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잔액 변화 미미한데...이용자 수↓, 인당 대출액↑ "저신용층, 대부업 소외...불법 사금융 이용 증가 우려"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작년 말 기준 대부업 대출규모, 등록 대부업자 이용자 수가 줄어든 반면 연체율은 6개월새 1.3%포인트(p)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수가 줄었음에도 연체율이 오른 것은 저신용자의 대부업 시장 소외, 대부업자의 불법추심행위가 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대부업권의 저신용층 신용공급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부업자의 추심업무 운영실태를 점검할 방침이다. 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대부중개업자를 포함한 등록 대부업자는 8818곳이었다. 법인 형태의 대부업자는 2765개, 개인은 6053개였다. 대출잔액은 15조8678억원으로 지난해 6월 말(15조8764억원) 대비 86억원 감소했다. 대형 대부업자들이 작년 9월부터 12월까지 신규대출 취급을 중단한 영향으로 대출잔액이 소폭 줄었다. 대부이용자는 98만9000명으로 같은 해 6월 말(106만4000명) 대비 7만5000명 감소했다. 이용자 수는 2020년 말 138만9000명에서 2021년 말 112만명 등으로 감소 추세다. 대형 대부업자들이 개인 신용대출을 줄이면서 이용자 수도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출유형을 보면 담보대출이 8조9048억원으로 전체의 56.1%를 차지했다. 신용대출은 6조9630억원으로 43.9%의 비중을 나타냈다. 대부이용자 1인당 대출잔액은 1604만원이었다. 담보대출이 늘면서 인당 평균 대출잔액은 2020년 말 1047만원, 2021년 말 1308만원, 작년 6월 말 1492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작년 말 대부업의 평균 대출금리는 14.1%로 같은 해 6월 말(14%) 대비 0.1%포인트 올랐다. 자산 100억원 이상의 대형 대부업자의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 이상)은 7.3%로 작년 6월 말(6%) 대비 1.3%포인트 올랐다. 연체율은 2020년 말 8.3%에서 2021년 6월 말 7.3%, 2021년 말 6.1%, 작년 6월 말 6%로 하락세였다가 다시 반등했다. 금감원은 "등록 대부업자의 전체 대출잔액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대부이용자 수는 감소하고 1인당 대출액이 늘었다"며 "신용이 열악한 저신용층이 대부업 시장으로부터 소외돼 이들의 불법 사금융 이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짚었다. 특히나 대형 대부업자의 연체율이 오른 것은 대부업자가 채권회수를 위해 추심 강도를 높이거나 경우에 따라 불법추심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금감원은 우려했다. 이에 금융위원회, 금감원은 은행·저축은행 등 금융회사를 이용하지 못하고, 대부업을 이용하는 저신용층의 금융애로 해소 및 불법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대부업권의 저신용층 신용공급 현황 및 연체율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서민금융 우수대부업자 제도 내실화 등을 통해 저신용층에 대한 신용공급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며 "대부업자의 채권추심업무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불법사금융 광고에 대한 단속·차단 및 정책 서민금융상품 홍보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ys106@ekn.kr대형대부업 (자료=금융감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