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연말 조직 개편을 실시한 가운데 디지털과 신사업 육성에 방점을 둔 조직 변화를 단행했다. 디지털 전쟁이 격화하고 있는 만큼 금융그룹은 그룹의 디지털 역량을 끌어올리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성장 통로를 찾기 위한 신사업 발굴에 몰두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자본시장 강화 등 은행 외 비은행 역량을 강화하면서 조직의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설 전망이다.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전날 넘버 원(No.1) 금융플랫폼과 그룹 내 데이터·인공지능(AI) 분야를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조직개편은 내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윤종규 KB금융 회장이 임기 중 단행한 마지막 조직개편이다. 먼저 디지털플랫폼총괄(CDPO) 산하에 고객경험디자인센터, IT총괄(CITO) 산하에 테크혁신센터 등 전문가 조직을 신설했다. 고객경험디자인센터는 디지털 플랫폼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사용자경험(UX) 전략을 수립하고, 테크혁신센터는 IT 기술혁신을 주도한다.기존 IT총괄 산하 데이터본부는 데이터총괄(CDO)로 격상시켰다. 데이터총괄 산하에는 금융AI센터를 이동·편제시켜 데이터 중심 경영을 강화한다. 그룹 차원의 자산운용 경쟁력 강화를 위해 AM부문과 AM기획부를 신설한 것도 특징이다. AM부문은 박정림 총괄부문장이 맡는다. 고객들의 자산관리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그룹 차원의 자산운용 역량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취임 후 처음 실시한 하나금융의 조직개편에서도 디지털과 신성장 기회 발굴에 방점을 둔 조직개편이 이뤄졌다. 먼저 두 부문은 박성호 하나금융 부회장이 총괄해 맡기로 했다. 박 부회장 산하에는 그룹전략부문(CSO)과 그룹디지털부문(CDO)이 배속된다. 또 그룹미래성장전략부문(CGO)을 배치해 신사업 개척과 파트너십 강화 등 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도록 했다.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내정자의 의중이 담긴 신한금융의 연말 조직개편에서는 그룹원신한부문과 그룹신사업부문을 신설하며 지주사의 부문별 기능을 재설계했다. 그룹의 재무성과관리를 전담해 온 지주사 경영관리부문과 지주사·자회사 겸직 형태로 운영돼 온 자산관리(WM)·퇴직연금·고유자산운용(GMS) 사업그룹장 겸직은 해제됐다. 대신 그룹신사업부문을 지주 차원에서 총괄하도록 해 바뀌고 있는 핵심 사업영역에 역량을 집중하도록 했다. 그룹 신사업부문장은 고유자산운용을 총괄해온 장동기 부사장이 맡는다. 우리금융그룹에서는 우리은행의 조직개편이 실시됐는데, 우리은행은 뉴원(WON)추진부, 고객경험디자인센터를 새로 신설하며 디지털 역량을 강화했다. 뉴원추진부는 기존 뱅킹 앱 재구축 준비 조직을 상설 부서로 확대재편한 것이다. 고객경험디자인센터는 비대면 채널의 UI·UX 업무를 담당한다. 금융그룹들은 이번 조직개편을 기반으로 내년도 사업 방향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디지털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어 관련 부서를 강화하고 디지털 기술 경쟁력을 높이려고 한다"며 "은행 서비스 외 비은행, 비금융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만큼 조직 신설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dsk@ekn.kr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