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 우려가 날로 커지는 가운데, 국내 은행 입출금 동향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최근 금융사에 대한 입출금 동향을 실시간 점검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27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주부터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등 국내 금융사에 대한 입출금 동향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다. 대형 시중은행의 경우 현재까지는 예금자들의 움직임이 없으며, 인터넷전문은행 중에는 오히려 예금이 늘어난 곳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의 실시간 점검은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등으로 인한 예금자 불안 증가에 대비한 것이다. 예금 보호한도인 5000만원 이상을 보유한 일부 예금자들이 한도를 넘는 액수를 일부 이체한 것 외에는 입출금 동향에 이상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SVB 사태 발생 후 금감원이 실시한 금융권 리스크 점검 결과,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1인당 평균 예금액은 200만원대로 크게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이에 금감원은 고객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작년 9월 말 기준 국내 금융사의 부보 예금(예금보험제도 적용을 받는 예금) 가운데 5000만원 이하 예금자 수 비율은 98.1%로, 국내에서는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 가능성이 사실상 거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은 뱅크런 등 경제에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예금 전액 보호’ 조치를 대응 카드로 고려할 수 있도록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 점검에 나서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예금자 보호 한도를 1억원으로 상향하는 내용 등의 법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금융시장 충격 등으로 일시적으로 자금난에 처한 금융사에 예보가 선제적으로 유동성 지원을 하는 금융안정계정 도입안도 현재 관련 법안이 상정됐다. 당초 이복현 금감원장도 "미국 정부 및 감독 당국이 모든 예금자를 보호하기로 함에 따라 시스템적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금융 불안으로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의 고객 자금 유출을 일부 우려하기도 했는데 고객 평균 예금이 소액인 데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도 충분해 문제가 될 게 없다"고 말했다. suc@ekn.kr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사진=에너지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