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현대사이트솔루션이 고금리 국면에서도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행보를 가속화한다. 인도·중남미·아프리카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중국에서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며 수익성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건설기계는 올 1분기 550억원 상당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0% 가량 하락한 수치다. 향후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 때문에 대기 수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 건설기계 업종은 고금리 시기에는 이자 부담 탓에 수요가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HD현대건설기계는 신흥국 시장 공략 강화로 실적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배성조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인도에서의 굴착기 시장점유율이 17~20% 수준(2위)로 알려져 있다"며 “1위 업체와의 격차도 축소되는 추세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브라질의 경우 광산 수요와 인프라 투자 등에 힘입어 수출이 확대될 수 있다. HD현대건설기계가 멕시코·칠레에 지사를 설립하는 것도 중남미에서 성과를 내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최근 수단에서 중·대형 굴착기 60대를 수주하는 등 아프리카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기관 모도르 인텔리전스는 아프리카 건설시장이 올해 584억달러(약 78조원)에서 2029년 748억달러(약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HD현대건설기계는 모리타니 등 서아프리카 7개국에 광역 딜러를 지정했다. 남수단과 에티오피아를 비롯한 국가에서도 신규 딜러 계약을 맺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 1분기 1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시현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0% 가까이 감소한 수치다. 글로벌 물류 차질의 여파로 유럽·중동·남미 지역에서 판매 지연이 발생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불거졌다. 중국에서는 굴착기 판매량이 줄었으나, 대형과 초대형 중심 제품으로 믹스를 개선하는 등 매출은 오히려 향상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엔진 사업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부터 폴란드향 K-2 전차에 탑재되는 제품의 매출 인식이 시작됐다. 발전기용은 고객사 다변화 전략을 펴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수익성 하락을 막기 위해 미국과 중남미 지역 판가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럽 시장도 하반기 들어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북미 지역에서 메가딜러를 확대하고 콤팩트 트랙 로더(CTL) 출시를 비롯한 제품 라인업 강화도 지속한다. 안유동 교보증권 애널리스트는 북미 인프라 투자와 중국 및 내수시장 반등도 HD현대인프라코어에게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HD현대 차원에서도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건설현장 자율화에 나서는 등 안전성과 생산성 향상을 모색하고 있다.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코어가 출시할 차세대 모델에 AWS의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하는 방식이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CNH와 무인 자율화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한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면서도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를 포함한 HD현대사이트솔루션의 연간 매출은 9조원을 넘기는 등 전년 대비 성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