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첫날…공항·항만·마트 ‘활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30 08:05
중국 무비자 입국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첫날인 29일 오전 인천항 국제크루즈터미널에 중국인 단체 크루즈관광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시행 첫날인 29일 중국발 크루즈와 여객기가 들어온 인천항과 인천공항을 비롯해 서울시내 주요 대형마트 등은 모처럼 대규모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활기를 띠었다.


이날 인천항 국제크루즈터미널에는 중국 선사 톈진동방국제크루즈의 7만7000톤급 크루즈 '드림호'가 입항해 승객 2189명과 승무원 563명 등 2700여명이 한국 땅을 밟았다.


이날 입국한 드림호 승객들은 무비자 입국이 적용됐다. 다만 출입국 당국은 이날부터 시행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적용한 것이 아니라 기존에 시행 중인 '크루즈 관광 상륙허가제'를 적용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무비자 입국 정책 시행 이전에도 전담 여행사나 크루즈 선사가 모집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이밖에 제주도는 이전과 동일하게 개별·단체 관광객 모두 30일 무비자 방침이 유지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방한 관광 활성화를 위해 이날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를 한시적으로 시행한다.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최대 15일 동안 무비자로 한국 관광을 할 수 있다.




이날 드림호가 입항한 인천항 외에 인천공항도 외국인 관광객으로 붐비는 모습을 보였고, 대구공항도 중국발 한국행 여객기의 탑승 여객이 평소보다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내년 6월까지 중국인 관광객 100만명 정도가 더 한국을 찾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오는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중국의 황금연휴인 국경절을 비롯해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특수가 곧 이어져 무비자 입국 제도를 활용한 중국 관광객 입국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와 호텔 등 여행업계는 무비자 입국 첫날부터 중국 관광객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아니지만 점차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유커 특수에 대비한 맞춤형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 첫날인 29일 중국인 뿐만 아니라 많은 동아시아권 관광객들이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을 방문해 인산인해를 이뤘다"며 “중국인 무비자 입국 한시 허용과 동아시아권 공휴일 시즌에 맞춰 외국인 방한객이 많을 것을 고려해 외국인 특화매장 10개점에서 'K푸드 페스타'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최근 한국 필수 관광코스로 떠오른 CJ올리브영, 다이소, 편의점 등도 중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상품을 대폭 늘리고 유커 특수에 대비하고 있다.


한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외국인 출입국관리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같은 날 서울 여의도에서는 보수 성향 단체의 반중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다만, 법무부는 출입국관리정보시스템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관리하는 시스템과는 별도로 운영되므로 이번 화재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