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지난 3분기까지 역대 최대 수준의 이자이익을 거뒀다. 어려운 경기 속에 은행들의 이자이익 확대가 지속되자 정치권에서는 초과이익 환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은행들이 이자장사의 눈총을 받고 있는 가운데, 가계대출 증가 억제를 위한 은행들의 금리 인상은 계속되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말 기준 5대 은행의 총 누적 이자이익은 30조9366억원으로 30조원을 돌파했다. 전년 동기(28조8052억원) 대비 7.4% 증가했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7조3319억원으로 가장 많이 벌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7.1% 성장했다. 이어 신한은행(6조2563억원), 하나은행(5조9648억원), NH농협은행(5조7666억원), 우리은행(5조6170억원)이 3.8%, 8.4%, 14.7%, 4% 각각 성장했다. 농협은행이 두 자릿 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우리은행보다 더 많은 이자이익을 냈다. 5대 은행이 3분기만에 거둔 이자이익은 10조4454억원 규모로, 1년 전 대비 2.4% 늘었다. 은행권은 역대급 이자이익을 거두고 있지만 표정관리에 나서고 있다. 이자장사 지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국회에서는 이자장사로 막대한 수익을 내고 있는 은행들의 초과이익에 대해 횡재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다. 지난해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과 지난 4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각각 발의한 법인세법 개정안과 서민금융법 개정안이 대표적이다. 이후 가계대출 증가 등이 이슈가 되며 이자장사 비판은 잠잠한 듯 했으나 3분기 다시 역대급 이자이익을 거두면서 논의가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지난 27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대한 정무위원회의 종합 국정감사에서도 해당 질문이 나왔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럽연합(EU)에서 도입하고 있는 연대 기여금과 같은 방안으로 은행의 초과이익을 환수하는 것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나라마다 정책 내용이 다른 것은 정책마다 장단점이 있고, 나라 특유의 사정이 있기 때문"이라며 "어떤 방법이 좋은 지는 우리나라 특성에 맞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어려운 분들이 고비를 넘기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하겠다"며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 있다"고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이 이익을 내는 과정에서 국민들이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각국의 여러 가지 정책들을 눈여겨 보고 있지만 다양한 것을 고려해야 해 단정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은행의 초과이익을 환수해야 한다는 취지에는 어느 정도 공감을 하고 있는 만큼, 은행들이 내는 서민금융 출연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 추진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 가계대출이 계속 늘어나자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은행들의 대출 금리 인상도 이어지고 있다. 앞서 이달 이달 하나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이 가계대출 금리를 조정했고, 신한은행은 다음 달부터 일부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금리를 높일 예정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수신금리 인상 등으로 조달비용이 많이 커졌는데, 그동안 대출 금리 인상이 제한됐던 만큼 추가로 높이려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dsk@ekn.kr지난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