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전국 '깡통전세' 주의보…전세가율 80% 이상 전국 25곳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21 15:00

한국부동산원 임대차시장 사이렌 집계



거래량 적어 비공개 지역 포함 시 '우려지역' 더 많을듯

2023042101001193300056131

▲서울 강서구 화곡동 빌라촌.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달으는 ‘깡통전세’ 우려지역이 전국 25곳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시장 사이렌’ 집계 결과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시·군·구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 80% 이상 지역이 25곳으로 집계됐다.

본래 실거래가를 토대로 한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전셋값이 매매가격에 육박해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깡통전세’의 위험이 커진다.

여기에 조직적인 전세사기 행각을 벌인 ‘건축왕’처럼 건물을 신축하면서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선순위 근저당권까지 있는 경우를 포함하면 깡통전세 위험 지역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란 분석이다.

3월 조사 기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시 대덕구로 전세가율이 무려 131.8%에 달했다. 매매가격이 1억원이면 전셋값이 1억3000만원이 넘는다는 풀이다.

대전시 중구 전세가율도 85.8%를 기록하는 등 대전시 전체 연립·다세대 평균 전세가율은 100.7%에 달했다.

아울러 경기도 평택시의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이 100.4%로 100%를 넘었다.

서울에서는 영등포구(86.3%), 도봉구(85.2%), 강북구(84.9%), 구로구(84%) 등 9개 구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 깡통전세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전문가들은 최근 빌라로 불리는 연립·다세대에 대한 불안심리 확산으로 전세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집값과 전셋값이 계속해서 하락할 경우 깡통전세 피해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