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난방비 대란에 이어 전기요금 급등의 부담을 실감하게 된다. 올해 1분기 인상된 전기요금 고지서가 이번 달부터 청구되기 때문이다.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에너지 요금이 줄줄이 인상돼 한꺼번에 청구되면서 서민들이 엎친데 덮친 격으로 고통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는 것이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이달 받는 관리비 고지서에서 지난달 사용분의 전기료는 평균적인 4인 가구(겨울철 월평균 사용량 304kWh)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1만1200원 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1년 새 전기료가 4만5350원에서 5만6550원으로 약 24.7% 증가하는 셈이다. 지난해 세 차례(4·7·10월) 킬로와트시(kWh)당 19.3원, 올해 1월 13.1원 등 총 32.4원이 인상된 영향이다. 하지만 이같은 전기요금 부담 증가마저도 시작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전은 1분기 이후도 분기별 비슷한 수준의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승일 사장도 최근 올해 2, 3, 4분기에 전기요금의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전은 지난해말 올해 연간 인상 적정액으로 kWh당 51.6원을 제시했다. 그러나 물가당국은 서민부담을 고려해 일단 1분기 4분의 1 수준인 13.1원을 인상하는데 그쳤다. 한전의 계획대로 인상이 될 경우 연말이 되면 지난 2021년 말 대비 4인 가구 기준 월 평균 2만1553원(47.5%), 지난해 말 대비 1만5686원(34.5%) 더 증가하게 된다.전기요금 단가로 비교하면 이보다 훨씬 상승률이 높다. 2019년 누진제 개편(3구간)으로 지난 2021년 여름까지 1구간인 월 전력사용량 300킬로와트시(kWh)까지는 kWh당 93.3원, 2구간인 301∼450kWh에는 187.9원이 각각 부과됐다.여기에 지난해 인상 폭 kWh당 19.3원, 한전이 올 연간 인상 적정액으로 책정한 kWh당 51.6원 등 kWh당 총 인상폭 70.9원을 더하면 1구간은 kWh당 164.2원, 2구간은 kWh당 258.8원으로 전기요금 단가가 높아진다. 증가율로 따지면 약 2년 6개월 새 1구간은 76.0%, 2구간은 37.7%에 달한다. 특히 냉방수요 증가에 따른 전력 성수기인 여름철에 가면 서민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요금 추가 인상에 더해 전기 사용량까지 증가할 수 있어서다.한국부동산원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을 보면 전국 아파트 ㎡당 평균 관리비는 작년 12월 기준 2995원, 이 중 전기료는 654원이다. 이를 국민주택 규모 기준인 전용면적 85㎡로 환산하면 지난달 해당 규모의 아파트에 평균적으로 부과된 관리비는 각각 25만4600원, 5만5590원으로 산출된다. 2월에 부과될 예정인 1월 사용분에 대한 관리비는 한파와 각종 공공요금 인상으로 지난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관리비에서 차지하는 4인 가구 기준 전기료 인상분(1만1200원)은 4% 수준일 것으로 관측된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월 사용량 297kWh)에 부과되는 1월 사용분 전기료는 작년 2만5660원에서 올해 3만2170원으로 1년 새 월 부담액이 6510원 늘어난다. 취약계층의 전기 요금 부담이 일반가구보다 작은 것은 정부가 장애인, 상이·독립 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의 사회적 배려층에 전기료를 할인하기 때문이다. 작년 말 정부는 올해 1분기에 적용할 전기료를 인상하면서도 월 사용량 313kWh 이하 가구에 대해서는 요금을 동결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연료비 급등으로 불가피하게 전기료가 인상됐지만, 난방비처럼 폭등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