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현대차, AI 기술 적용 ‘국회 자율주행 셔틀’ 선보인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가 국회사무처와 함께 내년 상반기 중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한 ‘국회 자율주행 셔틀’을 선보인다. 현대차는 4일 국회사무처와 ‘국회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회 자율주행차의 원활한 운행을 위해 현대차는 자율주행 차량과 서비스 플랫폼의 제공 및 운영·관리를 담당한다. 국회사무처는 자율주행 차량 임시운행허가 취득, 시범 서비스 지역의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및 구간 내 교통신호 연동을 위한 유관 기관 협업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경내 자율주행 환경 조성과 차량 관리 인프라를 제공한다. 협약에 따라 내년 상반기 중 대형 승합차(쏠라티 11인승)를 개조한 ‘로보셔틀’이 국회 경내와 방문객 전용 주차장인 둔치주차장을 잇는 3.1㎞ 구간에 투입돼 시범 서비스에 나선다. 로보셔틀은 로봇(Robot)과 버스를 의미하는 셔틀(Shuttle)의 합성어다. 다인승 차량에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모빌리티를 의미한다. 현대차가 자체 개발한 레벨4 수준의 핵심 기술 적용으로 차량이 스스로 주행 상황을 인지 및 판단해 제어하는 등 일부 예외적 상황 이외에는 비상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와 국회사무처 양 측은 향후 운행 노선 추가를 통해 서비스 대상 지역을 국회 경내에서 주변 지역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공영운 현대차 사장은 "더욱 다양한 환경에서의 기술 실증을 통해 최적의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재 국회사무총장은 "국회에서 자율주행차 서비스를 시범 도입하면 규제를 완화하고 기술 발전을 지원하는 입법이 활발해질 것"이라며 "국회가 미래산업의 프리존이 되겠다"고 전했다. yes@ekn.kr사진 1 4일 국회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이광재 국회사무처 사무총장(왼쪽),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르노코리아, 노후 차량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오는 30일까지 노후 연식 차량을 대상으로 무료 차량 점검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1998년에서 2015년 사이에 출고된 르노코리아 차량이 대상이다. 르노코리아의 멤버십 애플리케이션인 MY르노코리아를 가입한 회원은 36개 항목의 무상 프리미엄 점검을 받을 수 있다. 이 점검을 완료한 고객 중 100명을 추첨해 죽 기프티콘을 증정한다. 점검 결과 브레이크계열의 브레이크오일,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나 점화장치계열의 부품인 스파크 플러그, 이그니션코일을 비롯해 엔진마운팅 등을 교체할 경우 부품가격을 15% 할인 받을 수 있다. 타이어 교체 시 본 당 5000원이 할인된다. 4본 교체 시에는 총 4만원을 할인해준다. yes@ekn.kr사진자료 01_ 르노코리아자동차 겨울대비 마이카 건강검진 포스터.

BMW, 뉴 3시리즈 세단·투어링 국내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BMW 코리아는 뉴 3시리즈 세단 및 뉴 3시리즈 투어링을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3일 밝혔다. 3시리즈는 지난 1975년 출시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1600만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링 모델이다. 이번에 들어오는 차량은 7세대 부분변경 모델이다. BMW는 뉴 3시리즈의 외관이 간결한 표면 디자인, 역동적인 라인 등 현대적인 감각을 강조했다고 소개했다. 전면부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LED 헤드라이트가 장착된다. 키드니 그릴은 보다 입체적으로 변경됐다. 뉴 3시리즈에는 토글형 기어 셀렉터가 BMW 세단 중 처음으로 적용된다. 전 모델에 시프트 패들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여기에 모델 따라 버네스카 또는 센사텍 가죽 내장재와 파인우드 오크 그레인, 알루미늄 롬비클, 카본 파이버 등 총 3가지의 인테리어 트림이 적용된다. 뉴 3시리즈 세단 및 투어링은 국내에 내연기관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고성능 모델까지 다양한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된다. 가솔린 모델인 뉴 320i 세단 및 투어링에는 최고출력 184마력, 최대토크 30.6kg·m를 발휘하는 BMW 트윈파워 터보 4기통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다. 디젤 모델인 뉴 320d 및 뉴 320d xDrive 세단과 투어링에는 최고출력 190마력, 최대토크 40.8kg·m를 발휘하는 4기통 트윈파워 터보 디젤 엔진이 들어간다. 고성능 M 퍼포먼스 모델 뉴 M340i 세단 및 뉴 M340i xDrive 투어링에는 최고출력 387마력, 최대토크 51kg·m를 발휘하는 M 트윈파워 터보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이 올라간다. PHEV 모델 뉴 330e에는 최고 109마력을 발휘하는 전기모터와 12kWh 용량의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된다. 이를 통해 최대 41km까지 전기만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뉴 3시리즈 세단 및 투어링은 기본 모델 및 M 스포츠 패키지 2가지 트림으로 우선 출시된다. 가격은 모델에 따라 5530만~6410만원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뉴 330e의 경우 6850만원, 고성능 M 퍼포먼스 모델인 뉴 M340i 세단 및 투어링의 가격은 각각 8120만원과 8680만원이다(개별소비세 3.5% 기준). yes@ekn.kr사진2- BMW 뉴 3시리즈 세단

현대차, 글로벌 브랜드 가치 173억 달러 달성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는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2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브랜드 가치 173억달러를 기록하며 종합 브랜드 순위 35위에 올랐다고 3일 밝혔다. 인터브랜드는 매년 전 세계 주요 브랜드의 가치 평가를 실시해 글로벌 100대 브랜드를 선정하고 있다. 각 브랜드의 가치는 재무상황과 마케팅 측면을 종합적으로 측정해 각 브랜드가 창출할 미래 기대수익의 현재가치를 평가해 산정된다. 현대차는 지난 2005년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처음 이름을 올렸다. 이후 올해까지 순위는 49계단, 브랜드 가치는 138억달러가 올랐다. 인터브랜드 관계자는 "현대차는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며 전동화 비전을 실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제조사를 넘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스며드는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현대차는 ‘인류를 위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라는 브랜드 비전 아래 고객에게 혁신적인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최초 적용된 아이오닉 5는 ‘2022 독일 올해의 차’, ‘2022 영국 올해의 차’에 선정됐다. 이어 올해 4월 ‘월드카 어워즈(World Car Awards)’에서 ‘세계 올해의 자동차(World Car of the Year)’를 수상하는 등 높은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호평 세례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대전환 속에서 미래 신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내일을 선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yes@ekn.kr221104 (사진1)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 이미지

지난달 수입차 신규 등록 2만5363대···벤츠 1위 탈환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BMW에 밀렸던 메르세데스-벤츠가 수입차 시장 ‘왕좌’를 다시 차지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2만5363대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동월(1만8764대) 대비 35.2% 증가한 수치다.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가 7717대로 1위, BMW가 6754대로 2위였다. 아우디(2637대), 쉐보레(1586대), 폭스바겐(1114대), 렉서스(781대), 지프(767대), 포르쉐(737대), 미니(613대), 볼보(566대), 토요타(482대), 랜드로버(329대), 푸조(306대), 혼다(273대), 폴스타(249대), 포드(155대), 벤틀리(75대), 캐딜락(74대), 링컨(56대), 람보르기니(53대), 마세라티(20대), 롤스로이스(10대), 디에스(6대), 재규어(3대) 등이 뒤를 이었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미만 1만2531대(49.4%), 2000~3000cc 미만 5757대(22.7%), 3000~4000cc 미만 1833대(7,2%), 4000cc 이상 394대(1.6%), 기타(전기차) 4848대(19.1%)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유럽 2만1189대(83.5%), 미국 2638대(10.4%), 일본 1536대(6.1%) 순이었다. 연료별로는 가솔린 1만2251대(48.3%), 하이브리드 4907대(19.3%), 전기 4848대(19.1%), 디젤 2403대(9.5%), 플러그인하이브리드 954대(3.8%) 등이었다. 개인구매가 1만5475대로 전체의 61.0%, 법인구매가 9888대로 39.0%였다. 개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경기 4833대(31.2%), 서울 3021대(19.5%), 부산 1013대(6.5%) 순이었다. 지난달 베스트셀링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E 250(2092대), BMW 520(1138대), 아우디 Q4 e-tron 40(957대) 순이었다. yes@ekn.kr2022080701000291600011931 벤츠 전시장 전경.

‘정의선 차’ 제네시스 출범 7년···"韓 넘어 세계로"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우리가 새로운 도전을 하는 이유는 오직 고객에게 있습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 2015년 11월4일 제네시스 브랜드를 론칭하며 한 말이다. 7주년을 맞이하는 ‘정의선 차’ 제네시스가 한국을 넘어 세계로 뻗어나가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누적 판매는 80만대를 넘어섰고, 미국 유럽 등에서 연이어 상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의 글로벌 누적 판매는 올해 3분기 기준 78만7684대다. 판매 추세를 고려하면 지난달 기준 80만대 고지를 넘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 6월 누적 판매 70만대를 기록한 이후 4개월만의 성과다.출범 초기 국내에서 기틀을 다진 뒤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한 게 주효했다는 평가다. 제네시스는 미국에서 연간 최대 판매 실적을 매년 갈아치우고 있다. 올해는 3분기까지 4만대 이상 팔렸다. 상품성에 대한 호평도 계속되고 있다. 미국 제이디파워 ‘2022년 신차품질조사(IQS)’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1위를 달성한 게 대표적이다. 제이디파워 조사결과는 미국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기준으로 적극 이용될 뿐만 아니라 업체별 품질 경쟁력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 조사에서 제네시스는 렉서스, 캐딜락, BMW 등 전통 강자들을 발밑에 뒀다.이뿐만이 아니다. 제네시스 GV60은 최근 유럽 안전성 평가인 ’유로 NCAP‘에서 최고 안전 등급을 획득했다.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지 ‘카앤드라이버’는 지난 4월 제네시스가 BMW·렉서스보다 낫다고 보도했다. GV70 스포츠, X3 M40i, RX350F 스포츠 등 럭셔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비교평가한 결과다. 캐나다에서는 현지 자동차 기자협회가 선정한 ‘올해의 차’에서 3관왕을 차지했다. 작년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 충돌 평가에서 최고 안전한 럭셔리 브랜드로 등극한 것도 시장을 놀라게했다. 유명 골프선수 타이거 우즈가 GV80을 타고 가다 사고가 났지만 경상에 그친 사건도 제네시스의 안전성을 입증한 사건으로 지목된다.제네시스의 누적 판매는 내년 상반기 중 1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외 시장을 넘나들며 인지도를 쌓아온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네시스는 출범 첫해인 2015년 384대의 차량을 파는 데 그쳤다. 차종도 세단인 G90(EQ900)과 G80 뿐이었다. 이후 2016년 5만7451대, 2017년 7만8589대, 2018년 8만5389대, 2019년 7만7134대 등으로 실적이 꾸준히 성장했다. 2020년과 지난해에는 글로벌 판매가 각각 10만대, 20만대를 넘어섰다. 업계에서는 제네시스가 향후 중국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이미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지만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 공략법은 아직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관세장벽이 높아 대부분 럭셔리 브랜드들도 현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제네시스 역시 중국에서 차를 만드는 방법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해진다.전동화 차량의 성공 여부도 관심사다. 제네시스는 2025년부터 수소차나 전기차 신차만 출시한다고 선언했을 정도로 전동화 전환이 빠른 브랜드 중 하나다. 정 회장은 당시 이 같은 사실을 알리며 "이번 발표는 제네시스의 담대한 여정의 시작점이자 혁신적인 비전을 통해 이끌어갈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려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정 회장은 제네시스의 브랜드 기획 단계부터 직접 참여하며 브랜드 ‘홀로서기’ 작업에 공을 들여온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 2015년 출범 행사를 직접 챙겼으며 외부 인사 영입, 디자인 방향성 제시, 조직 개편 작업 등을 진두지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yes@ekn.kr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제네시스의 플래그십 세단 G90.

르노코리아 ‘XM3 E-TECH 하이브리드’ 메타버스서 만난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르노코리아자동차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소비자들이 ‘XM3 E-TECH 하이브리드’를 만나볼 수 있는 ‘메타 언팩트’를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메타 언팩트는 부산에서 열리는 XM3 E-TECH 하이브리드 시승 프로그램과 연계해 국내 최초로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소비자들은 가상공간 어플리케이션 월즈 오브 유(Worlds od You)를 통해 접속하면 된다. XM3 E-TECH 하이브리드 메타 언팩트에 참여하면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의 아바타로부터 XM3 E-TECH 하이브리드에 대한 얘기를 들을 수 있다. XM3 E-TECH 하이브리드의 내외부도 가상공간에서 자유롭게 살펴볼 수 있다. yes@ekn.krㅇ 르노코리아 ‘메타 언팩트’ 참여 이미지.

현대차, 시각장애인 이동권 향상에 전기차 3대 기부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는 충청북도청에서 ‘시각장애인 맞춤형 차량 기증식’을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차량 기증은 현대차가 이동 약자들의 이동권 증진을 위해 진행해온 사회공헌 활동 ‘H-스페셜 무브먼트’의 일환이다. 시각장애인 맞춤형으로 제작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 3대를 심사를 거쳐 선정된 충청북도 소재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3곳에 각각 전달할 예정이다. 차량은 현대차그룹이 육성한 사회적 기업 이지무브와 협업해 제작했으며,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편의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내외부 손잡이, 안전벨트, 트렁크 등 접촉 빈도가 높은 곳에 점자 스티커를 부착해 차량 내부 구조물의 위치 파악을 돕는다. 온도 변화와 문 개폐 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적용해 보다 안정적인 승차 경험을 제공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시각장애인들의 편안하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고자 맞춤형 차량을 지원하게 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동 약자들의 실질적인 이동권 증진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사진2) 현대차, 시각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한 차량 기증 2일 충청북도청에서 진행된 차량 기증식에서 권오환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정비위원회 의장, 이우종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이태수 현대자동차 국내서비스사업부 상무(왼쪽부터)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M, 韓 최고마케팅 책임자에 정정윤 전무 선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제너럴모터스(GM)는 한국사업장 ‘최고 마케팅 임원’(CMO)으로 전 국내영업 본부장 정정윤 전무를 선임했다고 2일 밝혔다. 정 최고 마케팅 책임자는 지난 2003년 GM에 입사해, 캐딜락과 쉐보레 마케팅 분야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해 왔다. 싱가포르에서 인터내셔널 직무를 맡기도 했다. 이번 최고 마케팅 책임자로 선임되기 직전에는 쉐보레 국내 영업을 총괄했다.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은 "GM은 국내 고객들의 선택권을 확대하고자 GMC 브랜드 도입을 결정했고 국내 고객들에게 캐딜락, 쉐보레, GMC 브랜드의 다양한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다"며 "국내 시장의 멀티 브랜드 전략을 더욱 강화시키고, 고객에게 보다 나은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브랜드 마케팅을 총괄하는 최고 마케팅 책임자를 선임하게 됐다"고 말했다. yes@ekn.kr사진자료_ 정정윤 GM 한국사업장 최고 마케팅 책임 전무.

현대차그룹, 전기차 공유 서비스 ‘위블 비즈’ 시범 운영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 공유 서비스 ‘위블 비즈’를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공유 오피스 ‘플래그원 서울역 캠프’의 약 50여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위블 비즈는 기업이 전기차를 구독해 평일 업무시간에는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그 외 시간에는 개인이 출퇴근 혹은 주말 레저용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공유 서비스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플래그원 서울역 캠프에 2대의 니로 EV 전기차를 투입했다. 위블 비즈 이용 기업 임직원들은 모바일 앱을 이용해 손쉽게 전기차를 예약할 수 있다. 건물 내 위치한 전용 주차 구역에서 차량을 픽업하거나 반납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차량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많은 사람이 위블 비즈를 경험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 기간인 1월 13일까지 대여요금을 30% 할인해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위블 비즈를 통해 공유 오피스 입주사 고객들이 차량 구입 및 유지에 소요되는 부담을 덜고 편리한 이동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yes@ekn.krㅇ 공유 오피스 ‘플래그원 서울역 캠프’ 내 스타트업 직원이 현대차그룹 ‘위블 비즈’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