전체 부지(17만8757㎡)의 84.9%인 15만1792㎡는 준주거지역, 15.1%인 2만6965㎡는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한다. 이번 조정에 따라 사업자는 지하 2층, 지상 48층짜리 공동주택 11개 동, 3100가구를 건립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오피스텔, 숙박시설, 사무실 등으로 구성된 해양복합문화용지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사업자는 법정 공공기여금 1664억원을 현금 및 현물로 제공하고 인근 수리조선소 정비와 공원 추가 조성 등으로 35억원을 더 내놓기로 했다. 부산시의회 24일 해양도시안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협상안에 대한 의견청취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다대동 옛 한진중공업 부지는 2011년 공장 폐쇄 이후 유휴 부지로 방치돼 있다가 2021년 에이치에스디에 매각됐다. 앞서 해당 부지는 자금 조달 문제로 공매 위기에 빠졌지만 우선 이자로 충당할 400억원을 조달하는 것을 조건으로 3700억 원의 브릿지론을 2개월 연장하면서 급한 불을 끈 바 있다. daniel1115@ekn.krAKR20230421130500051_01_i_P4 부산 다대동 옛 한진중공업 부지 개발 조감도. 부산시

갭투기 전국 최다지역, ‘빌라왕’ 사건 발생한 ‘강서구’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는 전세금 피해의 주요 원인으로 ‘갭투기’가 지목되는 가운데 최근 3년 동안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갭투기가 발생한 지역이 서울 강서구인 것으로 나타났다.23일 정의당 심상정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주택자금 조달계획서(2020년~2022년 8월)에 따르면 해당 기간에 주택 가격 대비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갭투기 거래는 총 12만1553건이 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해당 집계 결과를 시군구별로 나눠보면 서울 강서구가 같은 기간 5910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으며 충북 청주 5390건, 경기 부천 4644건, 경기 고양 3959건, 경기 평택 3857건 등으로 뒤를 이었다.특히 강서구의 경우 5910건 중 74%인 4373건이 화곡동에 집중돼 있었다. 해당 지역은 부동산 컨설팅업체 일당이 바지 집주인을 내세워 빌라 수백채를 사들인 후 보증금을 가로챈 이른바 ‘강서구 빌라왕’ 사건이 발생한 곳이다.빌라 2700채를 보유한 이른바 ‘건축왕’의 주요 무대인 것으로 알려진 인천 미추홀구 주안동 역시 읍면동 기준으론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은 1646건의 갭투기 거래가 이뤄졌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아직 전세금 반환 피해가 표면화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짧은 기간 안에 피해 신고가 잇따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갭투기 거래가 연립 다세대 주택 등 주로 저가형 주택에서 이뤄진 점 또한 불안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해당 기간 갭투기 거래의 평균 매수가는 2억5000여만원으로 집계됐는데 전체의 71%인 8만7000여건의 거래가 3억원 미만 주택에서 이뤄졌다.주택 유형별로만 살펴봐도 서울 연립 다세대 주택은 2만8450건(23.4%), 경기·인천 연립 다세대 주택은 2만8439건(23.4%)이 거래돼 갭투기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 연립 다세대 주택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임대 목적의 거래가 많은 빌라, 오피스텔 등 연립다세대 주택은 전세가율이 매우 높게 형성돼 있다. 특히 최근처럼 집값 하락 국면에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하는 ‘역전세’ 현상이 발생해 임차인에게 피해가 돌아갈 가능성이 커진다.여기에 더해 전세금 피해 문제는 연립 다세대 주택에 그치지 않고 아파트까지 번질 가능성도 있다.전체 갭투기 거래의 29.6%(3만5886건)는 수도권 아파트에서 이뤄졌는데 그중 2만9986건이 경기·인천지역 아파트에 몰려 있다. 아파트 가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만큼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전세금 반환에 관한 갈등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daniel1115@ekn.kr서울 강서구가 지난 3년 동안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갭투기’가 발생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경기도 전세피해지원센터 전경. 연합뉴스

‘역전세난’ 우려 현실화…올해 서울 빌라 절반 이상은 하락 거래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전셋값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역전세난’(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하는 상황)이 이미 곳곳에서 현실화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올해 1분기 서울에서 전세 거래된 빌라의 절반 이상이 직전 분기보다 낮은 가격에 계약된 것으로 나타났다.23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서울 연립·다세대의 순수 전세 거래 가격을 비교한 결과 조사 대상 1471건 중 804건(55%)이 종전 거래보다 낮은 가격에 계약한 하락 거래였다.해당 결과는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동일 단지, 동일 면적에서 전세 계약이 1건이라도 체결된 거래의 최고가격을 비교한 것이다.특히 은평구, 강남구, 서초구는 대규모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의 여파로 아파트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하위 대체재인 빌라 전셋값까지 떨어져 하락 거래 비중이 컸다.은평구는 전세 거래 81건 중 54건이 하락 거래(67%)였으며 강남구는 55건 중 34건(62%), 서초구 72건 중 43건(60%)이 하락 거래인 것으로 집계됐다.도봉구(24건 중 하락 거래 16건·67%)와 양천구(60건 중 하락 거래 38건·63%)에서는 주거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구축 빌라를 중심으로 하락 거래가 발생했다.이른바 ‘빌라왕’ 등 전세사기 피해가 집중된 강서구는 1분기 전세 거래 153건 중 94건(61%)이 하락 거래였다.실제 강서구 내발산동의 한 빌라 전용면적 29.98㎡의 경우 지난해 11월 보증금 3억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했지만 지난 2월에는 같은 면적이 2억5000만원에 거래돼 3달 새 보증금 5000만원이 하락했다.일부 지역에서는 불과 몇 달 사이에 보증금이 1억원 넘게 하락해 거래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양천구 신정동의 한 빌라 전용면적 44.64㎡의 경우 전세값이 지난해 12월 3억5500만원에서 지난달 2억5000만원으로 1억500만원 하락했다. 동대문구 답십리동의 한 빌라 전용면적 29.16㎡는 지난해 12월 4억원에서 지난달 3억원으로 1억원 떨어졌다.전세 거래량 또한 급격하게 줄었다.지난해 4분기 서울에서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는 1만5873건 이뤄졌지만 올해 1분기에는 1만4962건으로 짧은 기간에 911건 감소했다. daniel1115@ekn.kr올해 서울 빌라 절반 이상이 하락 거래인 것으로 집계되면서 ‘역전세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 망원동의 한 빌라 전경.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쏟아지는 전세사기 대책…국회서 잠자는 전세사기법은?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전세사기가 민생의 근간을 흔드는 등 사회적 재난으로 번지고 있다. 정부와 국회가 전세사기 피해자들을 위한 경매유예 및 우선매수권, 저리대출 등 대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우려되고 있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공매입에 선을 그었던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매입임대 제도를 활용해 피해자의 경매 주택을 대신 매입하고 공공임대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이런 가운데 국회 계류 중인 전세사기 대책 법안 등 신속히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여론이 짙어지고 있어 관련법을 살펴본다.◇ 최우선변제·선 보상 후 비용 회수 등 법안 계류 중에너지경제신문이 23일 국회의안시스템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여야 의원들이 발의한 관련 법안이 30건 가까이 이른다. 이 중 17건이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관련 법안들은 체납 지방세보다 전세 보증금 우선 변제나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 총액 한도 확대 등을 담고 있다.구체적으로 먼저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지방세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해 세입자 거주 선택의 경매 매각 시 보증금을 지방세 체납액보다 우선 변제토록 규정했다.다만 야당에서는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지난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민기 국토교통위원장은 여야 간사에 2개의 특별법 협의를 요청했다. 조오섭 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주택임차인의 보증금 회수 및 주거안정을 위한 특별법’이다. 공공기관이 피해 금액을 ‘선 보상 후 비용 회수’ 절차로 시행하는 것이다.구체적으로 이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채권매입기관이 공정한 평가를 거쳐 적절한 금액에 세입자의 전세 보증금 반환채권을 우선 매수해 세입자를 빠르게 구제하는 방안이다.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발의한 ‘임대보증금 미반환주택 임차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은 공공기관의 채권 매입을 통해 최소 50% 이상 임대보증금을 보전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증금 미반환주택은 공공임대주택으로 전환해 피해 임차인에게 우선 공급하는 것이다.공공매입을 두고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LH의 다세대·다가구 매입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이 있고, 또한 정부가 재정투입 예산만 확보하면 현행 제도 하에서 공공매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사회적재난 목소리 짙어 전세사기법 신속 통과해야공공매입에 난색을 표했던 국토교통부는 전국 대규모 전세사기 피해가 잇따르자 결국 LH의 매입임대 제도를 확대 적용해 전세사기 피해 물건을 최우선 매입 대상으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한다.경매 유예, 우선매수권, 저리대출 등은 결국 기 대출이 있는 피해자들에게 이중대출로 인한 빚만 더 쌓이게 할 수 있다는 지적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대책이 지속 쏟아지다 보니 지난해 9월부터 국회 계류 중인 전세사기 대책 법안들의 추가 조속 통과 목소리가 모아지고 있다. 먼저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임대사업자가 보증금에 대한 보증에 가입하거나 보증계약이 해제되는 경우 세입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도록 하는 근거 등을 두고 있다.이 외에도 임대인이 임대사업자일 경우 전세 보증금 보험 가입에 관한 정보를 의무로 설명하는 ‘공인중개사법 일부개정법률안’과 임대보증금을 계약보다 우선 확인하게 하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등도 국회서 계류 중에 있다.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전세사기 피해는 ‘사회적 재난’이기에 여야가 신속하게 피해 지원·방지 관련 법안을 논의하고 국회에서 이를 통과시켜 피해자의 고통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kjh123@ekn.kr정부가 전세사기 관련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이렇다 보니 국회에 계류된 전세사기 관련법 신속 통과에 대한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계없음.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서울시, 저이용 도시계획시설 활용방안 용역 착수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서울시가 미활용되고 있는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효율적인 부지 이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는 구체적인 복합개발 방안 및 사업화 전략 등을 마련하겠단 목표로 ‘저이용 도시계획시설 복합개발 실행방안 수립’ 용역을 착수했다. 도심 내 신규 개발 가용지가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서울시는 활용이 가능한 가용부지로 시 전체 면적의 46%를 차지하는 도시계획시설에 주목했다. 시는 이 같은 시설의 잠재력을 활용해 새로운 미래 공간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용역을 통해 검토할 대상지는 기존 5000㎡ 이상 저이용 또는 미활용 도시계획시설이다. 시가 사전에 선별한 6개소를 우선적으로 검토하며 2개소 내외를 추가로 발굴할 예정이다. 우선 검토 대상지는 △서초동 남부터미널 부지 △중계동 368일원 미조성 나대지 △신내동 KT신내지점 △우면동 한국교육개발원 이전 부지 △등촌동 681-2 미조성나대지 △진관동 은평노인종합복지관이다. 추가 검토 대상지는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대상지 여건을 고려해 선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시 정책사업 및 대상시설의 역할과 기능 분석을 통해 해당 시설에 대한 이슈를 도출하고 지역 특성 및 여건에 맞는 복합개발 활용방안을 마련해서, 미래지향적 용도 도입 등으로 시민 삶에 필요한 공간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타당성 분석 등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전제로 대상지별 적정 사업화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며, 전문가 자문단 운영 및 다양한 주체와의 협업을 통해 실효성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낼 예정이다. 대상지 도시계획시설 부지에 대해 공공과 민간이 상생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해 도시계획시설의 입체 복합화를 유도할 예정이며 계획 초기 단계부터 관련 부서 간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필요한 기능이 상호 연계돼 융·복합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용역 결과는 내년 중 나올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새롭게 활용 가능한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세세히 살펴볼 것"이라며 "도시계획시설의 재구조화를 통해 시민 삶에 필요한 미래 도시활동 거점 공간을 창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giryeong@ekn.kr서울시 CI 서울시가 ‘저이용 도시계획시설 복합개발 실행방안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부영그룹, 광양목성 ‘파크뷰 부영’ 오는 22일 선착순 공급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부영그룹은 오는 22일부터 전남 광양 목성 ‘파크뷰 부영’ 민간임대 아파트의 선착순 공급을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부영주택이 시공한 ‘파크뷰 부영’은 후분양 아파트이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동 호수를 고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번 선착순 공급은 청약으로 당첨된 계약 가구를 제외하고 남은 가구에 한해 선착순으로 동 호수 지정이 가능하며 계약 절차가 끝나면 즉시 입주가 가능하다. 해당 단지는 8년 동안 이사 걱정 없이 내 집처럼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고 보증금은 일반 전세 계약과는 달리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인상 폭이 제한돼 있어 입주민들의 주거 부담도 덜어줄 전망이다. 임대보즈금은 보증보험 가입이 보장된다. 단지는 1단지가 지하 1층~지상 28층, 9개동, 전용면적 84㎡, 총 724가구로 구성돼 있고 2단지가 지하 1층~지상 28층, 9개동, 전용면적 59㎡, 766가구 규모다. 이 중 1회차 임대 공급분은 1064가구(1단지 570가구·2단지 494가구)다. 단지도보권에 광양북초교를 비롯해 광양중, 광양하이텍고교가 위치해 있어 안심 통학여건이 조성돼 있고 광양여중, 광양고, 광양여고, 광양보건대, 순천대학교 등도 가깝다. 또 대형 쇼핑몰인 LF스퀘어 광양점, NC백화점과 광양농협로컬푸드직매장, 광양5일시장 등도 가까워 편리한 주거생활을 누릴 수 있다. 광양목성 ‘파크뷰 부영’ 견본주택는 전남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 일대에 위치해 있다.giryeong@ekn.kr광양목성 파크뷰 부영 투시도 부영그룹이 오는 22일부터 전남 광양 목성 ‘파크뷰 부영’의 선착순 공급을 실시한다. 광양목성 파크뷰 부영 투시도

현대건설, 1분기 매출 46%↑…영업이익은 1.2%↑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현대건설이 올해 1분기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6조311억원, 영업이익 1735억원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45.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 늘었다.현대건설은 최근 3년간 분양시장 호조로 주택부문의 실적이 확대됐고, 사우디 네옴 러닝터널,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등 해외 대형 현장의 공사가 본격화되면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수주액은 5조9367억원을 기록해 올해 연간 수주 목표 29조900억원의 20.4%를 달성했다.현재 수주잔고는 87조6245억원으로, 약 4.1년치의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또한 현대건설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 4조4571억원, 순현금 2조7006억원에 달해 탁월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지속적인 재무구조 개선으로 지불능력인 유동비율은 176.4%, 부채비율은 114.9%를 기록했다. 신용등급도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등급으로 탄탄한 재무구조를 이어가고 있다.현대건설 관계자는 "차세대 원전, 수소플랜트, 전력중개거래사업 등 에너지 전환 신사업을 확장해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화하고, 차별화된 기술력 기반의 비경쟁 사업을 추진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kjh123@ekn.kr현대건설이 올해 1분기 연결 실적 잠정 집계 결과 매출 6조311억원, 영업이익 1735억원, 당기순이익 150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 전경.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전국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달으는 ‘깡통전세’ 우려지역이 전국 25곳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시장 사이렌’ 집계 결과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시·군·구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 80% 이상 지역이 25곳으로 집계됐다.본래 실거래가를 토대로 한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전셋값이 매매가격에 육박해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깡통전세’의 위험이 커진다.여기에 조직적인 전세사기 행각을 벌인 ‘건축왕’처럼 건물을 신축하면서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선순위 근저당권까지 있는 경우를 포함하면 깡통전세 위험 지역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란 분석이다.3월 조사 기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시 대덕구로 전세가율이 무려 131.8%에 달했다. 매매가격이 1억원이면 전셋값이 1억3000만원이 넘는다는 풀이다.대전시 중구 전세가율도 85.8%를 기록하는 등 대전시 전체 연립·다세대 평균 전세가율은 100.7%에 달했다.아울러 경기도 평택시의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이 100.4%로 100%를 넘었다.서울에서는 영등포구(86.3%), 도봉구(85.2%), 강북구(84.9%), 구로구(84%) 등 9개 구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 깡통전세 위험군으로 분류됐다.전문가들은 최근 빌라로 불리는 연립·다세대에 대한 불안심리 확산으로 전세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집값과 전셋값이 계속해서 하락할 경우 깡통전세 피해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kjh123@ekn.kr서울 강서구 화곡동 빌라촌.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건산연-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부동산금융 시장 발전 MOU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1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와 주택·부동산금융 시장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근 국내 주택·부동산금융 시장은 급격한 외부적 요인 변화 속에 장기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리 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부동산경기 하락이 본격화하고 있고, 그에 따라 미분양 물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등 부동산시장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국내 주택·부동산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정책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금융기관인 주택도시보증공사와의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위기가 반복되는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근본적인 관점에서 발굴·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세부적으로 시장 및 정책이슈에 대한 정보와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으며, 필요시 공공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는 방안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충재 건설산업연구원 원장은 "실물시장과 금융시장 사이의 연계성이 높아지면서, 금융시장 변화가 건설 경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응해 연구원에서는 주택·부동산금융을 특화연구 분야로 정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며 "주택도시보증공사와 유기적 협력을 통해 주택·부동산 금융의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는 선제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병훈 사장직무대행은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도 최근 시장 불안을 경험하면서 시장 안정화를 위한 공사의 역할 강화 방안에 대해 고민이 많다"며 "28년의 역사를 가진 건설분야 싱크탱크인 건설산업연구원과 업무 협조를 통해 보다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시되고, 또 이것이 국가 정책으로 반영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kjh123@ekn.kr주택 부동산 금융시장 ㅇㅁㅁㅇ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이병훈 주택도시보증공사 사장직무대행,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

24일부터 전세사기 피해자에 저금리 대환대출 개시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24일부터 전세사기 피해자들에 대한 저금리 대환 대출이 시작된다. 시중은행의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전세사기 피해자가 기존 주택에서 이사 가지 않고 계속 거주해야 하는 경우 낮은 금리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24일 우리은행부터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한 전세사기 피해자 대환 대출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연 1.2∼2.1% 금리에 2억4천만원(보증금의 80% 이내) 한도로 대출받을 수 있다. 단 전세보증금이 3억원 이하이고 전용면적은 85㎡ 이하여야 한다는 요건이 있다. 연소득은 70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전세사기 피해자들은 다른 전셋집으로 이사하는 경우에만 저리 전세대출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다음 달부터는 국민·신한·하나은행과 농협이 전세사기 피해자를 대상으로 대환 대출을 취급할 예정이다. kjh123@ekn.krwjstptkrl dad 24일부터 전세사기 피해자들에 대한 저금리 대환 대출이 시작된다. 사진=연합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