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신한금융, 그룹 통합 AI 컨택센터 오픈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신한금융그룹은 16일 그룹 통합 AI 컨택센터(AICC) 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대고객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AICC는 인공지능을 통한 음성봇과 챗봇 등이 소비자 질문에 답변하는 지능형 고객센터다. 그동안 신한금융의 각 그룹사들은 각각의 AI 모델로 AICC를 구축, 운영해왔다. 신한금융의 이번 그룹 통합 AICC 플랫폼 구축은 △AI 역량 통합에 따른 플랫폼 강화 △공통 관리를 통한 비용 절감 △향후 그룹사 추가 이용·신규 서비스 채널 확장 등 AICC의 완성도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의 각 그룹사들은 기존 서비스 업그레이드와 신규 서비스 추가도 진행했다. 신한은행(신한 SOL뱅크)은 △대고객 AI 상담 서비스 △여신 관련 대고객 통지성 업무 △퇴직연금 관련 고객지원 업무 등을 업그레이드했다. 또 AI 음성봇과 ARS를 이용한 상담 시 멀티모달(Web View를 활용한 업무 채널) 기능을 활용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신한카드(신한 SOL페이)는 AI 음성봇 서비스를 도입해 △결제내역 안내 △분실신고와 해제 △카드 발급심사 △대출상담 등에 활용함으로써 고객에게 더욱 편안하고 신뢰감 있는 서비스를 전달할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신한 SOL증권)은 지난달 카카오톡 챗봇 서비스 신규 오픈에 이어 신용거래 만기연장, 우편물 반송해지 등 챗봇 다빈도 질문을 바탕으로 고객의 직접 업무처리가 가능한 서비스를 연내에 추가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제주은행은 AI 상담 서비스를 신규 도입해 제주은행 모바일 앱인 JBANK의 챗봇 ‘지니’와 AI 음성봇 서비스를 지방은행 최초로 제공한다. 특히 제주은행의 AI 챗봇은 금융 업무 뿐만 아니라 ‘제주방언사전’, ‘도민추천맛집’ 등 제주도만의 지역색을 살린 비금융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이번 그룹 통합 AICC 플랫폼 구축 및 대고객 서비스 오픈은 디지털 기술 고도화를 통한 관리 효율성과 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해 진행됐다"며 "신한금융은 앞으로도 그룹 비전인 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끊임 없이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dsk@ekn.kr신한금융

이베스트투자증권, 22일 ‘대학생을 위한 주식 투자 강연회’ 개최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오는 22일 ‘대학생을 위한 주식 투자 강연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이베스트투자증권의‘대학생을 위한 주식투자강연은 주식 투자 강연과 함께 증권사 취업 멘토링까지 받을 수 있는 오프라인 행사다. 전국 대학 순회를 목표로 지난 9월 세종대학교에 이어 이번에는 경희대학교를 찾는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주최하고 투자교육 플랫폼 ‘FM스쿨’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학생회 LEAD’가 주관한다.연사로는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사, 이현민 글로벌상품영업팀장과 FM스쿨 강사 겸 유튜버 ‘황금별’이 강연자로 나선다. 염 이사는 ‘2차전지&ESG’, ‘대학생을 위한 올바른 투자 노하우’를 주제로 강연한다. 이 팀장은 ‘증권사 취업 꿀팁’, 유튜버 황금별은 ‘미국 배당주 투자 노하우’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참가 신청은 FM스쿨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 150명까지 가능하다. 사전 신청 시 염 이사가 쓴 한정판 책자인 ‘2차전지 함께 배우기’가 제공된다. 또한 참석자 전원에게는 FM스쿨 온라인 1개월 구독권, 웰컴키트, 간식이 지급되며, 추첨을 통해 치킨 교환권, 스타벅스 상품권도 추가로 제공될 예정이다.이 팀장은 "대학생을 위한 주식투자강연은 세종대학교, 경희대학교 외에도 전국 대학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진행될 예정"이라며 "주식 투자와 금융업계 취업에 관심 있는 대학생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suc@ekn.kr이베스트투자증권은 오는 22일 대학생을 위한 주식 투자 강연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특징주] 툴젠, 세계 첫 유전자 편집 치료제 승인 소식에 ‘상한가’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바이오 업체 툴젠의 주가가 상한가를 쳤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53분경 현재 툴젠은 전일 대비 1만4200원(29.83%) 오른 6만1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현지시간 16일 툴젠의 유전자 편집 치료제 ‘카스커비(Casgevy)’가 영국 의약품규제당국(MHRA)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받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사상 첫 유전자 편집 치료제로, 향후 관련 시장이 동반 성장하리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툴젠은 세계 최초로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유전자 교정에 성공했던 김진수 전 서울대 교수가 창업한 회사로, 현재 희소질환 치료제인 ‘TGT-001’ 등을 개발 중이다. suc@ekn.krclip20231117105607

[특징주] 두산테스나, 내년 업황개선 기대 증권가 전망에 매수세 유입

[에너지경제신문 양성모 기자] 두산테스나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강세다. 내년 스마트폰 출하 증가 등에 따른 이익개선이 전망된다는 증권가의 장밋빛 전망이 매수세로 이어지고 있다. 17일 오전 10시 38분 현재 두산테스나는 전 거래일 대비 11.09%(6100원) 오른 6만1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주가는 장중 6만2000원까지 뛰면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주가 상승세는 이익개선 기대감 때문이다.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지난 15일 보고서를 통해 두산테스나의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 한편 목표주가를 6만5000원으로 상향했다. 남궁현 연구원은 "2024년 실적은 매출액 4002억원, 영업익 854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5%, 27%증가할 것"이라며 "2021년 이후 올해까지도 스마트폰 출하량은 역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3년을 마지막으로 2024년 스마트폰 출하량은 성장 전환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2024년 차량용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면서 "반도체 요구량이 많은 자율주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주요 고객사는 차량용 반도체 수주에 집중하고 있어 완성차 업체의 서플라이체인 다변화에 따른 낙수효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두산테스나_logo 사진=에너지경제 DB

[특징주] 캡스톤파트너스, 주가 12% 하락…1만원대 깨져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캡스톤파트너스 주가가 17일 장 초반 13% 가까이 하락하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11분 기준 캡스톤파트너스는 전일 대비 12.77% 하락한 8740원에 거래 중이다. 캡스톤파트너스는 ‘당근’, ‘직방’, ‘센드버드’, ‘컬리’ 등 다수의 유니콘을 초기에 투자해 키워낸 국내 1세대 벤처캐피탈(VC) 기업이다. 지난 15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해 상장 첫날 공모가(4000원) 대비 129.50% 급등한 91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에는 1만20원을 기록하며 1만원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주가가 급락하며 8000원대로 내려갔다.giryeong@ekn.kr캡스톤파트너스_CI 캡스톤파트너스 CI. IR큐더스

성광밴드 낮아진 이익 목표치 긍정적인 향후 전망 ‘매수’ [신한투자증권]

[에너지경제신문 양성모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17일 성광밴드에 대해 3분기 이익 감소와 4분기 실적 저하 우려에도 액화천연가스(LNG) 수요증가와 관련 프로젝트 수주 등으로 이익개선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7000원을 제시했다. 성광밴드의 3분기 연결실적은 매출액과 영업익은 각각 578억원, 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20%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전망치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9%, 27% 하회하는 쇼크다. 실적부진 이유는 2022년 3분기와 올 1분기 수주 부진 영향이 매출로 반영됐고, 매출 감소에 따라 수익성도 하락했다. 3분기도 신규수주가 494억원으로 5% 감소했다. 샤인, 카타르, 북미 수주 등 기대했던 프로젝트들이 지연되고 있어서다. 다만 지나친 우려는 기우라는 설명이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2분기 수주 부진으로 내년 1분기 실적 눈높이를 낮춰야 하겠지만 수주 상황에 따라 내년 2분기부터 회복이 가능하다"면서 "주요 건설사의 2021~2023년 수주 증가세는 2025년까지 이어지고, 삼성중공업의 FLNG 수주 물량도 발주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LNG 사용량 증가는 2040년까지 증가하고 생산 프로젝트도 급증하고 있다. 중동 투자도 유가 회복과 함께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다만 고금리 영향으로 지연된 프로젝트들의 2024년 발주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01.33379331.1 사진=에너지경제 DB

하나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주택연금 활성화 사업 MOU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하나은행은 한국주택금융공사와 고령층 및 중장년층의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주택연금 활성화 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국민의 주거 행복을 책임지고, 주택금융의 장기적, 안정적 공급을 통한 국민의 행복 증진과 국민경제에 이바지 하고 있는 주택금융파트너다. 특례보금자리론, 안심전환대출 등을 공급해온 준 정부기관이다. 주택연금은 만55세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유하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금융기관으로부터 종신연금수령을 보장하는 상품이다. 하나은행과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주택연금 활성화 방안 개발 및 운영 ▲상담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 ▲공동 홍보계획 수립 및 추진 등을 할 예정이다. 또한, 하나은행은 은행업무가 불편한 고령층을 위해 은행직원이 직접 방문하는 등 금융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전국 영업점에서 주택연금 상담이 가능하도록 개편한다. 이승열 은행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고령층이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고, 은행이 함께 협력해 최적의 금융거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하나은행 하나은행은 16일 오후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주택연금 활성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이승열 하나은행장(사진 오른쪽)이 최준우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사진 왼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특징주] 신성델타테크, 3거래일만에 ‘약세’…7%↓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신성델타테크 주가가 장 초반 6%대 하락해 3만원대로 추락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에서 신성델타테크는 오전 11시 17분 전장 대비 2950원(7.02%) 하락한 3만9050원에 거래 중이다. 신성델타테크는 지난 15일과 16일 각각 16.26%, 3.07% 상승하면서 4만원대를 회복하기도 했다. 앞서 신성델타테크는 지난달 신성에스티의 상장 기대감에 6만원대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하지만 신성에스티 상장을 하루 앞둔 이날은 장 초반 4만9650원까지 밀렸고 이내 하락했다. 신성델타테크는 신성에스티 지분의 25.5%를 보유하고 있다. 신성델타테크 외 특수관계인 4명은 신성에스티의 57.5%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초전도체 논란은 해외 학계에서도 진행 중인 만큼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다만, 상온 상압 초전도체 ‘LK-99’를 둘러싼 논란이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에 힘이 실리면서 신성델타테크 등 관련 종목의 관심이 시들해진 상황이다. 연구도 계속된다. 지난달 아르멘 굴리안 미국 채프먼대학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 해군 산하 해군연구청(ONR)에서 10만달러를 지원 받아 LK-99 박막의 상온 초전도성을 검증하고 활용 방안을 연구하는 등 검증을 이어갈 전망이다. yhn7704@ekn.kr2023082201001163300055751 퀀텀에너지연구소 및 한양대 연구진이 공개한 상온 초전도체 ‘LK99’.

[특징주] 에코프로머티, ‘뻥튀기 IPO’ 논란 딛고 40% 급등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에코프로 계열사이자 이날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이하 에코프로머티)가 장 초반 40%에 가까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25분경 에코프로머티의 주가는 공모가(3만6200원) 대비 1만4100원(38.95%) 오른 5만300원에 거래되고 있다.앞서 에코프로머티는 최근 공시한 3분기 실적에서 3분기 매출액이 2400억원, 영업손실 6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혀, ‘뻥튀기 IPO’ 논란이 있었던 파두의 전철을 따라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우세했다. 특히 상장 과정에서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해 밴드 하단에서 공모가가 결정됐고, 일반 투자자 청약 경쟁률도 예상치를 밑돌기도 했다. 그러나 에코프로 및 기존 주요 주주들이 자발적 보호예수에 나선 것이 상장 당일 개인 투자자들의 투심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에코프로는 지분율 45%에 대해 30개월 보호예수를, 2대 주주(25%)인 BRV캐피탈은 6개월 보호예수를 확약한 바 있다. 또다른 재무적투자자(FI)인 IMM인베스트먼트도 보유 지분 2.6%를 6개월간 팔지 않기로 했다. 또한 최근 공매도 금지 조치가 전면 실시되며 이차전지 투자심리가 되살아나고, 미국의 추가 긴축 가능성이 축소되 것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suc@ekn.kr

삼성전자, 내년 반도체 영업익 흑자 전환 예상…목표가 9.5만 [KB증권]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KB증권은 17일 삼성전자에 대해 올해 적자를 기록한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목표주가 9만5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전년 대비 19% 감소한 3조5000억원을 기록해 시장 추정치에 부합할 것"이라면서 "올 들어 적자 1조 8000억원을 기록한 디램 사업의 4분기 영업이익이 7349억원으로 전년 동기 이후 1년 만에 흑자전환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신규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내년 예약 주문이 이미 완료돼 점유율 회복이 기대된다"며 "내년 영업이익은 33조3000억원으로 올해보다 4.6배 증가하고,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12조원으로 올해 15조원 적자에서 12조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공지능(AI) 서버 응용처 확대에 최적화된 컴퓨트 익스프레스링크(CXL), 프로세싱 인 메모리(PIM) 반도체 생산이 시작된다"며 "온 디바이스 AI에 특화된 LLW (Low Latency Wide) 디램 양산도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향후 AI 메모리 시장은 생성형 AI에 이어 고성능, 저전력의 온 디바이스 AI로 확대될 전망"이라며 "AI 기능이 서버 중심에서 스마트폰, PC 등 모든 전자기기로 응용처가 확대된다면 수요 둔화에 직면한 전기전자 분야의 신규 수요를 창출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yhn7704@ekn.kr2023102201001100600054991 삼성전자. 에너지경제신문DB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