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기름값 오늘이 가장 싸다?…국제유가 회복에 휘발유·경유 가격 반등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이 이번 주 반등했다. 최근 들어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보인 영향이다. 1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7월 둘째 주(9∼12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3.0원 상승한 L(리터)당 1572.2원을 기록했다. 주간 단위로 지난주까지 10주 연속 하락한 휘발유 가격은 11주 만에 상승했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3.2원 상승한 1642.6원,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6.9원 상승한 1539.5원이었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1580.6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가 1540.7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2.9원 오른 1382.0원으로 집계됐다. 경유 가격은 지난주까지 11주 연속 내리다가 12주 만에 오름세로 전환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 달러화 약세, 국제에너지기구(IEA)·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석유 재고 감소 및 석유 수요 증가 전망 등의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국제유가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원유는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화 가치가 하락할 경우 유가는 통상 오르는 경향이 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75.42달러에 거래를 마치면서 3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3주간 상승률은 9.05%에 달한다. 국제 벤치마크인 브렌트유의 경우 지난 4월 이후 약 3개월만에 배럴당 80달러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3.3달러 오른 배럴당 79.5달러를 기록했다. 이 또한 지난 4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4.7달러 오른 90.1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 가격은 5.3달러 오른 99.4달러로 집계됐다. 보통 2주 정도 시차를 두고 국내 제품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휘발유 및 경유 가격이 앞으로도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휘발유 경유 판매 가격 하락 (사진=연합)

‘선행지표’ 생산자물가, 세달 연속 하락할까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다음 주에 발표되는 생산자물가가 3달 연속 하락할지 관심이 쏠린다. 15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21일 ‘6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로, 최소 1개월여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되는 이유다. 생산자물가가 6월까지 석 달 연속 떨어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더욱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5월 생산자물가지수는 4월보다 0.3% 떨어져 두 달 연속 내림세를 유지했다. 대부분 국제 유가 하락 덕이지만, 작년 5월과 비교하면 0.6%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18일에는 통계청이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내놓는다. 저출산-고령화 추세와 맞물려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른 청년층 일자리의 현실을 보여주는 자료다. 오는 17~18일 인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결과도 주목된다. 세계 경제·금융 동향 및 인플레이션, 식량·에너지 불안, 개발도상국 채무 문제 등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유제품 고르는 시민들 (사진=연합)

[분양 캘린더] 7월 셋째 주 전국 3845가구 청약 접수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이달 셋째 주 전국에서 3800여 가구가 분양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7월 셋째 주에는 전국 8곳에서 총 3845가구(행복주택 제외)가 청약 접수를 받는다. 청약 접수는 인천, 대전, 강원, 경남, 제주 등 전국 곳곳에서 이뤄진다. 그 중 인천 서구 ‘인천 연희공원 호반써밋 파크에디션’(1370가구), 경남 김해 ‘더샵 신문그리니티’(1146가구)가 1000가구 이상 대단지로 공급된다. 그 외 강원 춘천시 ‘춘천 레이크시티 아이파크’(874가구), 경남 남해군 ‘남해 타운하우스’(66가구) 등 6곳이 청약 접수를 앞뒀다. ‘광명 센트럴 아이파크’, ‘둔산 자이 아이파크’ 등 대단지 아파트들의 모델하우스 오픈도 예정돼 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합리적인 분양가로 공급될 예정인 ‘호반써밋 고덕신도시 3차’도 모델 하우스를 오픈하고 본격 분양 일정에 돌입한다. 당첨자 발표는 ‘시흥 롯데캐슬 시그니처’ 등 7곳, 정당 계약은 ‘e편한세상 동탄 파크아너스 2회차’ 등 4곳에서 진행된다. zoo1004@ekn.kr최종 이달 셋째 주 전국에서 3800여 가구가 분양될 것으로 전망된다.표는 분양 캘린더.리얼투데이

5월 통화량 9.7조↓…3개월 연속 감소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지난 5월 통화량이 9조7000억원 감소하면서 3개월 연속 줄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를 보면 5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785조4000억원으로 전달 대비 0.3%(9조7000억원) 감소했다. 전월 대비 M2 통화량은 올해 1월(-0.1%) 9년 5개월 만에 처음 줄었다가 2월 0.3% 반등했다. 이후 3월(-0.2%), 4월(-0.4%), 5월(-0.3%)까지 석 달 연속 줄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SG증권발 주가 하한가 사태 등으로 인한 주식시장 불안 여파로 법인 자금을 중심으로 MMF가 9조5000억원 줄었다. 4월(-1조8000억원) 대비 감소 폭은 더 확대됐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기업 자금 수요 확대 등으로 4월 1조1000억원 늘었다가 5월 8조8000억원 감소했다. 정기 예·적금은 지난 4월 3조4000억원 줄었다가 수신금리 상승에 따라 한 달 만에 3조4000억원 늘었다. 수익증권 역시 기타펀드를 중심으로 2조8000억원 증가했다. 경제주체별로는 예금은행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에서 6조2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은 5조6000억원 늘었다. 반면 기타 부문은 4조9000억원, MMF가 포함된 기타금융기관은 4조8000억원 감소했다. 5월 통화량은 전년 동월 대비 2.3% 늘어나 전월(+3.2%)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했다. 5월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179조2000억원)은 전월 대비 0.7%(8조9000억원) 감소해 2022년 6월 이후 12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5월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전월 대비 0.1% 줄었다. 반면 광의유동성(L·말잔)은 0.2% 늘었다. dsk@ekn.kr통화 유동성 자료=한국은행.

"265만명 8월 월급 달라요"…국민연금 납부액 더 내고 수령액도↑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 11.9%인 약 265만명 정도가 이달부터 보험료를 매달 추가 납부할 전망이다. 보험료율은 그대로 소득 9%라도 보험료 부과 기준 소득(기준소득월액)이 올랐기 때문이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7월부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553만원에서 590만원으로, 하한액은 35만원에서 37만원으로 인상된다. 이는 최근 3년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평균 소득변동률(6.7%)을 반영한 액수로, 내년 6월까지 1년간 적용된다. 국민연금 같은 사회보험의 보험료는 상한선과 하한선이 정해져 있다. 세금과 달리 소득이나 재산이 많거나 적어도 무한정 올라가거나 내려가진 않는 것이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590만원은 매달 590만원을 초과해서 벌더라도 월 소득이 590만원이라고 간주해 보험료를 매긴다는 뜻이다. 하한액 37만원은 월 37만원보다 적게 벌어도 월 37만원을 번다고 가정해 보험료를 부과한다는 말이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가입자 기준소득월액에 보험료율(9%)을 곱해서 산정한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상향으로 월 소득 590만원 이상 가입자는 이달부터 연금보험료가 월 49만 7700원에서 월 53만 1000원으로 월 3만 3300원 오른다. 기존 상한액인 월 553만원과 새 상한액인 월 590만원 사이 가입자도 소득에 따라 0원 초과에서 월 3만 3300원 미만 사이 보험료가 오르게 된다. 다만 지역가입자가 아닌 직장가입자의 경우 회사가 연금보험료 절반을 부담한다. 개인 부담 기준 연금보험료는 월 24만 8850원에서 월 26만 5500원으로 월 1만 6650원 인상된다. 또 하한액 조정에 따라 월 37만원 미만 소득 가입자 보험료도 최대 1800원까지 오른다. 상·하한액 사이에 있는 가입자의 보험료는 변동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렇게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인상의 영향을 받는 가입자는 모두 합쳐 264만 6000명 정도(월 소득 590만원 이상 217만명, 월 553만∼590만원 30만 3000명, 월 35만원 이하 14만 1000명, 월 35만∼37만원 3만 2000명)이다. 이는 3월 현재 전체 가입자(2228만 9000명) 11.9%가량이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1995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월 360만원으로 묶여 있었다. 이에 해마다 가입자의 실제 소득이 올라가는 상황을 반영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연금 실질 가치가 물가 상승으로 떨어지고 적정 수준 연금 급여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연금 당국은 2010년 7월부터 매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3년간 평균소득 월액(A값)에 연동해 소득상한액을 손질하고 있다. 올해 인상 폭은 2010년 이후 가장 크다. 다만 연금 급여액을 산정할 때 기초가 되는 가입자 개인 생애 평균소득 월액이 높아지기에 노후에 더 많은 연금액을 받는다. hg3to8@ekn.kr서울 신천동 국민연금공단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신천동 국민연금공단의 모습.연합뉴스

이창용 한은 총재 "당분간 금리 인하 어렵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당분간 금리를 내린다고 얘기하기에는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금리) 내릴 것을 크게 기대하지 말라"고 했다. 그는 "연말까지 상황을 보고 금리를 조정하면서 거시적으로 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제주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대한상의 주최로 열린 제주포럼에 연사로 나서 "냉탕·온탕 통화정책이 왔다 갔다 하면 거시정책의 틀이 흔들린다"며 이같이 밝혔다.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전날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많은 분이 금리를 이제부터 인하할 때가 아니냐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며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한은이 조심스러운 것은 기저효과 등을 생각할 때 연말까지 (물가가) 3%로 올라갈 것 같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가 어려운 이유로 물가와 가계부채를 들었다. 그는 "기술적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충분히 내려갈지 확신이 없기 때문에 지켜 봐야 한다"며 "미국이 금리를 2번 정도 더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내리면 격차가 훨씬 커져서 외환시장이 어떻게 될까 하는 걱정도 있다"고 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26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한미 간 금리차는 최대 2.0%포인트로 벌어진다. 이 총재는 "금리를 3.5%로 했더니 3개월 동안 가계부채가 늘어났다"며 "단기적으로는 어쩔 수 없지만 가계부채가 큰 것은 장기적으로 큰 부담이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떨어지면 좋겠는데 트렌드가 바뀌는 모습도 있어서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해서는 "속도가 문제지만 반등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한은은 지난 5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낮췄다. 이 총재는 "미중 경제가 우리 수출 양대 축인데, 미국 경제는 생각보다 성장률이 높아질 것 같아서 우리에게 좋은 뉴스"라며 "반면 중국은 불확실성이 크다. 하반기나 내년 성장이 조금 더 불확실할 수 있다"고 했다. 또 "반도체 가격이 더 내려갈 데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얼마나 빨리 올라갈 거냐에 따라 성장률이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라 불확실성이 있지만 올해 성장률을 1.4%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변화 성장동력을 어떻게 잡느냐는 거시 통화정책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사실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사회 여러 이해 당사자가 이제는 바뀌어야 될 때가 됐다"고 말했다. dsk@ekn.kr14일 제주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대한상의 주최로 열린 제주포럼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강연하고 있다.(사진=대한상의)

쌍용C&E, 취약계층에 지역 농가 옥수수 기부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쌍용C&E가 동해 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와 취약계층 여름나기를 위해 지역 농가에서 수확한 옥수수를 구입해 본사 인근 관공서와 복지관에 기부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쌍용C&E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지역 농산물 생산 농가를 돕는 동시에 사회 취약계층에게 온정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쌍용C&E는 우선적으로 서울 남산원과 중구청 복지관, 서울애니메이션센터에 동해 지역에서 구입한 옥수수를 전달했고 추후 성북구청와 연계해 복지센터에도 기부할 계획이다. 동해 지역 옥수수는 여름철에 맛이 좋고 동절기에는 구하기가 쉽지 않아, 취약계층 여름나기에서 인기 음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쌍용C&E는 서울애니메이션센터를 방문하는 입장객들에게 지역 농가 전화번호를 기재한 옥수수를 무료 제공하는 판촉행사를 지원했다. 이는 농산물 구입 후 지역 내 소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지역 농가와 소비자를 연결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 위함이다. 이현준 쌍용C&E 대표는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고민 중에 농산물 판로 확대와 취약계층 기부를 동시에 지원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당사의 ESG 경영철학에 맞춰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하면서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zoo1004@ekn.krKakaoTalk_20230714_095440999 쌍용C&E가 ESG 경영의 일환으로 지역 농산물 생산 농가를 돕는 동시에 사회 취약계층에게 온정을 전하는 행사를 진행했다.사진=쌍용C&E

한양,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14일 견본주택 오픈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한양이 전라북도 전주시 에코시티에 공급하는 주상복합 아파트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의 견본주택을 14일 오픈하고 본격적인 분양일정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 단지는 전라북도 전주시 에코시티 주상3블록에 지하 4층~지상 최고 48층, 2개동, 전용면적 84㎡A·B·C타입 268가구(오피스텔 126실 별도, 추후 분양 예정) 규모로 조성된다. 타입별 일반분양 세대수는 △84㎡A 45가구 △84㎡B 178가구, △84㎡C 45가구다. 단지의 청약일정은 오는 24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5일 1순위, 26일 2순위 청약을 받는다. 이후 8월 1일 당첨자를 발표하고, 14일부터 17일까지 정당계약을 실시한다. 한양 관계자는 "에코시티는 전주 내에서 주거 선호도가 최상위권에 속하는 지역으로 꼽힌다.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은 에코시티 내에서도 최중심에 위치하고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 희소성까지 갖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또한, 단지는 전주 최고층의 상징성까지 겸비해 청약에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zoo1004@ekn.kr[사진자료]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한양이 전북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의 견본주택을 14일 오픈하고 본격적인 분양일정에 돌입한다. 사진은 해당 단지 투시도.한양

DL이앤씨,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 견본주택 14일 개관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DL이앤씨가 강원도 원주시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의 견본주택을 14일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단지는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 48 일원에 지하 2층~지상 25층, 6개 동, 전용면적 59~102㎡ 총 572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59㎡A 88가구 △59㎡B 49가구 △74㎡A 191가구 △74㎡B 22가구 등이다. 청약 일정을 보면 24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5일 1순위 청약 접수가 예정됐다. 당첨자 발표일은 8월 2일로 예정됐다. 분양 관계자는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은 정주여건이 뛰어난 입지에 더해 독보적인 상품성, 원주시에서 희소가치가 높은 59·74㎡ 타입 공급으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는 아파트"라며 "여기에 경쟁력 있는 분양가와 매력적인 계약 조건까지 갖춰, 이번 분양은 부담 없는 내 집 마련 최적의 기회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zoo1004@ekn.krDL이앤씨)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 투시도 ▲DL이앤씨가 강원도 원주시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의 견본주택을 14일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진은 해당 단지 투시도.DL이앤씨

신영,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오피스텔’ 견본주택 14일 오픈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신영이 충청북도 청주시 송절동 산4-2번지 일원(청주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S1 블록)에 들어서는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오피스텔’의 견본주택을 14일 오픈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시공은 대우건설이 맡았다.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오피스텔은 지하 2층~지상 27층, 2개 동으로 구성됐다. 전용면적 108㎡OA 156실, 108㎡OB 78실, 총 234실 규모다. 앞서 지난 5월 분양을 마친 전용면적 84~130㎡, 총 1034가구의 아파트까지 합치면 총 1268가구 규모를 자랑한다. 청약 일정을 보면 19일 청약 접수, 24일 당첨자 발표, 25~26일 이틀간 당첨자 계약을 실시한다. 분양 관계자는 "아파트 전용면적 84㎡에 버금가는 평면에 커뮤니티, 주차 등 기존 오피스텔의 한계를 뛰어넘는 상품성을 갖추고 있다" 면서 "합리적인 분양가에 중도금 무이자 등 부담이 낮고 전매도 가능해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zoo1004@ekn.kr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오피스텔 투시도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오피스텔’ 투시도.사진=신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