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우리나라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량을 지금보다 2배 정도 늘려야 하지만 주민수용성을 고려하면 비현실적인 만큼 신(新)에너지 기술 개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김종남 전 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14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7월 월례 조찬포럼에 참석,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김 전 원장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탄소 발전을 늘려야 한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도 "그런데 정부가 원자력 발전 비중을 지금과 같은 30%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이 목표를 이루려면 신규 원전을 5기 건설하고 18기의 수명연장을 진행해야 하는데 부지나 송전탑,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 문제 등 불확실성이 많다"고 지적했다.김 전 원장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 비중 30% 유지 시 원자력 발전량은 2022년 전체 발전량 594테라와트시(TWh)중 176TWh에서 2050년 전체 발전량 전망치인 1209TWh 중 363TWh로 두배가 되어야 한다. 김 전 원장은 "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상황을 대비해 태양광과 풍력, 수소경제, 탄소포집 및 저장(CCUS) 등 기술개발에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며 "탄소중립은 무탄소 전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효율 향상, 산업의 저탄소화, 탄소저감건물 등 고효율 저탄소사회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전 원장은 "화석연료 발전 업계는 암모니아, 수소 혼소 상용화, 철강업계는 수소환원제철, 수송 업계와 건축 업계는 는 연료와 자재의 탈탄소화 등 기술개발이 필수"라며 "모든 산업분야와 가정, 상업, 공공 건물 분야에서는 효율향상과 자원순환 등 에너지 수요 저감이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탄소중립의 효과는 92.8%에 달하는 에너지 수입을 20%로 줄이는 에너지안보 효과와 함께 2000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수지 개선, 지역균형 발전 효과 등 경제성장과 기회의 시대로 가는 열쇠"라며 "그 길은 결국 기술개발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원장은 한국의 태양광과 풍력 시장 잠재량이 여전히 높지만 간헐성을 극복할 차세대 전력망 구축과 요금 현실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은 중국에 가격경쟁력으로 이길 수 없는 만큼 ‘고효율 텐덤 태양전지’ 같은 기술혁신을 이뤄야 하며, 보급 차원에서는 지역소멸 방지와 균형발전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여전히 우리나라의 가정용·산업용 전기요금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데다 전력망이 재생에너지의 비중 확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계통의 유연성을 강화하고 실시간 요금제 도입과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전력수요 예측, 대규모 전력저장장치(ESS)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jjs@ekn.kr김종남 전 에너지기술연구원장이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14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7월 월례 조찬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전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