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CJ대한통운은 운송플랫폼 ‘더운반(the unban)’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더운반은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로 실시간 최적 운임을 찾아내고 화주와 차주를 직접 연결시켜준다. 화주가 화주용 운반 웹에 가입 후 출발지, 도착지, 화물종류, 수량 등의 정보를 올리면 차주가 모바일 앱으로 해당 정보를 확인, 선택 후 운송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이번 플랫폼을 통해 영세한 차주들이 겪는 불합리한 중개수수료 문제가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주와 차주가 플랫폼을 통해 직접 연결되기에 중간과정에서 중개업자에게 지급되던 수수료가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운송시장은 화주, 차주 모두 상대방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 중개업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높은 수수료가 발생되고 서비스 질은 낮아져 대표적인 ‘레몬마켓(수요자와 공급자 사이 한쪽에만 정보가 치우친 시장)’으로 손꼽혔다. 단순히 ‘연결’에 초점을 맞춘 일반 플랫폼들과 달리, 물류 빅데이터와 운송 전문성을 토대로 완성도 높였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운송과 직접 관련된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함께 외부 정보를 학습한 AI를 통해 실시간 최적 운임을 찾아낸다. 차주들의 업무 편의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화주정보, 운임정보 등 운송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운행상태 확인, 운송장 취득, 익일 운임정산 등의 모든 행정 과정도 자동으로 이뤄진다. 최형욱 CJ대한통운 운송플랫폼담당 경영리더(상무)는 "혁신물류기술을 통해 폐쇄적인 운송시장이 투명하고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시장환경을 조성하고,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화주와 차주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착한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lsj@ekn.kr대한통운 CJ대한통운 직원들이 운송플랫폼 ‘더운반’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