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도시유전, ‘탄소제로 재생유’ 상용화 최종 승인…EU 수출 본격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01 08:59

KTL, PSM, 유럽 ISCC 3개 기관 심사 모두 승인
‘저온 열분해 재생유’ 상업화 마지막 관문 통과
10월 정읍 생산공장 정식 가동…EU 수출길 활짝

도시유전

▲도시유전의 전북 정읍플랜트 RGO 설비 모습. 사진=도시유전

재생유 신기술 기업 도시유전이 온실가스 배출 없는 '저온 열분해 재생유'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한 모든 설비 구축과 국내외 인허가 승인절차를 완료했다.


이로써 도시유전은 플라스틱 원료로 쓰이는 나프타 수준의 재생유를 상업화하기 위한 마지막 관문까지 통과하면서 본격적인 수익창출을 시작하게 된 것은 물론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재생유 생산 신기술의 상업성을 최종 입증했다.


1일 도시유전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에 걸쳐 폐플라스틱 재생유의 생산설비 및 재생유 품질에 대해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유럽 ISCC PLUS 국제 인증의 심사를 각각 통과했다.


이로써 도시유전은 독자기술로 개발 구축한 국내 재생유 생산공장의 상업가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됐을 뿐 아니라 이곳에서 생산하는 재생유를 유럽연합(EU) 및 기타 국가에 수출할 수 있게 됐다.


이번 3개 기관 인증 획득은 도시유전이 재생유 생산기술 및 설비 수출에 이어 생산 제품까지 판매·수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수익창출을 시작함은 물론 온실가스 배출 없는 친환경 재생유가 상업화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SCC 인증은 유럽연합 재생에너지 지침에 부합하는 바이오매스, 재생에너지 원료 등 저탄소 제품에 부여되는 국제 인증 제도로, 유럽 시장에 지속가능 연료를 수출·판매할 때 의무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인증이다.


친환경 제품, 특히 열분해유에 대한 규제가 강력한 EU나 다국적 석유화학사(BASF, INEOS, SABIC, LyondellBasell 등), 포장재·소비재 기업(유니레버, 네슬레 등)은 ISCC PLUS 인증을 받은 재생원료(재생유)만 구매하는 추세이다.


EU 시장 수출을 노리는 기업은 ISCC PLUS가 사실상 필수인 만큼, 도시유전의 이번 인증 획득은 재생원료유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생산한 한국산 재생원료(재생유)를 EU에 수출할 수 있게 됐음을 의미한다. 실제 유럽의 모 글로벌 회사는 도시유전의 재생원료(재생유) 샘플구매, 공장현장 실사 등의 일정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KTL과 한국산업안전공단의 공정안전관리제도(PSM) 검증 통과는 도시유전의 설비제품과 재생원료 제품이 품질 신뢰성과 공정의 안전성을 함께 공인받아 기술적·법적·시장적 신뢰를 동시에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로써 도시유전은 안정적 사업 운영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강력한 사업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도시유전은 이번 3개 기관 심사 통과로 이달부터 전북 정읍에 있는 '웨이브정읍' 공장에 대해 기존 시험가동을 끝내고 상업가동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정읍 플랜트는 연간 7000톤 이상 규모의 폐플라스틱을 처리할 수 있는 설비로, 도시유전이 자체 개발한 촉매 기술인 'RGO 기술'과 파장 기반의 비연소(non-combustion) 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이 공정은 단순 열분해가 아닌 촉매적 파장 반응을 통해 안정적 분해를 유도함으로써 기존 연소 방식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이옥신·퓨란 등 고독성 부산물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정읍 플랜트는 비연소 방식의 재활용 기술을 통해 경제성 높은 고품질 재생유 전환과 환경오염 리스크를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단순한 재활용 설비를 넘어 자원순환 모델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도시유전은 이곳에서 폐플라스틱을 분해해 생산한 재생원료(재생유)를 EU 회원국 또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규제를 받는 아시아의 국가에 수출할 예정이다.


앞서 도시유전은 지난해 3월 베트남에 도시유전 웨이브 정읍 공장에서 생산되는 재생원료(재생유)를 1ℓ당 2달러에 수출하기로 계약 체결하기도 했다.


도시유전의 정영훈 대표는 “ISCC PLUS, PSM, KTL 검증과 인증을 모두 통과한 것은 단순한 인허가 완료를 넘어 도시유전의 기술이 국내외적으로 환경 친화성 기술이라는 것을 확실히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대표는 “이는 우리가 글로벌 시장에서 후발주자일 수도 있지만, 한국이 세계 열분해유 시장 경쟁력을 선도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도시유전에 대한 투자의 리스크가 완화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이제 곧 도시유전은 세계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경제의 핵심 레퍼런스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