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한자리에…밸류업 기업 보고서 발행 등 논의

금융투자협회는 서울 여의도 금투협 중회의실에서 '자본시장 밸류업 리서치센터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발표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금융투자업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금융투자업권의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융투자협회에서는 이창화 전무와 천성대 증권·선물본부장이 참석했으며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증권사 8곳의 리서치센터장 등이 참석해 의견을 공유했다. 이창화 전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및 자본시장 밸류업은 우리 업계의 해묵은 과제이자 숙원사업"이라며 “한국 자본시장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관심과 기대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바 우리 업계도 밸류업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센터장들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정보 비대칭 해소, 기업 가치 평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봤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센터장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는 비재무적 지표 등 투자자 간 정보 비대칭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고려한 경영활동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하이투자증권 고태봉 센터장은 “기업으로 하여금 적정주가(Fair Value)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고, 기업이 투자자에게 기업 스스로의 가치평가나 향후 개선책을 전달할 수 있는 루트가 생겼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승훈 IBK투자증권 센터장은 “일본이 2012년부터 지배구조 개선 등의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재팬(Japan) 디스카운트를 해소한 것처럼 우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역시 단기적인 실행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추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승민 삼성증권 팀장은 “과거에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주가 또는 밸류에이션 회복에 논의가 집중됐다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이후에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기업의 자율적·근원적인 노력으로 논의가 확장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금융투자업계의 역할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센터장은 “기업의 밸류에이션은 성장, 환원, 리스크의 함수"라며 “앞으로는 기업실적 추정과 밸류에이션에 있어 기존의 손익계산서 분석에 더해 지배구조, 현금흐름 및 장부가치(Book Value)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센터장은 “낮은 주주환원율, 소극적인 주주소통, 불투명한 거래 등이 감지되는 기업에 대해서 관련 현황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고 나아가 개선 방향까지 제시하는 기업분석보고서가 많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창용 신한투자증권 센터장은 “상장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 정보를 활용한 밸류업 등급 산출, 밸류업 관련 투자 유니버스 구성 등을 내부적으로 기획하고 있다"고 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부장은 “리서치센터 커버리지 기업들이 밸류업 프로그램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슈 자료를 발간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투협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오는 14일 자산운용사 임원 간담회, 16일 국내·외국계 증권사 기획임원 간담회를 연달아 개최해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업계와의 소통 노력을 지속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DB하이텍, 컨센서스 상회… 목표가 유지 [흥국증권]

DB하이텍의 지난 1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웃돌았다. 다만, 2분기 역시 전년 대비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돼 목표주가는 유지됐다. 10일 이의진 흥국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는 재고정상화 및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며 “가동률 또한 상반기 스팟물량을 통해 방어할 것으로 예상되며 , 하반기에는 세트 수요 회복을 통해 80% 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8 인치 증설로 인한 경쟁 우려가 존재하고 있으나 DB하이텍을 퍼스트벤더로 이용하는 고객사 비중은 80%로 수요 증가시에 가장 빠른 반등세가 기대된다"면서 “수주 받은 개발 프로젝트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으며 양산매출로 전환시 매출로 반영되며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2576억원과 313억원으로 내다봤는데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7%, 65% 하락한 수치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특징주] ‘불닭볶음면’ 삼양식품, 주가도 맵다 ‘52주 신고가 경신’

'불닭볶음면' 인기에 힘입어 삼양식품 주가가 고공행진 하면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우상향 중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2분 현재 삼양식품 주식은 전날보다 7.26%(2만2500원) 오른 33만2000원에 거래 중이다. 장 초반 33만3000원까지 오르며 1년 내 최고가를 새로 썼다. 불닭볶음면이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주가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해외 법인 중심으로 매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미국의 경우, 삼양식품 제품이 미국 내 품귀현상이 일어나 정도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불닭볶음면이라는 단일브랜드에 대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오리지널 불닭볶음면 외에도 까르보 불닭볶음면, 현지 시장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제품 출시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면서 “불닭브랜드의 경쟁력이 유지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라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특징주] 삼전 로봇 연구 소식에 로봇주 강세…에브리봇 18% ↑

삼성전자가 자율주행 대신 로봇 연구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소식에 로봇주가 일제히 강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47분 기준 에브리봇은 전 거래일 대비 3650원(17.22%) 오른 2만4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랜시스도 15.66% 오른 7680원에 거래되고 있고 아진엑스텍(10.25%), 삼익THK(7.20%), 휴림로봇(7.14%), 엔젤로보틱스(5.35%), 레인보우로보틱스(4.23%) 등도 오름세다. 로봇 관련주가 강세를 띠는 데는 전날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의 선행 연구를 담당하는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가 연구 과제에서 자율주행을 제외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온 영향이다. 삼성전자가 자율주행보다 로봇 연구에 집중할 수 있다는 소식에 로봇주로 기대감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특징주] 펄어비스, 영업익 흑자달성… 어닝 서프라이즈에 강세

펄어비스가 1분기 호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주가도 강세다. 영업이익 적자 전망을 뒤집고 흑자 달성에 성공하면서 투자심리가 유입중인 것으로 보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8분 현재 펄어비스는 전 거래일 대비 18.24%(6100원)오른 3만9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펄어비스는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854억원, 6억원, 당기순이익은 12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액은 1.2%가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흑자 전환했다. 그간 시장에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검은사막의 온오프라인 매출 감소세 지속에 따라 805억원, -61억원을 전망했다. 하지만 검은사막의 매출이 전분기 대비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인건비 증가(전분기 대비 13.2%)에도 효율적인 마케팅으로 광고선전비가 전분기 대비 30.3%가 줄어들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펄어비스는 이달 중 자회사 CCP게임즈가 개발한 이브 지적재산권(IP)을 기반으로 하는 신작 '프로젝트 어웨이크닝'의 대규모 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모바일 게임 '이브 갤럭시 컨퀘스트'의 사전 서비스 지역 또한 확대할 예정이다. 조석우 펄어비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24년은 검은사막과 이브의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성과를 이어가겠다"며 “신규 IP의 성공적인출시를 위한 마케팅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특징주] 삼영에스앤씨, 저노점 트랜스미터 개발에 이틀 연속 ‘上’

삼영에스앤씨가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에서 삼영에스앤씨는 오전 9시40분 기준 1670원(29.87%) 상승한 72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영에스앤씨는 전날에도 상한가를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삼영에스앤씨가 지난 9일 고정밀 습도측정기술인 칠드미러(Chilled-Mirror) 기반의 저노점 트랜스미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삼영에스앤씨는 개발한 제품을 삼성SDI 등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 및 드라이룸 공조업체 등에 공급을 시작한 상태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특징주]비케이탑스, 정매 마지막 날 10원대로 추락

상장폐지에 따른 정리매매를 진행 중인 비케이탑스의 주가가 10원대로 추락했다. 10일 오전 9시 30분 비케이탑스는 전날보다 31.58% 떨어진 13원에 거래 중이다. 시가총액은 약 3억원이다. 비케이탑스는 지난 2022년 5월 제출된 감사보고서에서 의견거절을 받은 뒤 상폐 사유를 해소하지 못하고 주가 904원에 최근까지 거래가 정지됐다가 정리매매에 들어간 종목이다. 이날은 정리매매 마지막 날이다. 한편 비케이탑스의 경영진 중 일부는 최근 다른 상장사인 전진바이오팜의 사내이사로 선임되려다가 안건이 부결된 바 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대신자산운용, AUM 10조원 돌파…4개월 새 17% 증가

대신자산운용은 지난달 30일 기준 펀드 운용자산 규모(AUM)가 10조원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대신자산운용의 AUM은 지난해 말 8조5647억원에서 10조439억원으로 4개월여 만에 약 17% 증가했다. 고금리 환경 장기화에 채권 간접투자 수요가 커지면서 채권형과 채권혼합형 펀드 자산 수탁고가 1조원 넘게 늘었다. 대신자산운용은 채권 투자수요 증가에 맞춰 채권형 공·사모 펀드 라인업을 적극적으로 확장했다. 올해 3월에는 '대신 미국 장기국채 액티브 목표전환형 2호' 공모펀드를 판매사 8곳을 통해 약 731억원 설정해 운용 중이다. 지난해 11월 출시한 1호 펀드는 출시 3주 만에 목표수익률인 7%를 조기 달성하며 2호 펀드의 흥행을 이끌기도 했다. 또 하이일드 공모주 펀드와 만기매칭 채권형 사모펀드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수탁고 증가에 기여했다. 특히 채권형 사모펀드는 은행 등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들의 수요에 부응했다. 이외에도 주식형 펀드 운용자산 규모가 3057억원, 재간접 펀드가 1097억원, 부동산 펀드가 1014억원 증가하는 등 대부분의 자산군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재우 대신자산운용 마케팅&지원그룹장은 “시장 환경과 투자자 니즈에 맞춰 적시에 다양한 공·사모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상품 라인업으로 다양한 투자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KB증권, 어버이날 맞아 취약계층 어르신께 ‘孝 드림 KB박스’ 전달

KB증권은 어버이날을 맞이해 서울시 내 취약계층 어르신 가정 600가구에 간편식과 영양제를 담은 '효(孝) 드림 KB박스'를 전달했다고 10일 밝혔다. KB증권은 올해로 10년째 매년 어버이날마다 서울시 내 취약계층 어르신들을 위한 '효 드림 KB박스'를 전하고 있다. 올해까지 KB증권은 총 7600가구의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 가정에 '효 드림 KB박스'를 전했다. 이번 KB박스는 서울 6개 지역구(양천·강서·영등포·관악·노원·광진구)의 취약계층 어르신 가정 600가구에 전달된다. 이번 '효 드림 KB박스'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간편식과 영양제 등 어르신께서 손쉽게 드실 수 있는 삼계탕과 곰탕, 그리고 관절 건강을 위한 영양제 및 근육통 완화를 위한 롤 온 타입 파스를 담았다. 김성현, 이홍구 KB증권 대표이사는 “어버이날을 맞아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께 작게나마 마음을 전할 수 있어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KB증권은 지역사회 공동체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티웨이항공, 유럽 노선 기대 [하이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은 10일 티웨이항공에 대해 여객 수요가 견조하고 고운임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목표주가는 3400원을 유지했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티웨이항공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한 4229억원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753억원을 기록했다"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인 710억원을 6.7% 상회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선별 매출액에서 동남아(43%)와 일본(19%)의 성장이 두드러졌고 탑승률도 매우 높았다"고 덧붙였다. 배 연구원은 “티웨이항공의 국제선 여객 수요는 2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제선 운임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 예상된다"며 “다만 티웨이항공의 유럽 노선 취항으로 장기적인 이익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티웨이항공은 다음 달 말 파리(주 4회)를 시작으로 오는 8월 로마(주 5회), 9월 바르셀로나 (주 7회), 10월 프랑크푸르트(주 7회)에 취항 예정이다. 배 연구원은 “연환산 기준 티웨이항공의 유럽 노선 취항으로 약 4000억~4500억원의 매출 증가가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