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4년만에 최대 낙폭 산업생산, 4월엔 반등했나…1분기 출산율도 주목

다음 주에는 실물 경제, 세수, 인구, 금리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들이 줄줄이 공개된다. 31일에는 통계청의 '4월 산업활동동향'이 발표된다. 3월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112.6(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2.1% 줄면서 지난 2020년 2월(-3.2%) 이후 49개월 만의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한 바 있다. 설비투자 역시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7.8%)와 자동차 등 운송장비(-2.9%) 투자가 줄어 전월 대비 6.6% 감소했다. 그러나 한국 경제가 1분기 '깜짝 성장'한 것 만큼 4월 통계에서는 이런 흐름이 반영됐을지 주목된다. 같은 날 기획재정부는 '4월 국세수입 현황'을 내놓는다. 대기업들의 법인세 세수가 쉽게 되살아나지 못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세수 펑크'가 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1∼3월 국세 수입은 84조9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조2000억원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3월 법인세 수입이 15조3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조6000억원 급감했다. 29일에는 통계청의 '3월 인구동향'이 나온다. 월별 출생아와 더불어 1분기 출산율도 집계된다. 출생아는 매달 2만명을 밑돌고 있고,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작년 4분기 0.65명으로 분기 기준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진 상태다. 31일에는 한국은행이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공개한다. 앞서 3월의 경우 시장금리와 코픽스(COFIX) 등이 떨어져 은행권 대출·예금 평균 금리가 전반적으로 내렸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8%로 작년 12월 이후 넉 달 연속 하락했고,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3.94%)과 일반 신용대출(6.14%) 금리도 각 0.02%p, 0.15%p 낮아졌다.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계속 늦춰지는 가운데 4월에도 금리 하락세가 이어졌을지 주목된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주유소 기름값 또 떨어졌다…휘발유 가격 5주만에 1600원대

국내 주유소 휘발유·경유 주간 평균 판매가격이 이번 주에도 모두 하락했다. 2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넷째 주(5월 19∼2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11.9원 내린 1691.0원이었다. 주간 단위로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4월 셋째 주(1695.1원) 이후 5주 만에 1700원 아래로 내려갔다.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이 직전 주보다 15.9원 하락한 1754.6원, 가격이 가장 낮은 울산은 12.3원 하락한 1654.8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664.9원이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1529.3원으로, 전주 대비 17.1원 내리며 4주 연속 하락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중동 리스크 및 미국 휘발유 수요 증가 추세 등에 상승했으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기조가 상승 폭을 제한했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와 같은 83.7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0.5달러 오른 91.7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0.1달러 오른 97.3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국제유가가 2~3주 전에 하락세를 보였던 점을 감안하면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다음 주에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이창용 총재 “금리인하 시점 불확실”…시장은 “이르면 8월 내린다”

한국은행이 11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며 하반기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은 3개월 후 기준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단 시장에서는 한은의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기대가 크게 바뀌지 않았다는 분석을 내놨다. 당초 예상대로 이르면 8월에는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란 예상이다. 한은은 23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해 2월부터 11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후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예상보다 양호한 성장세, 환율 변동성 확대 등으로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다"며 “기준금리를 현재 긴축적인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만큼 지난 4월에 비해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고 언급했다. 그는 하반기 금리 인하를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통화정책 기조를 일찍 전환하면 물가상승률 둔화 속도가 느려지고 환율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세도 확대될 리스크가 있다"며 “반대로 너무 늦게 정책기조를 전환하면 내수 회복세가 약화되는 가운데 연체율 상승세 지속 등으로 시장불안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양 측면의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면서 하반기 이후의 통화정책을 결정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금통위원들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 총재는 본인을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1명은 3개월 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했다. 나머지 5명은 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금통위원 1명은 물가 상승 압력이 올라간 것은 사실이지만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통화 정책의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 나머지 5명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날 한은은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란 예상 속에서도 수정경제 전망에서는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6%로 유지했다. 이 총재는 “하반기 월평균 전망치를 2.3%에서 2.4%로 변경했다"며 “연간 전망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상향 조정했는데, 첫째 자리를 변경해 전망 자체를 바꿀 정도로는 크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확인되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에서 2.5%로 2.4%포인트(p) 높였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3%에서 2.1%p로 0.2%p 낮췄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금통위 이후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전망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물가 상방 압력은 있으나 물가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한 만큼 전체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변화할 정도는 아니란 설명이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생각보다 크게 상향 조정된 점은 시장에 부담 요인일 수 있으나, 반대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되고 물가 전망치도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된 점에 근거에 해당 재료로 인한 시장 금리의 약세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오히려 금리와 연관된 펀더멘털 요인만 고려해보면 향후 정책금리의 인하 유인이 더 우세해 질 수 있다고 본다. 한은의 첫 인하 시점을 8월로 예상한다"고 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4월보다 5월 금통위 톤은 좀 더 비둘기파(완화 선호) 색채가 약화됐으나 그럼에도 매파(긴축 선호)로 전환됐다고 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했다. 그는 “올해 성장률 전망을 한은보다 낮은 2.4% 정도로 보고 있다"며 “미국의 금리 인하 실시를 확인한 후 10월 정도에는 국내에서도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고물가에 가계 실질소득 7년만에 최대 감소…실질 근로소득은 역대 최악

올해 1분기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소득 증가세에도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오른 결과다. 올해 초 대기업 상여금 감소 영향으로 실질 근로소득이 지난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며 가구 소득 감소세를 견인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3개 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전 분기(3.9%)보다 크게 둔화했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329만1000원)이 1.1% 줄어든 영향이 컸다. 가계 근로소득은 작년 대기업 실적 부진에 따른 상여금 감소 영향으로 지난 2021년 1분기(-1.3%)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반면 사업소득(87만5000원)은 임대소득 증가,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소득 증대 등 영향으로 8.9% 늘었다. 이전소득(81만8000원)도 국민·기초연금 수급액 인상, 부모급여 확대 등으로 5.8% 증가했다. 명목소득 증가에도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년 전보다 1.6% 감소했다. 1분기 기준 지난 2021년(-1.0%)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으로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실질 근로소득은 3.9% 줄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1.2% 늘어난 107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1.4% 늘어난 404만6000원이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줄며 3개 분기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8.1%였다. 흑자율은 지난 2022년 3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가 이어졌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율은 26.8%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인 평균소비성향은 71.9%로 1년 전보다 1.2%p 올랐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와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7000원, 1천125만8000원이었다. 1분위 가구 소득은 근로·이전소득 중심으로 1년 전보다 7.6% 늘었고 5분위 가구는 근로소득이 줄며 2.0% 감소했다. 5분위 소득 감소에는 삼성전자·LG 등 대기업의 상여금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1분위 가구 소득은 늘고 5분위 가구는 줄면서 소득 불평등 지표는 개선됐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1분기 5.98배로 지난해 1분기(6.45배)보다 0.47p 하락했다. 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5.98배라는 의미다. 1분위·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각각 131만2000원, 509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0.6%, 0.5% 감소했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한은 “물가 목표수준 수렴 확신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 충분히 유지”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만큼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란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겠다고 23일 밝혔다. 한은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한 후 발표한 통화정책방향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다"며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했다. 또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며 “따라서 이런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통화정책방향 전문이다.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주요국별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는 차별화되는 모습이다.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와 폭에 대한 기대 변화에 따라 주요국 국채금리와 미 달러화 지수가 상당폭 상승하였다가 반락하였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양상,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1/4분기중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소비와 건설투자도 부진이 완화되면서 성장률이 예상을 크게 상회하였다. 고용은 견조한 취업자수 증가세가 이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4분기중 조정되었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금년중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2.1%)를 상당폭 상회하는 2.5%로 전망된다. 향후 성장경로는 IT경기 확장 속도,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물가는 4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개인서비스 및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 둔화 등으로 2.9%로 낮아졌으며, 근원물가 상승률(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2.3%로 둔화되었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5월중 3.2%로 높아졌다.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금년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도 지난 2월 전망 수준인 2.6% 및 2.2%로 각각 예상된다. 향후 물가경로에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장기 국고채 금리가 국내외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에 따라 상승하였다가 반락하였고 원/달러 환율은 미 달러화 및 엔화 등 주변국 통화 흐름,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으며 높은 수준에서 상당폭 등락하였다. 가계대출은 주택관련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주택가격은 대체로 하락세를 지속하였으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관련한 리스크는 잠재해 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및 성장세 개선 흐름,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양상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속보] 한은, 올해 성장률 2.5%로 상향…소비자물가 2.6% 유지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높였다. 한은은 23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한 후 발표한 수정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기존 전망치는 2.1%로 이보다 0.4%p(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1%로 전망했다. 기존(2.3%)보다 0.2%p 낮췄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과 같은 2.6%로 제시했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기존과 같은 2.1%로 전망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속보] 기준금리 또 동결…美 금리인하 지연 부담

기준금리가 또 동결됐다. 한국은행은 23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3.5%로 유지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2월부터 11회 연속 동결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아직 2%대 안착을 확신할 수 없는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미국이 통화정책 전환(피벗)을 서두르지 않는 상황이라 한은이 먼저 기준금리를 내려 한미 금리차를 더 키우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한미 금리차는 2.0%포인트(p)로 역대 최대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한국 평균임금, OECD 평균 90% 넘어섰지만…남녀격차는 1위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었고 격차 또한 계속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문제점으로 꼽힌다. 2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의 91.6%로 역대 가장 높다. 이 수치는 2019년 89.7%에서 2020년 90.4%로 90% 선을 처음 돌파했고 2021년 90.6%에 이어 2022년 더 높아졌다. 지난 2022년 수치는 30년 전인 1992년(63.8%)의 1.4배에 이른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1992년 2만6000달러 수준에서 2011년(4만252달러) 처음 4만달러 선을 넘은 데 이어 최근 5만달러 선에 근접해 OECD 평균과의 격차가 계속 줄고 있다. 지난 2022년 한국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튀르키예는 2020∼2021년 수치가 있지만 한국보다 낮다. 아이슬란드가 7만9473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룩셈부르크(7만8310달러), 미국(7만7463달러), 스위스(7만2993달러), 벨기에(6만4848달러), 덴마크(6만4127)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멕시코는 1만6685달러로 가장 적고 그리스(2만5979달러), 슬로바키아(2만6263달러) 등도 낮은 편이었다. 일본은 4만1509달러로 25위 수준이다. 한국 평균임금이 일본의 1.2배였다. 근로자 평균임금은 한국이 2014년 4만746달러로 일본(4만257달러)을 처음 역전했다. 이후 격차가 계속 벌어져 2022년 한국은 4만9000달러에 육박하고 일본은 4만2000달러를 밑돌았다. 30년 전인 1992년에는 일본이 4만434달러로 한국(2만6214달러)의 1.5배였다. 이처럼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일본을 넘어 OECD 평균과 격차를 계속 좁히고 있지만 성별, 기업 규모별, 근로 방식별로 격차가 심한 상황이다.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1위다. 일본은 21.3%, 미국은 17.0% 정도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은 월 591만원(세전 기준)으로 중소기업(286만원)의 2.1배였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만4799원으로 비정규직(1만7586원)의 1.4배였다. 연합뉴스

5월 기업 체감경기, 석 달째 상승…제조업·비제조업 모두 개선

기업 체감경기가 석 달 연속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p) 상승한 73으로 집계됐다. 지수 수준 자체는 지난해 9월(73)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높았는데 장기 평균(77)에는 미치지 못했다. 전산업 업황 BSI는 지난 2월 3년 5개월 만에 최저수준인 68까지 하락한 이후 3월(69)과 4월(71), 5월(73) 모두 상승했다. BSI는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가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5월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1p 오른 74를 기록했다. 제조업 업황 BSI도 3개월 연속 상승했다. 2022년 11월(74)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장기 평균(79)은 밑돈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수출 호조로 부품 수요가 늘면서 자동차(+10p)의 체감 경기가 좋아졌다. 전방산업인 조선업 호황으로 기타 기계·장비(+8p)도 개선됐고, 봄철 건설 공사 진행률 좋아지며 금속가공(+5p)도 체감경기가 나아졌다. 제조업 업황 BSI를 기업 규모·형태별로 보면 대기업(+3p)과 중소기업(+1p), 수출기업(+1p)과 내수기업(+2p) 모두 올랐다. 5월 비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3p 오른 72로 집계됐다. 마찬가지로 석 달 연속 오름세지만 장기 평균(75)에는 미치지 못한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8p)과 운수창고업(+7p)의 체감 경기가 개선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백화점, 야외용품 판매점 등에서 소비재 수요가 늘었고, 국내외 물동량·연휴 기간 중 여행객도 증가했다. 시설관리, 인력파견 업체를 중심으로 신규 계약 건이 늘면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3p)도 개선됐다. 6월 업황 전망 BSI는 74로, 전월보다 1p 상승했다. 제조업(76)은 2p, 비제조업(72)은 1p 올랐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5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7p 하락한 93.8을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2.0으로, 전월보다 0.2p 내렸다. 이달 조사는 지난 7∼14일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269개 기업(제조업 1825개·비제조업 1444개)이 설문에 응답했다. 한편 한은은 기업 심리를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기존 업황 BSI의 지속적인 하향 편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기업심리지수(CBSI)를 새로 편제했다. CBSI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개별 BSI 중 경기 설명력이 높은 지수를 선정해 표준화된 합성지수 형태로 작성된다. 오는 6월부터 공표될 예정이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20대 일자리 갈수록 줄어든다…“기업, 신입보다 경력직 우선 채용 영향”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29만3000개 늘었지만 20대와 40대는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74만9000개로 1년 전보다 29만3000개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직전 분기(34만6000명)보다 다소 줄었다. 임금근로 일자리는 매분기 늘고 있지만 증가 폭은 지난 2022년 1분기 75만2000개 이후로 둔화하는 양상이다. 일자리는 사람 수를 기준으로 한 '취업자' 통계와 달리 근로자별로 2개 이상 집계될 수 있다. 가령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연령별 증감을 보면 60대 이상이 24만9000개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고 50대와 30대도 각각 11만3000개, 5만2000개 늘었다. 반면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는 각각 9만7000개, 2만4000개 줄었다. 인구 감소, 경력직 우선 채용 경향 등 영향으로 풀이된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지난 2022년 4분기(-3만6000개) 이후 5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감소 폭도 매 분기 확대되면서 작년 4분기 10만개에 육박했다. 40대 일자리도 작년 3분기 4000개 줄면서 4년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데 이어 감소 폭을 키웠다. 60대 이상은 보건·사회복지(7만5000개)·제조업(3만4000개) 등에서 주로 늘었다. 20대 이하는 도소매(-2만개), 정보통신(-1만4000개) 등에서 줄었다. 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같은 노동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69만3000개(70.8%)였다. 퇴직·이직으로 노동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50만4000개(16.9%), 새로 생겨난 일자리는 255만2000개(12.3%)였다. 폐업·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225만9000개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일자리 증감을 보면 보건·사회복지(10만7000개)가 가장 증가 폭이 컸고 숙박·음식(3만9000개), 운수·창고(3만8000개) 등 순이었다. 반면 건설업(-1만4000개), 교육(-1만4000개) 등에서는 일자리가 줄었다. 산업별 일자리 비중은 제조업이 전체의 20.8%를 차지해 가장 컸고 보건·사회복지(12.1%), 도소매(10.5%)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 지속 일자리 비중을 보면 제조업이 78.7%로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체·신규 일자리 비중은 각각 11.8%, 9.5%였다. 반면 건설업은 지속 일자리 비중이 46.5%에 그쳤다. 대체 일자리와 신규 일자리 비중은 각각 28.0%, 25.5%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와 여자 일자리가 1년 전보다 각각 8만9000개, 20만4000개 늘어 여성 증가 폭이 컸다. 다만 전체 일자리 대비 비중은 남자(56.5%)가 여자(43.5%)보다 높았다. 지속 일자리의 남녀 점유율은 각각 57.3%, 42.7%였다. 남성 일자리는 제조업(3만5000개)·운수·창고(2만2000개), 여자는 보건·사회복지(9만1000개)·숙박·음식(2만7000개) 등에서 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