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22일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규모 2배 확대, 기술수준 향상, 11만 핵심인재 양성 등을 통해 2027년까지 글로벌 경쟁 우위와 초격차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글로벌 바이오헬스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불릴 만큼 클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총리는 "2027년 시장 규모만 약 3800조원으로 반도체의 4.4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세계 각국은 미래 산업을 주도할 바이오헬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이미 국가 차원의 치열한 경쟁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선도국 대비 기술 수준도 82%까지 향상시키며 11만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의사과학자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겠다"며 "박사과정까지로 한정됐던 정부 지원 대상을 박사과정 이후로도 확대해 전주기 지원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또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국가 R&D 사업에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병원 내 의사과학자 의무 고용 및 정원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5년 후에는 매년 의대 졸업생의 3% 이상이 의사과학자로 배출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R&D를 추진하겠다"며 "내년부터 ‘한국형 ARPA-H(아르파 에이치) 프로젝트’를 시작해 향후 10년간 최대 2조원 규모의 도전적 R&D를 추진해 백신 개발, 미정복질환 극복 등 시급한 5대 보건 난제를 해결하고 핵심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연구 중심체계에서 벗어나 미국 등 바이오 기술 선도국가와의 글로벌 R&D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내년부터 미국과 860억 규모의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타 국가들과의 공동연구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부연했다. 한 총리는 "바이오헬스 분야는 기술 발전 속도를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대표적 영역"이라며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 도입, 디지털융합 의료 제품 통합심사 등 7건의 킬러규제를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가칭 ‘바이오헬스 산업현장 규제개혁마당’을 설치해 기업 활동을 제약하는 규제를 상시 발굴하는 한편, 발굴된 규제는 위원회를 통해 신속하게 해결해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axkjh@ekn.kr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인사말하는 한덕수 총리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