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로를 가다①] 용산역 일대, 철도뷰→파크뷰 된다…지하화에 ‘두근 두근’](http://www.ekn.kr/mnt/thum/202411/news-p.v1.20241031.f350250f466d40a7bc5f27ec428ef4a5_T1.jpg)
“침체됐던 용산역 서부 지역이 천지개벽 수준으로 발전할 겁니다." (용산역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 지난달 31일 찾은 용산역 일대는 평소와 마찬가지로 북적였다. 업무지구가 몰려있는 광장 쪽 1번출구로 사람들이 끊임없이 오갔다. 역이 철로 위에 있다 보니 밖으로 나가는 데 시간이 한참 소요된다. 건물 3층 이상 높이인데 에스컬레이터가 몇 개 없다. 이 때문에 인파가 뒤엉켜 눈살을 찌푸릴 광경도 간혹 연출됐다. 같은 시각 전자상가가 있는 서쪽 출구는 상대적으로 인적이 드물었다. 끊임없이 오가는 고속열차, 일반열차, 지하철 소리가 성가시게 들려올 뿐이다. 기차가 들어온다는 사실을 알리는 경고음은 유독 신경을 자극했다. 3번출구 쪽에 꽤 큰 호텔이 있음에도 지나다니는 길이 삭막하게 느껴졌다. 용산역은 주요 지하철과 KTX·ITX 등이 지나는 교통의 요지다. 유동인구가 많고 출퇴근길이 붐빈다. 대형 쇼핑몰인 아이파크몰도 들어서 있다. 대부분 시설은 복선 기찻길이 여러 갈래로 뻗어있는 공간 위에 조성돼 있다. 이 때문에 이동이 불편하고 양쪽은 단절돼 있다. 주민들 역시 불편을 겪고 있다. 철로가 워낙 많아 미관상 좋지 않은데다 소음·분진 등에도 시달려야 한다. 한강대교로 이어지는 대교 통행량도 많은 편이다. 삼각지역, 남영역, 서울역으로 이어지는 라인 상황이 거의 비슷하다. 시장에서는 서울시 '철도 지하화' 작업이 순항할 경우 용산역 인근 동·서 균형발전과 집값 상승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가 추진 중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당하다. 코레일이 정비창으로 쓰던 용산역 뒤편 49만5000㎡ 부지를 세계 최대 규모 수직도시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사실상 '혐오시설'인 지상철도가 사라지면 토지 분양이나 글로벌 기업 유치 등에 속도가 날 것으로 예측된다. 전자상가 근처에서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초고층 건물과 함께 공사가 진행되고 나면 이쪽(서쪽) 지역 가치가 확실히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용산역 동쪽으로 들어선 대규모 업무·상업지구가 확장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노후화한 건물을 리모델링하거나 새롭게 고층빌딩을 올리는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곳에서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B씨도 “용산역 1층에 상가가 생기고 여기에 '핫한' 브랜드가 들어선다고 가정하면 아이파크몰도 (방문객이 늘어나는) 혜택을 함께 누리고 서쪽 지역도 크게 개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용산구는 상부 부지 개발 구상안을 마련해 시에 전달한 상태다. 서울역부터 한강철교까지 경부선 구간을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연계한 '글로벌 업무벨트'로 육성한다는 게 골자다. 한남역쪽으로 가는 경원선은 용산공원과 연결되는 녹지로 조성할 방침이다. 다만 주민들은 경부선 라인을 '연트럴파크'처럼 꾸미길 바란다고 전해진다. 인근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집을 고르며 '뷰'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철도뷰'가 '파크뷰'로 바뀌면 집값 상승이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공인중개사들은 시의 철도 지하화 발표 이후 당장 달라진 점은 전혀 없다고 입을 모았다. 10년 이상을 바라봐야 하는 장기 공사인데다 현실화에 대한 의문도 여전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매물로 내놓은 집 호가를 올린 사례도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오히려 원효대교 북단 등 지역에서 최근 이슈를 들어 투자자를 유혹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는 모습이다. 상업·업무지구가 더 커질 경우 교통체계 역시 개선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철도를 지하화해도 이용객 수는 꾸준할텐데 여기에 초고층 건물 등이 들어서면 교통난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철도로 인해 단절돼 있던 구역 정비와 기존 도로 확충 관련 계획을 세워야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과 철도 지하화 모두 오세훈 시장 생각인 만큼 정상적으로 추진된다면 시너지가 상당할 것"이라고 봤다. 김진유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철도 지하화는 철로만의 문제가 아니고 도시 구조 연결성의 문제"라며 “(철도가 지하로 가도) 어차피 통행량이나 시간은 차이가 없는데 지상부가 연결되기 때문에 그 땅을 통해서 상호간 교류가 일어나고 노후했던 곳이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용산역만 놓고 봐도 서부 지역에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헌우 기자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