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분기 국내 백화점업계 빅3 모두 매출 하락을 피하지 못한 가운데, 영업이익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내수 둔화 등 녹록치 않은 경영환경 속 과감한 투자 확대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했지만, 미래 성장성에 '베팅'하며 하반기 실적 반등을 꾀하는 모습이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줄어든 7862억원을 기록했다. 외형은 줄었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4.7% 증가한 632억원을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잠실점 등 주력 점포 매출이 7% 크게 뛴 데다, 우수고객 실적이 6.1% 늘면서 매출 견인에 한 몫 했다. 운영 경비 효율화를 통한 판관비 절감으로 영업이익도 두 자릿수 늘어나는 효과를 봤다. 눈길을 끄는 점은 3사 중 유일하게 해외 사업에서 호조를 보인 것이다. 베트남 3개 점포, 인도네시아 1개 매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2% 오른 295억원의 매출을 냈다. 기존점 매출 신장률만 19.9%로, 특히 베트남 롯데몰 웨스크레이크 하노이 매출 신장률은 이보다 높은 25.1%를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에는 9억원의 영업손실도 냈지만 올해는 영업이익 18억원을 거두며 흑자 전환했다. 반면 경쟁사인 신세계백화점은 매출·영업이익 모두 동반 감소하는 쓴 맛을 봤다. 2분기 신세계백화점의 순매출은 62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09억원으로 13.3% 감소하며 3사 중 가장 영업이익 하락 폭이 컸다. 주력 사업인 패션부문 침체로 매출 타격을 입었으며, 본업 경쟁력을 위한 투자 강화로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했던 영향이다. 특히, 부산 센텀시티점 '하이퍼그라운드'에 이어 서울 강남점 식품관(스위트파크, 하우스오브신세계, 신세계마켓), 명동 본점 '더 헤리티지'·'디 에스테이트' 등 공격적인 리뉴얼을 이어가며 비용 지출이 커진 탓이다. 현대백화점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2분기 현대백화점 매출은 5901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6% 줄었고, 영업이익도 693억원으로 2.3% 감소했다. 주요 점포 리뉴얼 등 영업 면적 축소로 실적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이들 3사가 2분기 아쉬운 성적을 낸 데 업계 의견을 종합해보면,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침체 영향이 실적 부진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업계는 하반기를 실적 반등 모멘텀으로 보고 투자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올 하반기 강남점 델리 코너를 개장해 식품관 리뉴얼을 마무리한다. 명동 본점도 럭셔리 라인업을 강화한 본관(더 리저브) 개점이 예정돼 있다. 최근 출시한 온라인 쇼핑 플랫폼 '비아신세계'·'비욘드 신세계'를 바탕으로 온라인 사업 강화도 예고했다. 하반기부터 롯데백화점은 37년 만에 잠실점 본관에 대대적인 리뉴얼을 예고한 한편, 노원·인천점 새 단장도 병행한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7월부로 신장세 전환한 고마진 패션 상품군 회복세에 힘입어, 신규 럭셔리·프리미엄 브랜드 입점에 힘주면서 하반기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하반기부터 본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업계에서 추진해 온 리뉴얼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가 오는 9월부터 유커(중국 단체관광객)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실시하면서 외국인 방문객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도 크다“고 설명했다.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