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종양 등 각종 질병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비만이 성병을 일으키는 단순 2형 헤르페스 감염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이흥규 교수팀은 비만이 여성 생식기를 통한 단순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저항성을 강화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단순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은 생식기 주변에 수포를 유도해 간지럼증과 고통을 유발한다. 산모에게서 태아로 수직 감염 되면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바이러스기도 하다. 그러나 신경조직에 숨어들어 감염 여부 파악과 완치가 어렵다. 연구진은 비만한 암컷 생쥐 질 내 유입된 균이 아미노산 일종인 아르기닌을 활발하게 생산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아르기닌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초기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아르기닌은 질 내 감마 델타 T세포 항바이러스 면역반응을 강화했다. 이에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는 시기보다 이른 시점에 이미 바이러스 감염·전파를 억제했다. 연구진은 비만한 생쥐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병변을 보이고 과반이 넘는 생쥐가 생존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마른 쥐들은 높은 병변을 보이며 결국 숨졌다고 전했다. 이흥규 교수는 "비만이 특정 감염 질병에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밝힌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라며 "앞으로 비만 환자들의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보조제나 치료제 개발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에 지난달 8일 게재됐다. hg3to8@ekn.krKakaoTalk_20221206_162736639 비만 시 질 내 공생미생물과 감마델타 T세포 상호작용을 통한 항헤르페스 면역반응 강화 구조.한국과학기술원(KAIST/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