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Q 영업익 374억원…전년비 83%↓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8483억원·영업이익 37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폴란드 수출 일정 등에 따른 영향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영업이익은 83% 감소했다. 방산 부문은 매출 6566억원·영업이익 142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92% 줄었다. 폴란드향 K-9 자주포 등은 2분기부터 본격 수출길에 오른다. 1분기말 기준 방산 부문 수주 잔고는 30조3000억원에 달한다. 항공우주 부문은 매출 4434억원·매출 29억원을 냈다. 여객 수요 증가에 따른 민항기 엔진 물량 확대로 매출은 14% 늘었다. 영업이익은 82% 하락했다. 자회사 한화비전은 매출 3100억원·영업이익 520억원을 달성했다. 북미·영국 등 CCTV사업 호조로 매출이 13%, 영업이익은 40% 늘어났다. 한화시스템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444억원·39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23.9%, 영업이익은 218.1% 급증했다. 폴란드향 K-2 사격통제시스템 및 아랍에미리트(UAE)향 천궁-Ⅱ 다기능레이더와 신한EZ손해보험 차세대 시스템 등 방산·ICT 부문의 프로젝트가 실적 향상을 견인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정밀기계·쎄트렉아이·연결조정 등 기타 부문에서 711억원의 영업손실이 났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루마니아 자주포 사업 최종 결과 발표 등을 기다리고 있다"며 “올해 방산 부문 실적은 지난해 보다 좋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한양대 김형숙 교수, ‘정책소통 유공’ 국무총리표창 수상

한양대학교(총장 이기정)는 데이터사이언스학부 김형숙 교수가 '2023 정책소통 유공 포상 전수식'에서 민간 협력 및 국민 참여 소통 부문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정책소통 유공 포상은 정책 소통의 사기 진작과 국민과의 정책 소통 강화를 목적으로 국정과제 및 국가 주요 정책 소통에 적극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해당 분야에 5년 이상 공적을 쌓은 자 또는 단체에게 주어진다.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린 2023 정책소통 유공포상 전수식에서 김형숙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정서장애 예방 및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의 총괄연구책임자로서 대국민 정신건강 예방·관리를 위한 산·학·연·관·병·정 협업 체계를 구축한 공로를 인정받아 포상 영예를 안았다. 아울러 지난 2022년 9월 서울시 청년 대상, 지난해 9월 국방부 전 장병 및 간부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정신건강 예방·관리 서비스를 시행해 정부 연구개발사업 인지도를 제고했다는 공헌도 인정받았다. 김 교수는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서비스분과 위원으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주도하면서 정부 및 유관협회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 정부의 14년 숙원사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형숙 교수는 “산·학·연·관·병이 협력하는 성공모델을 실현하고, 연구개발 생태계를 혁신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김철훈 기자 kch0054@ekn.kr

삼성SDI, 1Q 영업익 2674억원…전년비 29%↓

삼성SDI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1309억원·영업이익 267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영업이익은 29% 감소했다. 전지 부문은 매출 4조5818억원·영업이익 2145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5%, 영업이익은 32% 하락했다. 소형 전지는 매출이 감소했지만, 파우치형 전지를 중심으로 수익성이 향상됐다. 중대형 전지 중 에너지저장장치(ESS)용은 비수기 영향 등으로 수익성이 줄었다.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 판매와 미주향 P6 공급 개시 등 고부가 제품 판매와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수익 인식 영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원형 전지는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 고객의 재고 영향으로 매출이 축소됐다. 전동공구는 장기 공급계약을 토대로 전분기 수준의 실적을 냈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에 따라 수익성이 높아졌다.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5491억원·영업이익 529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1%, 영업이익은 10% 하락했다. 편광필름은 75인치 이상 대형패널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어났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반도체 소재는 고객의 일시적 재고 조정의 영향을 받았다. 삼성SDI는 2분기 들어 중대형 전지 실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P6와 '삼성 배터리 박스(SBB)' 판매 확대 및 UPS용 고출력 배터리 수요 증가가 이뤄진다는 논리다. 소형 전지도 수익성 확보와 함께 신규 수요를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미주 야외용 전동공구(OPE) 및 인도·동남아 전기이륜차 시장의 조기 진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46파이 전지 고객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하반기 신제품에 선제 공급을 추진한다. 전자재료 부문은 시장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편광필름은 3분기 TV 시장 성수기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소재는 메모리 반도체 시황 개선에 따른 실적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OLED 소재는 계절적 비수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재생에너지 전환 △전지 리사이클링 확대 △용수 사용량 절감 등 8대 전략과제를 진행 중이다. 공급망 지속가능성도 제고하고 있다.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ESRS) 및 국제회계기준(IFRS) 기후 관련 공시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세스 정비 및 시스템 구축도 준비하고 있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는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 환경에서도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및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차원이 다른 변화와 혁신을 통해 2030년 글로벌 탑 티어 회사 달성을 앞당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LG화학, 1Q 영업익 2646억원…전년비 67.1%↓

LG화학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1조6094억원·영업이익 2646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7%, 영업이익은 67.1%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1.6%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7.0% 증가했다.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4552억원·영업손실 312억원을 냈다. 원료값이 올랐지만, 긍정적인 납사 래깅 효과와 비용절감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적자 폭을 줄였다. 2분기에는 가전 및 주요 제품의 성수기 진입과 고부가 제품 신규라인 가동 등이 실적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5834억원·영업이익 1421억원을 달성했다. 전지재료는 전분기 기저효과 등으로 출하량이 확대됐다. 전자소재는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실적이 향상됐다. 2분기에는 양극재 출하량 증가 및 메탈값 안정화로 수익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849억원·영업이익 33억원을 시현했다. 당뇨·성장호르몬을 비롯한 주력 제품 판매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소폭 늘어났으나, 글로벌 임상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개발(R&D) 비용이 불어났다. 2분기에는 주요 제품 판매와 희귀비만치료제 라이선스 아웃 계약금 인식으로 일시적인 지표 개선이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1287억원·157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략고객향 수요에 대응해 원통형 매출을 늘렸지만, 전방시장 일부 수요 둔화 및 메탈값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축소됐다. 2분기에도 유럽 등 전방시장 수요 약세 가능성이 있으나, 주요 고객사향 물량 확대로 매출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팜한농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457억원·영업이익 349억원으로 나타났다. 비료 판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하락했지만, 작물보호제 해외 판매 확대 및 판가 인상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2분기에는 저수익 비료 화공사업 중단으로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작물보호제 해외 판매 확대가 연간 수익성 향상을 견인할 전망이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회사의 위기관리 능력을 토대로 전분기 대비 개선된 수익성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3대 신성장동력 중심의 근본적인 사업 경쟁력 제고와 운영 최적화 활동 등을 통해 점진적인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단독] KD리빙, 12년 만에 ‘KT리빙’으로 사명 바꾼다

KT그룹의 임대주택 운영 관리기업 케이디리빙(KD living)이 12년 만에 사명을 'KT 리빙(KT living)'으로 바꾼다. KT가 추진 중인 '탈(脫)통신'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30일 본지 취재 결과 KT는 지난 16일 특허청 정보검색 서비스 '키프리스'에 'KT 리빙'이라는 상표권을 출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상표권의 상품 분류 코드는 36류(부동산업)에 해당하며, 건물 관리 및 분양·임대업 등이 포함된다. 36류는 일반적으로 주택사업 진행에 앞서 확보해야 하는 분류 코드로 알려져 있다. 이는 KD리빙의 사명 변경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풀이된다. KD리빙은 KT그룹의 부동산 관리 및 개발 사업 전담 기업 KT에스테이트와 일본 다이와하우스 그룹의 전문 운영사인 다이와리빙이 지난 2012년 합작 설립했다. KD리빙은 이달 기준 KT에스테이트의 '리마크빌'과 동탄·대구·하남·오송·양주 지역 공공 지원 민간 임대 주택 등 총 9223가구를 운영·관리하고 있다. KD리빙의 사명 변경 이유로는 지난해를 기점으로 KT에스테이트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KT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KT에스테이트는 KD리빙에 대한 지분을 49% 추가 취득했다. 이에 따라 KD리빙은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KT에스테이트의 공동 기업 및 관계 기업에서 '종속 기업'으로 분류됐다. KD리빙 설립 당시 자본금은 10억원으로 KT에스테이트가 51%, 다이와리빙이 49%를 각각 출자했다. KT그룹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지난해 3월 KT에스테이트와 다이와리빙의 계약이 종료된 이후 KD리빙의 사명 변경을 검토해온 것으로 안다"며 “최근 논의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만큼 이르면 다음달 초쯤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통신업계에서는 KT의 이같은 움직임을 탈통신 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임대주택 관리 역량을 강화해 지속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다. 통신사들은 주력 사업이던 무선 통신 시장 성장세가 둔화에 따라 비(非)통신 부문 신사업 비중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KT의 경우 이 과정에서 다른 통신사와 달리 에스테이트와 같은 주요 그룹사의 기여도가 두드러진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클라우드·금융·부동산 등 비통신 자회사의 실적 개선세가 그룹 매출을 뒷받침하는 구조라는 것이다. 실제 KT에스테이트의 지난해 매출은 5945억원으로 전년 대비 21.8% 증가했다. 오피스 임대 매출 증가와 호텔 사업 호조에 따른 것이다. 증권가에서는 KT에스테이트의 양호한 성장세가 올해도 유지되며 그룹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KT그룹 연결 자회사들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2% 증가할 전망"이라며 “호텔(에스테이트)·KT클라우드 등 핵심 자회사의 구조적 고성장과 BC카드 회복 등 탈통신 사업에서의 증익이 전사 호실적을 이끌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토교통부가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기업형 장기 임대주택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라는 점도 호재로 꼽힌다. KT에스테이트의 리마크빌은 대표적인 기업형 장기 임대주택이다. 국토부는 임대주택 의무 임대 기간이 20년인 기업형 장기 임대주택을 활성화해 전세 제도를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KT 관계자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부동산 사업 역량과 주기적인 포트폴리오 전략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공간 창출을 추진 중"이라며 “KD리빙은 지난해 당사 계열사로 편입됐고, 이에 따라 연결 범위 변동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태민 기자 etm@ekn.kr

금호타이어, 1분기 잠정실적 발표…영업익 1456억원

금호타이어는 2024년 1분기 잠정실적을 연결기준 매출 1조445억원, 영업이익 1456억원으로 29일 발표했다. 1분기 매출액은 신차용(OE) 타이어 공급 확대, 고수익 타이어를 비롯한 교체용(RE) 타이어 시장의 복합적인 성장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4.6% 성장하며 10년 내 1사분기 중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고수익 제품 중심의 믹스 개선, 글로벌 가격 안정화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7.0% 성장했다. 금호타이어는 올해 목표 매출액을 4조5600억으로 설정하고 18인치 이상 고인치 제품 판매 비중 42% 달성, 글로벌 OE 매출 기준 EV 타이어 비중 16% 이상 확보 등 비즈니스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1분기 매출 분석 결과 고인치 제품 판매는 41.2% 달성, EV 타이어 OE 납품 비중은 신규 차종(코나 EV, 싼타페 HEV 등) 확대 등으로 지난해 9% 수준에서 증가된 12% 수치를 확보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두산밥캣, 1Q 영업익 3260억원…전년비 11.8%↓

두산밥캣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3946억원·영업이익 326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0.4%, 영업이익은 11.8% 줄었다. 기저효과와 프로모션 비용 증가 및 북미 지역 소형장비 판매 호조 등이 엇갈렸다. 두산밥캣은 원화 약세로 달러 대비 매출·영업이익 감소폭이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당기순이익(2168억원)은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화평가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4.5% 늘어났다. 제품별로 보면 건설 및 농업·조경용 소형장비 매출은 달러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 하락했다. 산업차량 매출은 16% 축소됐다. 고금리로 인해 장비 구매가 이연된 탓이다. 포터블파워 매출도 16% 감소했다. 지역별로도 △북미 -2%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14% △아시아·라틴아메리카·오세아니아(ALAO) -6% 등 전 지역에서 매출이 하락했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지난해 역사적 호황을 지나 올해 숨 고르기 하는 상황이지만 북미 지역 경제지표를 고려했을 때 소형장비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며 “중동과 남미 등에서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