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폭스바겐그룹, 소방대원 전기차 안전구조 세미나에 차량 지원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 진행된 ‘소방대원 전기차 안전구조 세미나’에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을 지원했다고 21일 밝혔다. KATRI는 소방대원의 안전하고 원활한 구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소방대원 대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기차 시장의 본격 개화로 인해 관련 사고 대응에 대한 관심과 이슈가 지속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KATRI는 전기차 교육을 확대 진행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전국에서 모인 소방대원 50여명을 대상으로 고전원장치를 탑재한 전기차의 안전구조에 대한 이론교육과 함께, 전기차 화재·사고 현장에서의 신속한 사고차량 안전조치 및 구조작업을 실차량으로 시뮬레이션해보는 실습교육으로 진행됐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소방대원의 전기차 안전 및 구조활동 교육을 위해 ‘폭스바겐 ID.4’와 ‘아우디 Q4 스포트백 40 e-트론’ 등 차량 2대를 지원했다. 또 교육 세션에 직접 참여해 소방대원들이 전기차의 특성을 고려, 사고 발생 시 차량을 최대한 안전하게 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 틸 셰어 폭스바겐그룹코리아 대표이사 사장은 "전기차 판매가 늘면서 전기차와 관련된 사고 및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차량 지원이 소방대원들로 하여금 전기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전기차 사고에 대응하고 구조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ji01@ekn.kr폭스바겐 ID.4 폭스바겐 ID.4가 충전을 하고 있다.

한국타이어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2023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상’ 시상식에서 민간분야 종합대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HRD협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상’은 국내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발전과 저변 확대, 교육 문화 진흥에 기여한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격려하기 위해 지난 1995년 제정된 상이다. 지난 20일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진행된 시상식에서 한국타이어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 자기주도적 교육 문화 정착, 빅데이터·인공지능(AI)를 활용한 디지털 역량 강화, 핵심 인재 양성 등 전사적 차원의 노력을 높게 평가받으며 종합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kji01@ekn.kr한국타이어 (왼쪽부터)손욱 행복나눔125 명예회장, 김종윤 한국타이어 HR부문장, 엄준하 한국HRD협회 회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렉서스다운 전동화 보여줄 것" 첫 순수 전기차 RZ450e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렉서스코리아가 첫 전용 전기차 ‘디 올 뉴 일렉트릭 RZ’와 5세대로 새롭게 태어난 ‘뉴 제너레이션 RX’를 21일 공식 출시했다. 렉서스는 이날 잠실 롯데월드몰 커넥트투에서 ‘렉서스 일렉트리파이드’ 전동화 비전 하에 전동화 모델 2종의 출시 간담회를 개최하고 공식 출시를 알렸다. 먼저 ‘디 올 뉴 일렉트릭 RZ450e’는 렉서스 브랜드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탑재한 순수 전기차(BEV)다. BEV 전용 e-TNGA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기차에 최적화된 패키징을 구현했으며 프런트와 리어에 새롭게 개발된 이액슬(e-Axle)이 적용된 다이렉트4(DIRECT4) 사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인 주행과 함께 파워풀한 퍼포먼스가 특징이다. BEV 전용 71.4kWh의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와 렉서스 최초로 실리콘 카바이드(SiC) 인버터를 채택하여 1회 충전으로 최대 377km까지 주행이 가능하며 시스템 총 출력 312마력의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콘야마 마나부 렉서스 코리아 사장은 RZ450e에 대해 "렉서스다운 전동화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세대 ‘뉴 제너레이션 RX’는 하이브리드 모델인 RX 350h,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RX 450h+, 퍼포먼스를 강화한 터보 엔진 하이브리드 모델 RX 500h F SPORT Performance 등 총 3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돼 다양한 전동화 선택지를 제공한다. RX 350h는 2.5리터 4기통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과 고효율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해 시스템 총 출력 249마력을 발휘하면서도 13.6km/L의 우수한 복합 연비를 제공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RX 450h+는 2.5리터 직렬 4기통 자연흡기 엔진과 18.1kWh의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해 시스템 총 출력 309마력의 퍼포먼스, 1회 충전 시 전기모드로만 최대 약 56km(복합기준) 주행이 가능하며 복합연비는 14.0km/L(휘발유)에 달한다. 특히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RX 500h F SPORT Performance 모델은 2.4리터 터보 엔진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조합과 새로운 바이폴라 니켈 메탈 배터리가 탑재돼 시스템 총 출력 371마력에 달하는 강력한 주행 성능을 선보인다. 다이렉트4(DIRECT 4) 사륜구동 시스템과 약 76kW의 고출력 모터가 탑재된 이액슬이 후륜에 적용돼 탁월한 트랙션 성능과 조향 안정성을 제공하며 다이내믹 리어 스티어링(DRS)을 탑재해 핸들링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이날 행사에는 올해 3월 취임한 렉서스 인터내셔널의 와타나베 타카시 사장이 직접 참석했다. 와타나베 사장은 "한국은 글로벌 전동화 트렌드를 선도하는 시장이다. 모빌리티 컴퍼니로 변화하고자 하는 글로벌 렉서스의 방향성에 발맞춰 한국 시장의 특성과 환경에 적합한 탄소중립을 위한 전동화를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며 "앞으로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품격있는 서비스와 고객 경험을 통해 진정성을 아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브랜드가 되도록 노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RZ450e는 수프림과 럭셔리 총 2개의 그레이드로 출시되며 권장소비자가격은 △RZ 450e 수프림 8480만원 △RZ 450e 럭셔리 9250만원이다. RX의 경우 △RX 350h Luxury 9740만원 △RX 450h+ 1억850만원 △RX 500h F SPORT Performance 1억1560만원이다. kji01@ekn.kr렉서스 (왼쪽부터) 카사이 요이치로 RZ 부수석 엔지니어, 콘야마 마나부 렉서스코리아 사장, 와타나베 타카시 렉서스 인터내셔널 사장, 오노 타카아키 RX 수석 엔지니어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자료] 렉서스 인터내셔널 와타나베 타카시 사장_1 와타나베 타카시 렉서스 인터내셔널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rz 렉서스 ‘디 올 뉴 일렉트릭 450e’는 1회 충전으로 최대 377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rx 렉서스 ‘뉴 제너레이션 RX’은 총 3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됐다.

아우디, A6·Q4 e-트론 전시·시승 행사 진행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아우디 코리아는 여름을 맞이해 ‘아우디 익스피리언스-더 위크 오브 A6/Q4 e-트론’ 전시·시승 행사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고객들이 많이 찾는 공간으로 직접 찾아가 전시와 시승을 진행함으로써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고객들에게 아우디 브랜드만의 프리미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6월 행사는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4일간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타임빌라스 의왕에서 진행된다. 7월 행사는 다음달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신세계 센트럴시티에서 진행될 예정으로 방문객들은 별도 예약 없이 자유롭게 참여 가능하다. 방문객들은 이벤트 장소에 전시된 ‘아우디 A6’와 ‘아우디 Q4 e-트론’ 차량을 자유롭게 둘러보고 현장에 상주하는 아우디 엑스퍼트로부터 차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23년식 Q4 e-트론 모델의 상담과 사전계약을 행사현장에서도 진행한다. 현장에는 아우디의 대표 베스트셀링 모델이자 아우디 브랜드의 정수를 보여주는 프리미엄 중형 세단인 아우디 A6와 작년 9월 출시 후 두 달 만에 완판된 인기 모델인 아우디의 콤팩트 순수 전기 SUV인 아우디 Q4 e-트론이 전시된다. 이외에도 아우디의 콤팩트 세그먼트 세단인 아우디 A3와 콤팩트SUV 아우디 Q2, 프리미엄 SUV 모델 아우디 Q3, Q5및 아우디 Q7 와 순수 전기 프리미엄 SUV인 아우디 e-트론 등 다양한 차량의 시승이 가능하다. 시승을 원하는 방문객들은 현장에서 신청 후 딜러와 함께 행사장 주변을 시승해보면서 아우디 차량의 USP를 직접 경험할 수 있다. 시승 외에도 현장에서 고객 등록 또는 SNS 이벤트를 통해 아우디 에코백, 아우디 우산 등 다양한 선물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평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주말은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9시까지 진행된다. 아우디 코리아 관계자는 "2023년 다양한 고객 행사를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는 동시에 기존 고객과 잠재 고객들에게 아우디의 프리미엄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ji01@ekn.kr아우디 익스피리언스 - 더 위크 오브 A6 Q4 e-트론 ‘‘아우디 익스피리언스-더 위크 오브 A6/Q4 e-트론’ 전시·시승 행사는 별도의 예약 없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 베트남서 존재감 발산···"日 브랜드 누르고 1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발산하고 있다. 2019년 현지 진출 이후 2021년까지 3년 연속 판매 1위를 기록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다. 작년에는 토요타에 밀려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는 선두를 다시 탈환할 것으로 보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2017년 베트남 탄콩(Thanh Cong)그룹과 베트남 닌빈성에 생산합작법인 ‘HTMV(Hyundai Thanh Cong Vietnam auto Manufacturing corporation)’를 설립하고 그랜드 i10, 아반떼, 투싼, 싼타페를 생산했다. HTMV에서 출고된 차량의 판매는 2017년 1만5570대, 2018년 5만8111대, 2019년 7만4973대를 기록하며 시장 입지를 빠르게 높여갔다. 현대차는 베트남에서 HTMV 출범 2년만인 2019년 7만9568대를 판매하며 7만9328대를 기록한 토요타를 제치고 판매 1위에 등극했다. 현대차는 2020년과 2021년에도 각각 8만1368대, 7만518대를 판매하며 3년 연속으로 베트남 시장 판매 1위 달성이라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일본차의 텃밭으로 불리는 베트남에서 글로벌 자동차 판매 대수 1위 기업인 토요타를 제치고 거둔 성과로 의의가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차는 2021년 판매합작법인(HTV) 설립, 지난해 HTMV 2공장 준공 등을 통해 베트남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아는 2004년 베트남 THACO(Truong Hai Auto Corporation, 쯔엉하이자동차)와 ‘반제품 조립 방식’(CKD)사업을 시작했다. 기아는 주요 차종의 현지 생산 및 신차 적기 투입, 마케팅 강화 등을 바탕으로 2018년 2만8986대, 2019년 3만103대를 판매했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 전년 대비 전체 수요가 급감한 2020년의 경우 토요타, 마쯔다, 미쯔비시, 포드 등 대부분의 업체의 판매가 감소한 것과 달리 기아는 30.2% 늘어난 3만9180대를 판매하는 저력을 보였다. 지난해에는 베트남 진출 후 처음으로 연간 판매 6만대를 돌파하며 베트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현대차는 5월까지 2만2903대를 판매하며 2만1547대를 판매한 토요타를 제치고 누적 판매 1위를 기록 중이다. 기아도 1만3951대 판매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하반기에도 생산 능력 확대, 판매 차종 다변화 등 점유율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올해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엑센트, 크레타, 싼타페 등 현지 판매 차종의 판촉 활동에 주력하는 한편 신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다목적차량(MPV) 등을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를 7월부터 현지에서 본격 생산하며 베트남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9월부터 2공장이 본격 가동됨에 따라 현지 생산 규모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현지 생산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로 판매 경쟁에서 앞설 수 있을 것으로 현대차는 기대하고 있다. 생산 합작법인 HTMV 1·2공장은 올해 하반기 아이오닉5, 베뉴, 팰리세이드 등 4개 모델을 추가로 생산한다. 총 12개 모델을 현지에서 생산해 판매하게 된다. 기아도 쏘넷, 카니발, 스포티지, K3 등 현지 판매 차종의 판촉 및 마케팅 활동을 적극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베트남은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 이은 동남아 4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판매국이다. yes@ekn.kr현대차가 베트남에서 판매 중인 '엑센트' 제품 이미지. 현대차가 베트남에서 판매 중인 ‘엑센트’ 제품 이미지. 2022년 11월 베트남 생산합작법인 2공장 준공식 사진 작년 11월 펼쳐진 현대차 베트남 생산합작법인 2공장 준공식 이미지.

현대차, 잔나비와 음원 ‘pony’ 제작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는 가수 잔나비와 음원 ‘pony(포니)’를 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현대차는 첫 독자 개발 모델인 포니와 포니 쿠페 콘셉트로부터 시작된 브랜드 헤리티지를 다각도로 선보이기 위해 밴드 잔나비를 헤리티지 프로젝트 홍보대사로 선정했다. ‘pony’는 잔나비의 보컬 최정훈이 어머니의 차에서 노래를 들으며 싱어송라이터를 꿈꾸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작사·작곡한 곡이다. 어머니와 함께 한 시간을 추억하기 위해 ‘뒷자리에 부푼 꿈을 숨겨주던 그녀의 젊은 자동차’ 같은 가사가 포함됐다. 현대차와 잔나비는 ‘pony’를 통해 자신만의 헤리티지를 발판 삼아 꿈을 이루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고객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음원 공개에 앞서 현대차는 30초가량의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을 현대 월드와이드 유튜브 채널에 선공개 했다. 뮤직비디오 전체 버전은 이날 오후 6시 잔나비 공식 유튜브 채널에 공개될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잔나비와의 협업을 통해 현대차의 헤리티지가 더욱 많은 고객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로 재해석됐다"며 "향후에도 고유의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현대차의 미래 방향성과 브랜드 가치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yes@ekn.kr‘pony’ 뮤직비디오 촬영 비하인드 컷 이미지. 현대차는 잔나 ‘pony’ 뮤직비디오 촬영 비하인드 컷 이미지. 현대차는 잔나비와 함께 만든 음원을 21일 오후 6시 공개한다.

이탈리아 스쿠터 ‘베스파 올 뉴 GTS’ 韓 상륙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이탈리아 스쿠터 브랜드 베스파(Vespa)는 신제품 ‘올 뉴 GTS’(ALL NEW GTS)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베스파의 한국 공식 수입사인 이탈로모토는 이날 서울 성수동 크리에이티브 라운지 코사이어티에서 모델을 소개 행사를 진행했다. 라인업은 GTS 클래식(Classic), GTS 슈퍼 스포츠(SuperSport), GTS 슈퍼 테크(SuperTech) 등이다. 제품은 전국 20개 베스파 공식 딜러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가격은 미정이다. 니콜라이 시모네 베스파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한국 시장은 아시아 태평양의 다른 시장에 비해 프리미엄 세그먼트 제품이 각광받는다"며 "GTS와 GTV 판매 비중이 전체 베스파 판매의 40%에 육박한다"고 말했다. 이어 "풀체인지된 GTS 모델이 한국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홍성인 이탈로모토 대표는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ALL NEW GTS는 기술, 디자인, 친환경 등 모든 면에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라며 "하반기에 신규 GTV 론칭 및 대규모 시승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yes@ekn.kr베스파 GTS 슈퍼 스포츠 제품 이미지. 베스파 GTS 슈퍼 스포츠 제품 이미지.

기아 ‘EV9’ 1호차 주인공은 최진환 롯데렌탈 사장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기아는 전용 전기차 ‘더 기아 EV9’의 1호차 주인공으로 최진환 롯데렌탈 사장을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기아는 전날 브랜드 체험관인 Kia 360에서 EV9 전달식을 열고 최 사장에게 EV9 1호차를 전달했다. 기아는 전기차의 보급 확대 및 고객중심 편의 서비스 개발에 앞장서며 혁신성을 보유한 최고경영자(CEO)로 평가받는 최 사장이 미래 전동화 기술의 집약체인 EV9의 이미지와 잘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최 사장은 "오랫동안 혁신적인 플래그십 전동화 SUV를 기다려 온 만큼 EV9이 프리미엄한 경험과 높은 만족감을 줄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했다.권혁호 기아 부사장은 "시대를 이끌어가는 혁신적인 리더를 위한 모델인 EV9은 기아가 글로벌 톱티어 전기차 브랜드로 도약하는 기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아는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고 ESG경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yes@ekn.kr20일 서울 압구정 Kia 360에서 진행된 EV9 1호차 전달식에서 권혁호 기아 부사장(왼쪽)과 최진환 롯데렌탈 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차 ‘상용 플릿 전동차 기술인증제’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는 상용 전동차 정비 인력 육성을 위해 ‘현대 상용 플릿 전동차 기술인증제’(HFCPe)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HFCPe는 현대차의 상용 전동차를 운용 중인 플릿사 대상 기술인증제다. 실제 현장 사례에 기반한 실습 교육 및 전동차 수리·진단 역량 확보를 통해 고객이 만족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용 전동차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HFCPe’ 교육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이뤄졌다. △기초전기전자 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전동차 기본 이러닝 과정’ △전기 및 수소관련 주요 장치 학습을 위한 ‘상용 전동차 스킬업 과정’ △실제 차량의 주요 시스템 고장진단을 위한 ‘EV, FCEV 진단 과정’ 순이다. 교육 대상자는 △상용 전동차 스킬업 과정까지 이수 시 ‘e-Tech(이-테크)’ 등급을 △EV, FCEV 진단 과정까지 이수 후 승급평가를 통과할 시 ‘e-Pro(이-프로)’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e-Tech’ 등급은 시스템 전반적 이해 및 고객응대, 상위 등급 지도하에 상용 전동차 진단 및 수리가 가능하며 ‘e-Pro’ 등급은 독자적인 진단과 수리가 가능하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플릿사 인증제도 런칭을 통해 체계적이고 강화된 교육과정으로 정비 현장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현대차 상용 전동차를 운용 중인 플릿사의 자체적인 정비역량 확보를 뒷받침하고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yes@ekn.kr현대차 천안글로벌러닝센터에서 ‘현대 상용 플릿 전동차 기술 현대차 천안글로벌러닝센터에서 ‘현대 상용 플릿 전동차 기술인증제’ 교육이 펼쳐지고 있다. 현대차는 상용 전동차 정비 인력 육성을 위해 해당 제도를 론칭했다.

포르쉐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포르쉐코리아가 덕수궁 덕홍전에서 독일 함부르크 로텐바움 박물관에 소장된 고종의 선물 3종을 재현한 ‘1899, 하인리히 왕자에게 보낸 선물’ 특별 전시의 개막식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9일 열린 개막식에는 홀가 게어만 포르쉐코리아 대표, 최응천 문화재청장, 최영창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 미하엘 라이펜슈툴 주한독일대사, 마틴 헨켈만 한독상공회의소 대표를 비롯해 전시 공예품 제작에 참여한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이 직접 참석해 문화 유산 전승의 중요성을 공유하며 한·독 수교 140주년을 기념하는 시간을 가졌다. 홀가 게어만 포르쉐코리아 대표는 "‘1899, 하인리히 왕자에게 보낸 선물’은 역사에 기반한 미래를 만들어 가는 하나의 이정표이며, 특히 한·독 수교 140주년을 맞아 선보이게 돼 뜻 깊게 생각한다"며 "포르쉐는 전통과 혁신을 기반한 브랜드로서 앞으로도 유서 깊은 한국 전통 문화 계승과 확산에 기여하고 미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르쉐코리아는 지속적인 국가무형문화재 지원을 위해 3000만 원의 전승 지원금을 전달했다. 공예 및 예능 분야 각 2인에게 500만 원, 전통 예능 분야 단체에 1000만 원이 지원된다. ‘1899, 하인리히 왕자에게 보낸 선물’은 올해 한·독 수교 140주년을 맞아 한국의 역사적 중요성을 알리고, 대대로 이어져 온 장인정신을 보존하기 위해 기획된 국외소재 전통공예품 재현 프로젝트다. 고종이 자주국가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대한제국 최초의 국빈인 독일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왕자에게 선물한 40여 점의 공예품 중 갑옷, 투구, 갑주함 등 3종을 재현한 작품이 전시된다. 특별전은 다음달 2일까지 덕수궁 덕홍전에서 진행된다. 전시에 출품된 재현 작품은 덕수궁에 기증될 예정이다. 특별 전시 관람은 무료(덕수궁 입장료 별도)이며 자세한 사항은 한국문화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kji01@ekn.kr포르쉐 홀가 게어만 포르쉐코리아 대표(왼쪽)와 무형문화재 전승자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