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SK이노베이션, 1Q 영업익 6247억원…전년비 66.6%↑

SK이노베이션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8551억원·영업이익 6247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66.6%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976억원으로 같은 기간 87.9% 줄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3.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760.3% 급증했다. 당기순손실은 4098.8% 악화됐다. 석유사업은 정제마진 강세와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관련 이익에 힘입어 영업이익 5911억원을 달성했다. 전분기 대비 7500억원 이상 늘어나면서 흑자전환했다. 화학사업의 영업이익은 1245억원으로 같은 기간 1241억원 확대됐다. 벤젠 스프레드 개선에 따른 마진 상승 및 납사값 상승에 의한 재고관련 이익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윤활유사업의 영업이익은 2204억원으로 전분기를 소폭 상회했다. 판매량 증가와 고정비 감소로 수익성이 높아졌다. 석유개발사업 영업이익은 1544억원으로 집계됐다. 중국 17/03 광구의 생산량 확대의 영향이다. 배터리사업은 매출 1조6836억원·영업손실 3315억원을 냈다. 해외 법인 생산성이 향상됐으나 고객사 재고 조정에 따른 가동률 저하가 이뤄진 탓이다. 첨단제조새엑공제(AMPC)도 축소됐다. 소재사업의 영업손실은 644억원으로 나타났다. 고객사향 판매 물량 감소 및 가동률 하락으로 고정비 부담이 불어났기 때문이다. SK이노베이션은 2분기 정제마진이 견조한 수준으로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감산이 지속되고 드라이빙 시즌에 따른 이동 수요가 개선된다는 논리다. 화학사업은 하반기 가솔린 블렌딩 수요 증가로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 정부의 내수활성화로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스프레드도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활유사업은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확대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석유개발사업에서는 중국 17/03 광구가 올 3분기 최대 생산량 도달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터리사업은 SK온 출범 이후 2년 만에 180조원에 달하는 물량을 추가 수주했다. 누적 수주잔고는 400조원을 돌파했다. 전기차 시장이 캐즘 구간에 진입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라인 운영 최적화 등으로 출하량을 늘린다는 전략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비우호적인 업황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설비 증설 시점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수익성 역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정유업계, 중동 분쟁 속 수익성 개선 박차…경유 시장 우려

국내 정유사들의 올 1분기 실적이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분기에는 경유를 중심으로 일부 품목의 수익성 하락이 우려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9조3085억원·영업이익 454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5.3%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정제 마진과 유가 상승에 힘입어 정유 부문이 흑자 전환한 덕분이다. 글로벌 정유사들의 정기 보수·지정학적 불안 등에 따른 공급 차질의 영향이다. 매출 19조5293억원·영업손실 1675억원을 냈던 SK이노베이션도 매출 18조6366억원·영업이익 3968억원으로 반등할 전망이다. 배터리 사업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나, 석유 사업 흑자 전환이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다. 원·달러 환율이 높아진 것도 언급된다. 석유제품 수출액이 128억2400만달러에서 124억1600만달러로 3.2% 가량 줄었지만 원화 환산 금액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2분기 석유 제품에 대한 기대치는 엇갈리고 있다. 휘발유는 드라이빙 시즌 진입, 항공유도 글로벌 업황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올 1분기 휘발유 마진이 지난해 4분기를 상회했고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국제 유가가 상승했으나 제품값도 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유와 등유 마진은 축소될 것으로 보는 것이 시선이 많다. 제품값이 유가 인상폭을 따라잡지 못했다는 이유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4월 경유 마진이 배럴당 15.6달러로 지난해 4분기 평균(21.4달러) 및 올 1분기(21.6달러)를 하회한다고 분석했다. 등유 마진도 14.9달러로 같은 기간 8달러 가까이 낮아졌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도 이들 제품에 대해 유사한 견해를 제시했다. 미국 생산량이 2016년 이후 최저치로 축소되고 프랑스·이탈리아·독일 등 유럽 지역에서도 감소세가 나타나는 탓이다. 실제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올 1분기 5256만5000배럴에 달하는 경유를 수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9% 늘어난 수치다. 반면 수출액은 53억6500만달러로 같은 기간 6.1% 상승에 그쳤다. 공급 측면에서도 정유사들에게 불리한 국면이 형성되고 있다. 중국이 경유 수출량을 끌어올리고 나이지리아·멕시코를 비롯한 신흥국 석유 제품 생산량도 불어났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가동에 차질을 빚었던 러시아 정제 설비가 복구되는 것도 경유 공급을 확대할 요소로 꼽힌다. 캐나다발 수출량 확대도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경유는 전체 석유 제품 수출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품목"이라며 “오는 6월 1일 예정된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회의 결과가 향후 수익성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에쓰오일, 1Q 영업익 4541억원…전년비 11.9%↓

에쓰오일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9조3085억원·영업이익 4541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1.9%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5.3% 줄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정유부문은 매출 7조4448억원·영업이익 2504억원을 달성했다. 아시아 지역 정제마진이 반등하면서 흑자전환했다. 역내 수요가 견조하고 글로벌 정유사들의 정기보수와 설비 이상 및 지정학적 불안이 공급차질로 이어진 덕분이다. 석유화학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968억원·480억원으로 집계됐다. 아로마틱의 경우 벤젠 시장은 미국 수입 수요 증가로 개선됐다. 파라자일렌(PX) 시장은 중국 춘절 이후 높은 폴리에스터(PET) 수요에 의해 건전한 수준을 유지했다. 올레핀 다운스트림은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올레핀(PO) 시장이 다운스트림 수요 정체 속 생산설비 가동 차질에 따른 공급제한으로 반등했다. 윤활부문은 매출 7669억원·영업이익 1557억원을 달성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가 원재료값 상승에 의한 래깅 효과로 전분기 대비 낮아졌다. 에쓰오일은 2분기 아시아 지역 정기 보수와 여름철 성수기 진입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하는 등 정제마진 상승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아로마틱 계열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올레핀 다운스트림 계열 회복이 이뤄질 수 있다고 기대했다. 윤활기유 펀더멘탈은 계절적 수요 증가 및 글로벌 주요 공급사 정기보수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바이오 원료 및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기존 설비 내 공동처리를 시작하고 ISCC 인증을 취득했다. 재생 연료 및 자원순환형 화학 제품 수요 성장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2030년 바이오 원료 공동처리 사업 목표는 150KTA 규모다. 지속가능항공유 전용 생산설비 건설도 검토 중이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샤힌 프로젝트'도 2026년 상반기 기계적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LG엔솔,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속 ‘상저하고’ 노린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구간에 진입하면서 K-배터리도 악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올해 전기차용 2차전지 수요가 지난해 대비 30% 이상 증가하는 등 성장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1287억원·영업이익 1573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9%, 영업이익은 75.2% 감소했다.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가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음에도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액공제를 제외하면 31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이는 전방 시장 수요 둔화 및 메탈값 하락 분의 판가 반영 등의 영향이다. 가동률 조정으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한 것도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2분기에도 좋지 않은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메탈값 하락에 따른 역래깅 영향이 지속된다는 것이다. 김현수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유럽 고객사 수요 둔화에 따른 출하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달 독일·노르웨이에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량(PHEV)을 포함한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감소하는 등 유럽 시장 역성장이 우려된다. 미국 내 성장폭도 줄었다. CATL 등 중국계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는 것도 악재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가격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보급형 차종의 입지가 커지는 탓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미국 테네시 합작 2공장 본격 가동에 나서는 등 시장 턴어라운드시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펀더멘탈'을 강화하고 있다. 이 공장은 캐딜락 리릭을 비롯한 GM의 3세대 신규 전기차 모델에 탑재될 배터리를 만드는 곳으로 최근 첫번째 배터리 셀을 고객사에 인도했다. 생산력도 총 50GWh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50GWh는 1회 충전으로 500㎞ 이상 주행 가능한 고성능 전기차 60만대 분량이다. 얼티엄셀즈는 오하이오에 1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시간주에서 내년 가동을 목표로 3공장을 건설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애리조나에서 미국 내 2번째 단독 생산공장 구축도 가속화한다. 이 곳에서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로 불리는 '46시리즈'와 리튬철인산(LFP)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 제품을 생산한다. 현대자동차그룹·혼다·스텔란티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도 합작공장을 운영·건설하고 있다. 북미 지역 전기차 침투율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기 때문에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이유다. 퀄컴 테크놀로지와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 진단 솔루션도 개발할 계획이다. 실시간으로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고, 차량의 주행 정보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생산시설 가동률 향상 △원재료 직접 소싱 영역 확대 △글로벌 생산거점 다각화 △신제품 라인업 강화 등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사내 독립기업 쿠루는 서울 지역에 200개에 달하는 배터리 스와핑 스테이션을 설치했다. 업계 관계자는 “올 하반기 GM과 테슬라를 비롯한 주요 고객사의 신차 출시 효과도 기대할만한 요소"라며 “올해 미국 대선 결과가 IRA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포스코퓨처엠, 1Q 영업익 379억원…전년비 87.0%↑

포스코퓨처엠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1384억원·영업이익 379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3%, 영업이익은 87.0% 증가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전방시장 주요 정체로 매출이 소폭 하락한 반면 재고평가손실 환입 등으로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배터리소재 사업은 리튬·니켈 등 주요 메탈값 부진에도 매출 7817억원·영업이익 251억원을 달성했다. 고성능 전기차용 단결정 양극재 수율 개선으로 판매량이 확대된 영향이다. 음극재 생산·판매도 개선됐다. 기초소재 사업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567억원·12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유가 약세 영향으로 화성제품 판매가가 하락했으나 내화물 판매량이 많아진 덕분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달 말 포항 영일만 산단에 연 50t 규모의 실리콘탄소복합체(Si-C) 음극재 데모플랜트를 가동한다. 양산기술 확보시 생산체제를 2026년 1000t, 2030년 1만t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실리콘 음극재는 현재 활용되는 흑연계 음극재 보다 에너지 저장용량이 4배 이상 높아 전기차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빠른 충전이 가능한 것도 전기차 보급 활성화에 기여할 요소로 꼽힌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지난해 3월 국내 최초로 NCMA 하이니켈 단결정 양극재 양산·공급에 나선 뒤로 수율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결정 양극재 전용으로 설계된 포항공장 생산도 본격화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정유업계, 1Q 석유제품 수출량 1억2690만배럴…역대 최대

정유업계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석유제품 수출량을 달성했다. 올해 우리나라 수출목표(7000억달러) 달성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25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올 1분기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는 1억2690만배럴을 수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8% 늘어난 수치로 2020년 1분기도 넘어섰다. 수출액도 124억16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6% 확대됐다. 원유도입액 중 63.8%를 회수한 셈이다. 제품별로 보면 경유(41%)·휘발유(23%)·항공유(17%) 등 고부가 제품 비중이 81%에 달했다. 항공유 수출량의 38%는 미국으로 향했다. 국가별로 보면 호주(20%)가 3년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싱가포르(14%)·일본(10%)·중국(9%)·미국(8%) 등이 뒤를 이었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석유제품이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국가주요품목 수출액 순위에서 3위에 올랐다"고 말했다. 특히 “중동 분쟁 등으로 글로벌 저성장 기조가 우려된다"면서도 “수출국 발굴 및 고부가 제품 수출로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에너지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솔루스첨단소재, 1Q 영업손실 140억원…전년비 50억원 개선

솔루스첨단소재는 연결기준 올 1분기 매출 1213억원·영업손실 140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0억원 개선됐다. 해외 공장 건설 및 운영으로 인한 고정비가 반영됐으나, 전지박 수율이 안정화된 덕분이다. 전지박·동박 사업부문 매출은 900억원으로 5.4% 늘어났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헝가리 공장의 생산 안정화로 주요 고객사들의 공급 물량이 증가했다. 특히 이달에는 헝가리 공장의 전지박 월 출하량이 처음으로 1000t를 초과했다. 이를 기점으로 유럽 및 북미 소재 고객사들의 공급물량을 지속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전자소재 사업부문 매출은 313억원으로 같은 기간 14.2% 개선됐다. 모바일·IT기기 등의 수요 회복으로 디스플레이 전방산업 경기가 호전된 영향이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장기 성장 전략으로 모빌리티·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트렌드 등 기술 진화에 따른 OLED 적용처 확대를 위해 신규 소재 연구개발(R&D)도 진행 중이다. 곽근만 솔루스첨단소재 대표는 “전방산업 경기가 주춤한 상황에서 전지박과 전자소재 사업에서 10%대의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고 말했다. 곽 대표는 “전지박 부문은 글로벌 전기차 기업을 포함한 고객사들의 추가 공급 요청이 이어지고 있고, 동박 역시 AI반도체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향 제품 승인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자소재도 두자릿 수 성장을 달성하는 등 긍정적인 출발"이라며 “남은 한 해 이들 3개 사업부 모두 좋은 성과를 이루는데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