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노벨 생리의학상 해설] 면역의 ‘브레이크’를 찾아낸 사람들](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07.7d27d4c709484a76bdca6c18113addb2_T1.jpg)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일본의 시몬 사카구치(Shimon Sakaguchi), 미국의 메리 브런카우(Mary E. Brunkow), 프레드 램스델(Fred Ramsdell) 세 의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면역 체계가 외부의 적을 공격하면서도 자기 자신은 공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즉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Treg) 의 원리를 밝혀냄으로써 자가면역질환 연구의 지형을 완전히 뒤바꿨다. “정상적인 면역은 단순히 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멈추는 시간과 방법을 잘 아는 것이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그 칼날이 거꾸로 자신을 향할 때 우리는 류마티스 관절염, 제1형 당뇨, 전신홍반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받게 된다. 사카구치는 1990년대 초, 기존 면역학이 설명하지 못하던 현상인 “왜 어떤 T세포는 대부분의 T세포와는 다르게 오히려 면역반응을 억제하는가?"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그는 조절 T세포(Treg) 라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후 미국의 브런카우와 램스델은 희귀한 자가면역성 생쥐 모델을 통해 이 T세포에서 Foxp3 유전자가 제일 중요한 조절인자임을 밝혀냈다. Foxp3 유전자의 결함과 이상은 면역 균형을 무너뜨리고, 결국 몸이 스스로를 공격하는 비정상적인 면역상태, 즉 자가면역질환을 초래한다. 세 학자의 연구를 통해서 자가면역질환은 단순히 공격성 과잉 면역의 문제도 있었지만, '면역의 브레이크가 고장 난 상태'도 중요한 원인임을 밝혔다. 이 발견 이후, 전 세계 자가면역 연구는 단순히 '면역 억제'가 아니라 '면역 균형 회복'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예전의 치료제들은 면역반응 광범위하게 억제하여 부작용을 초래했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조절 T세포를 강화해 필요한 면역은 살리고, 과도한 면역만 조절하는 선택적 접근전략이 가능해졌다. 최근에는 환자 자신의 조절 T세포를 확장하거나, iPSC에서 유래한 CAR-Treg 세포치료제로 이식 거부반응이나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임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번 노벨상은 단순히 면역조절세포 하나의 기능을 밝힌 연구가 아니라, 인간 면역계가 자기와 타인을 구분하는 철학적 기준을 제시한 상징적 사건이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이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고 공격하는 상태"이고, 조절 T세포는 '그 기억을 되찾게 하여 공격을 멈추게 하는' 생체 내의 조화 메커니즘이다. 이 균형의 회복을 어떻게 인위적으로 구현할 것인가가 최근 면역학이 고민하는 큰 주제로서, 이번 노벨상 수상자들이 우리에게 남긴 숙제이다. 한국에서도 최근 CAR-Treg 혹은 iPSC-Treg 기반 치료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고, 특히 장기이식, 자가면역질환 등에서 조절 T세포의 조절기전을 활용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글=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주지현 교수 박효순 기자 anyto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