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대한항공, 3분기 전망… 미국, 유럽 노선 강세로 긍정적 전망 [하나증권]

하나증권은 대한항공이 2024년 3분기 여객과 화물 부문에서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대한항공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만7000원을 제시했다. 30일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여객 성수기였던 3분기 동안 일본과 중국 노선에서의 운임은 예상보다 낮았지만, 미국, 유럽, 동남아 노선이 비교적 안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2024년 3분기 대한항공의 국제선 여객 운임은 3% 하락한 132원/km으로 예상되며, 화물 운임은 중국 씨커머스의 견조한 수요 덕분에 17% 하락한 501원/km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4조8100억원, 영업이익은 15% 증가한 6220억원(영업이익률 12.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연료비 부담 완화가 예상되며, 4분기 실적에서 더욱 뚜렷한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통해 장기적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인수 후 아시아나항공은 자회사로서 통합 재무제표에 반영되며,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 및 부채 상환으로 비용 구조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증권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이 약 600%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자 부담은 연간 1150억 원 이상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연준, 11월 빅컷 가능성 확대…‘점진적 금리 인하’ 목소리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에 이어 11월에도 0.50%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내부에서는 점진적인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의견이 제기됐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2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가 금융 여건 완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수요 증가와 인플레이션 지속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준 업무는) 현 단계에서의 브레이크를 완화하고 정책을 점진적으로 덜 제약적으로 만드는 것과 관련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무살렘 총재는 이달 금리 인하를 지지한 인사 중 하나다. 그는 최근 몇 달 동안 노동시장이 다소 식었음을 인정하면서도, 낮은 실업률과 미국 경제의 근본적 힘을 고려할 때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연준이 빠른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해야 할 위험에 직면했지만 경제가 예상보다 약해질 경우 빠른 금리 인하가 적절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금리 인하가 너무 늦었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무살렘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기존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했다고 반박했다. 앞서 이달 금리인하 폭을 두고 25bp(1bp=0.01%포인트)와 50bp 전망이 막판까지 박빙을 이룬 가운데, 연준은 18일 기준금리 상단을 5.0%로 50bp 낮췄고 연내(11·12월) 50bp, 내년 100bp 정도의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 현재 지난 27일 발표된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시장 전망을 밑돌면서 11월 빅컷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8월 PCE 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2.2% 상승, 전월 2.5%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연준 목표치인 2%에 근접한 수준으로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1월 빅컷 가능성은 53.3%로 25bp 인하 가능성(46.7%)을 앞섰다. 인플레이션인사이츠의 오마이르 샤리프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11월 빅컷을 단행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장애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시장은 9월 비농업 고용보고서와 연준 인사들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으며, 고용보고서는 10월 4일 발표될 예정이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사상 최고 국제 금시세 2700달러 눈앞…관련 상품도 ‘고공행진’

국제 금 가격이 초강세를 이어가면서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치솟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빅컷(0.50%포인트 인하)'을 단행한 영향이다. 증권가에서는 전 세계 각국의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금값의 추가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 ETF는 3개월간 26.22% 상승했다. 상품은 금 선물지수의 2배를 추종한다. NH-아문디(Amundi)자산운용의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도 3개월간 15.75% 올랐다. 올해 1월 상장된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국내 최초 글로벌 금 채굴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NYSE Arca Gold Miner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하며 미국, 캐나다, 호주, 남미 등 글로벌 금 채굴 관련 종목에 분산 투자한다. 정기적으로 배당에 따른 분배금도 받을 수 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골드선물(H) ETF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골드선물(H) ETF은 3개월간 각각 13.37%, 13.07% 상승했다. 특히 금 현물에 직접 투자하는 'ACE KRX 금현물 ETF'도 3개월간 9.61% 상승했다. 해당 상품은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RX 금현물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종한다. 이는 국제 금값이 지난 18일 이후 연속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26일(현지시간)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 종가는 온스당 2694.9달러를 기록했고, 장중에는 온스당 2700달러 선을 웃돌기도 했다. KRX 금시장 1g짜리 금 현물의 가격도 27일 기준 11만3400원을 기록했다. 금 관련 ETF의 수익 상승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란 평가다. 시장에서 전 세계 중앙은행이 금리 인하 사이클에 돌입한 만큼 국제 금값 상승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금은 이자가 붙지 않아 통상적으로 저금리 시대에 가치가 오르는 성향이 있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도 내년 초까지 금 가격이 온스당 270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향후 1년~1년 6개월 새 트라이온스당 3000달러까지 치솟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특히 미국이 오는 11월에도 빅컷에 나설 것이 유력한 점도 금 관련 상품에 수요가 몰릴 수 있는 이유로 꼽힌다. 최신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은 2023년 7월 정책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된 지 14개월 만인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50bp 인하했는데, 현 시점에서 주목해야 될 자산이 바로 금"이라면서 “세계 각국도 당분간 금리 인하 기조에 돌입한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금 가격의 방향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급격하게 수요가 몰리며 상승세를 이어온 만큼 단기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나온다. 박수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현재 금 투자에 섣불리 나서기에는 가격 부담이 커진 것이 사실"이라며 “금 가격은 중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것임은 분명하지만, 단기적으로 금 가격이 빠르게 상승한 점은 투자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어 신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마이크론 호실적, ‘반도체 겨울론’ 잠재워…AI 수요 재확인

미국 마이크론이 기대 이상의 실적을 발표하면서 최근 제기된 '반도체 겨울론'을 잠재웠다. 인공지능(AI) 수요가 강하게 유지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실적 회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2024 회계연도 4분기(6~8월) 실적에서 매출 77억5000만달러를 기록, 월스트리트 전망치(76억6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순이익도 주당 1.18달러로 시장 예상치(1.12달러)를 넘었다. 특히 AI 관련 수요 증가로 데이터센터용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기업용 SSD 수요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마이크론의 이번 실적 발표는 AI 열풍이 메모리 시장에서 강력한 수요를 견인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HBM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며 가격 상승과 장기 계약을 이끌었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5세대 HBM3E 양산에 돌입해 메모리 시장 경쟁에서 주도권을 강화했다. 마이크론의 최고경영자(CEO) 산자이 메로트라는 “마이크론 역사상 최고의 경쟁력을 갖췄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최근 모건스탠리가 스마트폰과 PC 수요 감소로 인해 반도체 업황이 침체기에 들어설 것이라는 보고서를 내는 등 '반도체 겨울론'이 제기됐지만, 마이크론의 실적으로 AI 수요가 확인되면서 우려가 사그라들지 주목된다. 증권업계 전문가들도 메모리 시장이 짧고 마일드한 조정 후 재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며, 반도체 업황이 다시 회복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시장의 눈길은 다음 달 발표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으로 쏠리고 있다. 증권가는 삼성전자 영업이익을 10조3000억원, SK하이닉스를 6조7000억원대로 예상하고 있다. AI용 메모리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반도체 업계의 실적 회복을 견인하리라는 분석이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서학개미, 9월 첫 순매도세…차익실현과 환율 영향

국내 투자자들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미국 주식을 월 단위 기준 순매도했다. 9월에 접어들어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 주요 종목에서 매도세가 두드러졌다. 2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6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이 순매도한 미국 주식 결제액은 3억5203만달러(약 4627억원)에 달했다. 이는 올해 처음으로 미국 주식에 대한 순매도세를 기록한 달이다. 종목별로는 애플이 3억2384만달러로 가장 큰 매도세를 보였으며, 테슬라와 엔비디아는 각각 1억7453만달러, 1억7415만달러어치가 순매도됐다. 이러한 매도세는 9월 중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강화됐다. 당시 예상보다 큰 0.5%포인트 금리 인하로 주가가 상승하자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이달 말 신고점을 경신했고, 나스닥100 지수 역시 7월 기록한 고점에 근접하는 등 상승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고점에서 주식을 매도하고 수익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또한 금리 인하 후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로 미국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들이 환차손을 피하기 위해 매도세에 나선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달 말 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하락해 1310원대까지 내려앉으며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이 투자자들의 매도 움직임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다음 달 미국 주식시장이 고점을 상단으로 한 박스권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의 적극적인 경기 대응에 대한 기대감이 주식시장을 지지하지만 미국 대선과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투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앞으로도 금리 인하 논쟁은 이어지겠지만, IT와 바이오 등 주도주들은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코리아 밸류업 지수’ 공개 후 3%대↑…80% 종목 상승

지난 24일 공개된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편입된 종목들이 한 주간 평균 3%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개 종목 중 80개가 오르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리아 밸류업 지수' 종목의 평균 등락률은 2.97%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4일과 27일의 종가를 비교해 산출한 결과다. 이 지수는 24일 장 마감 후 처음 공개됐다. 시장별로는 코스닥 종목의 상승률이 코스피를 앞질렀다. 코스닥에 속한 33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4.11%를 기록했으며, 코스피의 67개 종목은 평균 2.38%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는 0.69%, 코스닥 지수는 0.93% 각각 상승해 밸류업 지수 종목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성과를 냈다. 증권업계에서는 지수 편입이 예상된 대형주보다 예상치 못했던 중소형주의 편입 효과가 컸다는 분석이다. 이 편입 효과와 유동성이 적은 중소형주의 특성이 시너지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은 코스닥 상장사 에코프로에이치엔으로 20.65% 급등했다. 효성티앤씨(15.95%), 한진칼(15.38%), 윤성에프앤씨(14.23%), F&F(12.52%), SK하이닉스(12.42%) 등이 뒤를 이었다. 섹터별로는 소재 부문이 5.77%로 가장 많이 올랐으며, 산업재(4.44%), 정보기술(3.65%) 등도 상위권이었다. 반면 헬스케어(-0.05%)와 에너지(-1.45%)는 하락했다. 정보기술 섹터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주의 편입 효과보다는 미국 마이크론의 호실적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초부터 연기금 및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 축소가 이어졌던 SM(10.24%), JYP(5.05%) 등 엔터주는 커뮤니케이션 섹터에서 새로운 밸류업 수혜주로 떠올랐다. 금융주는 주가가 이미 반영됐다는 인식에 따라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KB금융이 지수에서 빠진 가운데, 신한지주(-0.35%)와 삼성화재(-2.62%)는 하락했고, 메리츠금융지주(4.16%)와 한국금융지주(2.04%)는 소폭 상승했다. 이를 두고 밸류업 지수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자제하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종목들의 강세는 지수보다 반도체 업황 개선과 중국 경기 부양책이 주가 상승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더불어 밸류업에 집중하는 기업들이 지수에 더 많이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이차전지株 바닥 다지기 끝?…투심 회복에 반등 움직임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우려로 부진했던 이차전지주가 최근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대감과 호실적에 주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국내 이차전지 업종으로도 매수세가 유입되는 양상이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7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18조6214억원으로 코스닥 시총 1위를 수성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달 27일 알테오젠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준 이후 약 한달여 만에 코스닥 대장주 자리를 재탈환했다. 알테오젠은 지난 27일 시총 17조6453억원으로 2위로 밀려났다. 에코프로도 이달 초 연저점(7만2600원)을 기록하는 등 부진했지만 이후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면서 지난 27일 기준 주가가 9만1600원까지 회복됐다. 시총도 11조원대를 회복하면서 HLB를 제치고 코스닥 시총 3위에 안착했다. 또 다른 이차전지 대표 종목인 LG에너지솔루션도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달 초 31만1000원까지 떨어졌던 주가가 지난 27일 41만4500원까지 올랐다. 저점 대비 33.3% 상승한 수준이다. 지난해 10월 기록한 연중 최고가인 50만1000원에도 점차 가까워지는 양상이다. 이렇듯 국내 이차전지 업종 주가가 일제히 상승한 데는 테슬라를 필두로 한 '이차전지 바닥론'이 크게 작용했다. 전기차 수요 부진 우려에 한동안 시장에서는 이차전지 섹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투자 열기도 빠르게 식으면서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최근 테슬라 주가가 3분기 실적 개선 전망에 상승세를 보이면서 이차전지 업종의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테슬라 주가는 이달 들어 23.7% 올랐다. 뿐만 아니라 테슬라가 다음 달 10일 '로보택시 데이' 행사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와 자율주행 택시를 공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투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오는 11월 치러질 예정인 미국 대선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이 우세한 점 또한 이차전지주 상승세에 기여하고 있다. 이차전지 업종은 해리스 부통령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힌다. 국내 이차전지 종목들도 전기차 캐즘을 딛고 배터리 시장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나서는 모습이다. 에코프로그룹은 세계 2위 전구체 기업인 중국 거린메이와 손잡고 인도네시아에 통합 양극재 생산 거점을 마련하기로 했다. 한 곳에서 니켈 제련과 전구체·양극재 생산을 이뤄내면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증권가에서도 투자자들이 이차전지 바닥론을 토대로 위험을 감수하고 매수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현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배터리, 양극재, 분리막, 전구체 등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전부 올랐다"며 “이차전지 섹터 지수가 8월(3.7%)에 이어 9월(8.5%)에도 상승한 데는 펀더멘탈의 개선보단 수급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김윤정 LS증권 연구원은 “테슬라가 좋은 주가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국내 이차전지 업종도 바닥을 다졌단 인식이 확산되면서 매수세가 유입됐다"며 “금리 인하 사이클 도래에 따른 '리스크 온(위험 감수 전략) 속에서 반도체 섹터로 분산됐던 수급이 다시 유입됐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엔켐, CB로 자금 조달한다… “공모·사모 발행 아직 미정”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 제조업체인 '엔켐'이 전환사채(이하 CB)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발행 방식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공모 발행도 가능한 상황이다.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엔켐은 지난 19일 신용평가사로부터 본 평가를 받는 등 CB 발행을 위한 선제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엔켐 관계자는 “CB 발행 세부 사항은 내부에서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며, “자본적 지출(Capex) 투자금과 원재료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운영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발행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본 평가를 받은 만큼 공모 발행 가능성도 열려 있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사모 CB를 발행할 때는 신용평가를 거의 받지 않는다"며, “대부분 신용평가를 받는 경우는 공모 발행을 할 때"라고 설명했다. 엔켐이 CB를 발행하려는 이유는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엔켐이 주로 생산하는 전해액은 유통 기한이 짧다. 이 때문에 배터리 제조 공장 근처에 대규모 생산 설비를 보유하는 것이 납품처 선정에서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이는 배터리 셀 제조업체가 해외로 진출할 경우, 엔켐 역시 해외로 함께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현재 실적으로는 투자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5년간 영업이익 기준으로 엔켐의 최고 성과는 2022년의 154억원이다. 반면 자본적 지출은 2021년 이후 매년 500억원을 상회하고 있다. 올해 역시 상반기에만 348억 원의 자본적 지출을 기록하며, 연간 500억원 이상의 지출이 예상된다. 엔켐 사업 구조상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잉여현금흐름(FCF)기준 2021년과 2022년 각각 (-)1610억원과 (-)126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역시 상반기만 마이너스 잉여현금흐름이 648억원에 달한다. 게다가 올해 엔켐의 실적 부진은 상당하다. 올 상반기에만 112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매출 역시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엔켐은 509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4247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186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줄었다. 김서연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엔켐은 생산 능력 확대 등 성장성에 집중하는 경영 기조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성향은 설비 투자 자금 소요를 통해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며, “2019년 이후 회사의 자본적 지출(Capex) 규모가 영업 현금흐름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면서 잉여현금흐름은 마이너스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원식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해외 공장 신증설 및 원자재 조달 내재화 관련 투자가 이어지면서 영업 현금흐름을 초과하는 자금 소요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와 동시에 전방 전기차 수요 둔화 및 판가 인하로 인해 수익 창출력이 저하되면서 차입금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반도체주 겨울’? 주식형펀드도 서학개미 웃상, 동학개미 울상

최근 한 달 새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이 해외 주식형 펀드와 달리 눈에 띄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펀드 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서 지난 26일 기준 설정액 10억원 이상 국내 주식형 펀드 1개월 평균 수익률은 –4.75%였다. 세부적으로 액티브 주식 펀드 수익률은 -5.15%, 인덱스 주식 펀드는 -4.61%였다. 이는 같은 기간 평균 수익률 2.48%를 기록한 해외 주식형 펀드와 특히 대비된다. 또한 한 달 새 0.98% 내린 코스피 수익률에도 한참 못 미치는 성적이다. 당초 국내 증시에는 주요국 금리 인하 바람으로 인한 동반 훈풍이 예상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18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50bp(1bp=0.01%p)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하고 일본은행(BOJ)도 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그러나 상승 동력 잃고 발목이 잡힌 것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국내 증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부진 영향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KRX 반도체 지수는 지난 한 달 사이 4.76% 하락했다. 특히 글로벌 투자 은행 모건스탠리는 추석 연휴인 지난 15일 '메모리-겨울은 항상 마지막에 웃는다'(Memory-Winter Always Laughs Last)는 제목의 반도체산업 보고서를 냈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일반 D램 가격 하락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 과잉을 이유로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54%나 낮췄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매도에 나서면서 미국 등 글로벌 증시 반등 분위기 속에서도 국내 증시는 하방 압력이 지속됐다. 다만 지난 2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반도체주가 다시 급반등했다. 이에 투자 심리가 살아나면서 제자리 걸음을 하던 증시 대기 자금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금융투자협회는 투자자 예탁금이 지난주까지 51조원대 머물렀으나 26일 기준 54조 606억원으로 늘면서 54조원대를 회복한 것으로 집계했다. 한편, 국내 투자자는 지난 한 달 동안 해외 주식 순매도에 나섰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미국 주식은 2억 6096만달러(3428억원), 일본 주식은 5095만달러(669억원), 유로 시장 주식도 362만달러(48억원), 중국 주식은 225만달러(48억원) 순매도 결제했다. 다만 미국 ICE 반도체 지수를 정방향 3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DIREXION DAILY SEMICONDUCTORS BULL 3X SHS ETF)는 최대 순매수 종목이 됐다. 해외 주식 순매도 속에서도 국내 투자자는 해당 ETF를 1억 1264만 6623달러(1484억원) 순매수 결제했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