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전기·가스요금 등 연료비 가격인상에 따른 부담이 다른 가구들보다 소득 하위 20% 가구에서 더 큰 폭으로 늘어났다. 여기에 올해 공공요금 줄인상이 예고돼 서민들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작년 1∼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6만 6950원으로 지난 2021년 같은 시기(5만 9588원)보다 12.4% 늘었다.연료비는 조명, 냉난방, 취사 등 일상 가사를 영위하기 위해 지출하는 연료 관련 비용으로 전기료, 도시가스, LPG 연료, 등유, 연탄, 공동주택난방비 등이 포함된다.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연료비는 6.8% 늘었다. 2분위는 3.2%, 3분위는 4.7%, 4분위는 7.4% 각각 증가했다. 모든 분위를 통틀어 1분위의 연료비 지출 증가 폭이 가장 컸다.전기·가스요금 인상에다가 서민들이 많이 쓰는 등유·액화석유가스(LPG) 등의 가격이 크게 뛰면서 소득이 낮은 가구의 지출이 특히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조사 기간인 작년 1∼3분기 등유 물가는 1년 전보다 57.9%, 취사용 LPG는 23.0% 각각 급등했다. 두 연료는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농어촌이나 주택에서 많이 쓰인다.이 기간 전기료는 10.9%, 도시가스료는 8.9%, 지역 난방비는 4.9% 각각 올랐다.전체 가구의 월평균 연료비는 6.7% 늘었다. 올해 전기·가스요금에다가 대중교통, 상하수도 요금 등 공공요금 줄인상이 예고돼 필수 생계비 비중이 높은 서민들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1분기 전기요금은 9.5% 올라 2차 오일쇼크 시기인 지난 1981년 이후 최고 폭으로 올랐으며 가스요금도 2분기부터 상당 폭 인상이 예고돼 있다.서울시는 지하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의 기본요금을 각 300원씩 인상하고 가정용을 비롯한 상수도 요금도 올린다. 대구와 울산은 택시 기본요금을 올리는 등 전국 17개 시도에서 공공요금을 인상하거나 인상 계획을 검토 중이다.작년 1∼3분기 소득 1분위 가구에서 주거·수도·광열 지출과 교통비가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3%로 2분위(22.2%), 3분위(17.6%), 4분위(15.1%), 5분위(11.6%) 등 다른 가구들보다 컸다. 주거·수도·광열은 주거 시설 임차비, 상하수도 및 폐기물 처리, 연료비 등 주거 관련 비용을 말한다.정부는 전기 요금할인과 에너지 바우처 단가 인상, 알뜰교통카드의 혜택 강화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에너지 비용과 교통비 부담을 덜어준다는 계획이다.axkjh@ekn.kr▲서울 시내 한 건물의 전기계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