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증시 종합] 삼성전자·화재, 신풍제약·우, SK하닉, 셀트리온·제약, 대웅제약, 보령 등 주가↑

7일 코스피 지수가 전장 대비 46.26p(1.83%) 오른 2568.41에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6.88p(0.27%) 내린 2515.27로 출발해 장 초반 1% 안팎 상승률을 유지했다. 이후 엔/달러 환율 반등 영향에 상승폭을 2%대로 키웠다. 장중 우치다 신이치 일본은행 부총재가 “금융 자본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금리 인상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 발언이 전해지면서다. 그러나 장 후반 상승률이 다시 내려앉아 이틀 연속 2500대에 마쳤고, 역대 최대였던 지난 5일 234.64p 낙폭을 만회하기에는 다소 애매한 회복력이었다. 지난 1일 코스피 지수 종가는 2777.68이었다. 전날보다 15.67p(2.14%) 올라 748.54로 마친 코스닥 지수도 연이틀 동반 상승세를 보여 유사한 흐름이었다. 이날 상승으로 국내 증시에서 미국발 경기 침체 공포는 잦아들었지만, 변동성 장세가 펼쳐질 가능성은 여전히 유의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06억원, 기관은 363억원 순매도했고, 개인은 2954억원 매수 우위였다.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렬이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장중 내내 매수 우위를 보였지만, 장 막판 2698억원 순매도로 돌아섰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604억원 순매도했고, 개인은 1253억원, 기관은 334억원 순매수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보다 1.2원 오른 1376.8원을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730개 종목이 올랐고, 176개 종목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1, 2위인 삼성전자(3.03%)와 SK하이닉스(3.42%)는 동반 상승했다. 개장 전 로이터통신은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에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인 HBM3E(8단)를 납품하기 위한 퀄테스트(품질 검증)를 통과했다고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이와 관련 “고객사 관련 내용은 확인 불가"라면서도 “주요 고객들과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시총 상위 종목 중 현대차(0.43%), 한화에어로스페이스(5.68%), 한국전력(2.58%) 등을 비롯해 KB금융(2.64%), 신한지주(0.94%), 하나금융지주(2.77%), 메리츠금융지주(6.33%), 우리금융지주(2.69%), 삼성화재(6.75%) 등 금융주가 크게 올랐다. 전날 시장 기대치를 밑돈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아모레퍼시픽은 24.91% 급락했고, 코스맥스(-5.36%), 한국콜마(-2.51%) 등 화장품 종목도 동반 약세였다. 업종별로는 크게 오른 의료정밀(6.79%), 의약품(5.07%) 등 헬스케어 관련 종목을 비롯, 통신업(3.91%), 보험(3.51%), 음식료품(2.78%) 등 대부분이 상승했다. 셀트리온은 2분기 매출이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하면서 8.24% 뛰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3.45%), 신풍제약우(18.13%), 한올바이오파마(11.6%), 대웅제약(10.88%), 보령(10.81%), 신풍제약(9.46%) 등도 강세를 보였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중 알테오젠(1.79%), HLB(2.62%), 삼천당제약(4.39%), 셀트리온제약(7.53%), 리가켐바이오(7.43%), 휴젤(12.83%), 파마리서치(7.5%) 등 헬스케어 종목이 크게 올랐다. 반면 에코프로비엠(-3.76%), 에코프로(-3.17%) 등은 하락했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

반등중인 건설株… 증권업계는 “아직 지켜봐야” 관망 의견

부동산 경기회복세에 건설주가 반등하고 있지만, 증권가에서는 관망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주가 상승에도 실적 추정치 상향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평가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GS건설은 7월 8일부터 이날까지 10.71% 상승했다. 같은 기간 HDC현대산업개발(10.53%)과 삼성E&A(10.29%)도 10% 이상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10.2% 하락하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건설주의 상승세는 서울시 주요 아파트 가격 상승과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다섯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달 5주 차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28% 상승하며 19주 연속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도 지난 3월 말 이후 4개월 넘게 상승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건설 업황 자체가 회복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변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특히 작년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가 위기설에 심리적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점도 건설종목엔 부담이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금리 불안이 해소되고, 국내 부동산 경기가 회복세가 완연한 만큼 지속적인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이 눈에 띄고 있다"며 “서울 중심의 부동산 가격과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있어 국내 건설 수주 환경이 개선되고 있지만, 건설 업황 자체가 개선됐다고 보긴 힘들다"고 설명했다. 건설주가 지난달 크게 상승했으나, 실적 추정치의 상향은 이뤄지지 못한 만큼 관망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밸류에이션에 다소 부담이 되는 구간에서의 매크로의 변수는 상승보다 하락의 여지가 크다는 것이다. 매출액의 증가 여부보다도 마진의 개선여부가 중요하단 판단도 있다. 건설사들의 2분기 실적 보면, 주택건축 마진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다.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의 경우 시장 기대 이상의 주택건축 마진을 기록했고, 주가가 반영됐다. 반면, 주택건축 마진이 떨어졌던 건설사들의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DL이앤씨와 현대건설의 주가가 한 달 새 각각 5.65%, 7.13% 떨어진 점도 같은 이유였다. 올해 하반기 건설사 수주물량은 늘어나고 있지만, 상반기만큼의 마진이 나오긴 힘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대부분 2025년 하반기 혹은 2026년에 마진이 개선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에도 수주물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동남아를 중심으로 원가 상승이 계약금 증액으로 이어지지 못한 모습이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주택건축 마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워져 2024~2025년의 순이익 추정치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못했다"며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거래량 증가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지만, 단기적으로 미국발 경기침체 여부에 따라 부동산 수요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건설주에 대한 관망 의견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게임 사업 본격 진출한다는 하이브…주주 반발 진통

하이브가 신성장 전략인 '하이브 2.0'을 발표하고 게임업으로의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선포했다. 다만 본업인 음악 사업과의 연관성이 낮은 데다 게임 사업 진출이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주주들 역시 “본업에 충실하라"며 반발하는 양상이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하이브는 올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6405억원, 영업이익 50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해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지만 영업이익은 37.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도 85.9% 감소한 165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감소한 데는 게임 사업 부문에서의 부진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 2022년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해 지난 4월 정식 오픈한 '별이 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이 흥행 부진을 겪으면서 영업이익 하락에 타격을 준 것이다. 2분기 실적 하락에도 하이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게임 산업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하이브는 지난 1일 주주들에게 보내는 주주서한을 통해 관련 내용을 전달했다. 하이브는 주주서한에서 “지난 몇 년간 가파른 고속 성장을 하는 동안 미래의 성장 방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왔다"며 “시장 내 주도적 사업자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는 선제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하이브 2.0'에 대해 공유드리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하이브 2.0'은 하이브의 새로운 사업 전략이다. 기존에 레이블·솔루션·플랫폼으로 구성됐던 하이브의 3대 사업영역을 음악·플랫폼·테크기반 미래성장 사업으로 재편한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여기서 언급한 테크기반 미래성장 사업의 주축이 바로 게임 사업이다. 현재 인큐베이팅 중인 게임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해 미래형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주주서한의 연장선으로 하이브는 이날 개최한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하이브 2.0'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재상 하이브 신임 최고경영자(CEO)는 컨퍼런스콜에서 “엔터 콘텐츠 소비 패턴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테크 기반 엔터 신사업 기회를 탐색하고 넥스트 엔터테인먼트로의 확장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주들은 하이브의 게임 사업 진출을 반기지 않고 있다. 게임 사업 자체가 이미 경쟁이 포화 상태인데 굳이 무리하게 투자하면서 뛰어드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진행된 질의응답에서도 게임 사업이 하이브의 기존 사업과의 연결성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게임 사업 때문에 기대치에 못 미치는 실적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이브 종목토론방에는 “멀티레이블 시스템을 고도화해서 위버스 플랫폼 확장에 집중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인데 이 시점에 게임과 엔터사업을 둘 다 잡으려고 한다", “다른 메이저 게임사도 죽 쑤고 있는데 게임 사업을 왜 하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김혜영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4월 자회사인 하이브IM이 출시한 '별이 되어라2'가 기대 이하의 매출을 기록했고 출시를 앞둔 던전스토커스도 기대가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게임 산업은 엔터 사업과 같은 지식재산권(IP) 산업이지만 성장이 정체되고 경쟁 수준이 높은 분야"라고 지적했다. 주주들의 의견과는 반대로 하이브는 내년부터 자체 개발 IP를 포함한 다양한 게임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하이브는 이미 게임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회사를 통해 게임 사업 진출의 밑그림을 그려왔다. 자회사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단행해온 점이 그 근거다. 하이브는 게임 사업 자회사인 하이브IM이 추진하는 3자 배정 유상증자에 174억5800만원을 출자한다고 지난 6일 공시했다. 출자 목적은 게임사업 역량 강화다. 지난해에도 하이브와 하이브IM은 게임 개발사에 총 32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한 바 있다. 이후 하이브IM은 게임 퍼블리싱을 통해 게임 라인업을 다양하게 구축해왔다. 하이브 측은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언급된 우려들에 대해 “게임 사업을 하는 이유는 현재가 아닌 미래 지향적인 것으로 미래 사업 모델을 빠르게 추진하고 미래와 연결하려는 목적"이라며 “향후 하이브 아티스트를 게임에 연계시키는 등의 콜라보를 추진할 계획도 있다"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통과 아니지만”…삼성전자, HBM3E 본격 공급 기대감에 반등 시동

삼성전자 주가가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의 엔비디아 퀄테스트(품질 검증) 통과 여부에 대한 보도에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엔비디아향 HBM 공급 기대감과 매출 확대, D램 수익성 개선에 따른 호실적 전망이 나오고 있는 만큼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이날 2200원(3.03%) 오른 7만4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일과 5일 급락장 속 하락분도 일부 만회하는 중이다. 이날 장중에는 전장 대비 4% 이상 올라 7만5000원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이날 장 시작과 동시에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인공지능(AI)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8단)를 납품하기 위한 퀄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5세대 HBM 가운데 HBM3E(12단)에 대한 테스트는 아직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주요 고객들과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며 “12단뿐 아니라 8단도 여전히 퀄테스트가 진행중"이라고 즉각 보도를 부인했다.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퀄테스트 통과 보도 부인에도 시장은 기대감에 찬 모습이다. 퀄테스트 통과는 물론, 올 연말 본격적인 공급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도 올해 중 HBM3E 납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지난달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HBM3E 8단 제품은 고객사 평가를 정상적으로 진행 중인데, 3분기 중 양산 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HBM3E 12단도 이미 양산 준비를 마쳤고 복수의 고객사들 요청 일정에 맞춰 하반기에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도 삼성전자가 올 4분기부터 엔비디아, AMD, 아마존, 구글 등에 HBM3E를 본격적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삼성전자가 밝힌 공급시기는 3분기 중이지만, 최근 불거진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설계 결함 논란 등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단 분석이다. 엔비디아가 HBM3E를 탑재한 GB200의 설계 등을 검토할 땐 삼성전자의 HBM3E 공급이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GB200'은 HBM3E 8개를 탑재한 'B200' 2개와 CPU를 붙여 '슈퍼칩'이라고 불린다. 이에 따라 만일 4분기 삼성전자의 HBM 공급 본격화가 이뤄진다면 삼성전자 전체 HBM 매출에서 차지하는 HBM3E 매출 비중은 4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적 상승과 함께 주가 반등도 기대해볼만 하단 게 증권가의 의견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올 4분기부터 엔비디아, AMD, 아마존, 구글 등에 HBM3E 공급 본격화가 전망되는데, 하반기 HBM 사업 본궤도 진입하고 내년에는 사상 최대 실적을 낼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내년 추정 실적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R) 1.1배, 주가수익비율(PER) 9.1배를 기록해 바겐세일이라고 말할 정도로 매력적인 구간에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셀리드 유상증자, 청약률 85%에도 목표 자금 확보 ‘하늘이 도왔나’

코스닥 제약·바이오업체 셀리드가 유상증자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 최근 진행한 232억원 규모 유상증자에서 내년 2분기까지의 신약 개발 비용을 확보하는 데 성공해서다. 올해 셀리드 주가가 곤두박질치며 자금 조달도 실패할 것으로 보였지만, 최종 발행가액 확정 직전 주가가 크게 폭등하며 대규모 자금을 모을 수 있었다. 증권가에서는 호재에 비해 셀리드 주가에 과도한 수급 쏠림이 보인다며 우려를 표한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셀리드 주가는 전일 대비 5.39% 하락한 59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은 하락 마감했지만 7월까지만 해도 1700원대에 불과하던 주가는 같은 달 23일부터 급등을 거듭해 6000원선 가까이 올라섰다. 23일부터 26일까지 4거래일 동안 매일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가 상승 외에도 셀리드는 최근 진행한 232억원 규모 유상증자에서 구주주들로부터 195억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셀리드는 이를 성공적인 유상증자로 보고 있다. 주가 급등으로 인해 최종 신주 발행가액(3090원)이 2차 발행가액(1462원)의 두 배가 됐지만 구주주의 85.63%나 청약에 응했기 때문이다. 발행가액이 뛰었어도 현 주가 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이 구주주들의 투자심리를 이끈 것으로 해석된다. 그간 셀리드는 유상증자를 두고 많은 부침을 겪어왔다. 지난 5월 첫 유상증자를 공시했던 당시 목표 조달 금액은 175억원 규모였으나 시장에서는 추가 자금 조달 가능성을 점치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작년 매출 0원을 기록한 셀리드는 관리종목 지정을 피하기 위해 제빵회사 '포베이커'를 인수하는 등 현금 지출이 많았다. 그런 상황에서 175억원으로는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백신 개발 비용을 충당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내년 2분기까지 투입될 코로나19 백신 개발 비용으로만 192억원으로 예상됐다. 이후에도 셀리드 주가는 점점 낮아져 2차 발행가액 공시 당시에는 조달 금액이 109억원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주주들의 민심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높은 청약률을 기대하기도 어려웠다. 하지만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오면서 충분한 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셀리드에 다가온 호재는 바로 특허 등록 소식이었다. 현재 셀리드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에 적용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 기술이 미국과 러시아에서 특허 등록된 것으로, 셀리드의 기술력이 세계에서 인정받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번 유상증자 성공으로 인해 회사가 현재 진행 중인 신약 개발은 내년 2분기까지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현재와 같은 주가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셀리드의 개인 주주들도 한시름 놓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셀리드의 현재 주가가 고평가 됐다는 우려 또한 나오는 상황이다. 알려진 호재에 비해 주가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이다. 한 증권사 제약·바이오 담당 연구원은 “지금 코로나가 재유행한다 하더라도 유의미한 수요 증가는 불확실하다"며 “지금 특허 등록을 했다고 해서 해당 백신이 언제 상품화될지도 가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 연구원도 “특허 등록이 좋은 소식인 것은 맞지만, 권리를 실시하는 것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고 신약 개발의 수많은 과정 중 하나에 불과하다"며 “시판되는 메이저 백신의 매출도 그리 높지 않은 상황에서 얼마나 시장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2500대 머물고 있는 코스피…폭락분 회복까지 ‘아직’

코스피가 폭락장을 딛고 연이틀 오름세를 보이며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상승률은 1% 안팎에 머물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 25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3.50포인트(1.36%) 오른 2,566.40을 기록하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6.88포인트(0.27%) 내린 2,515.27로 출발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56억원, 2747억원 동반 순매도를 하고 있고, 개인은 4396억원 매수 우위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렬이다. 전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80.60포인트(3.3%) 오른 2,522.15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5일 미국발 경기 침체 공포에 따른 폭락을 딛고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역대 최대였던 234.64포인트 하락분을 만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지난 1일 코스피 지수 종가는 2,777.68이었다. 일본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가 전날 10.2% 오른 데 이어 이날에도 현재 0.63% 상승을 보이면서 지난 5일 폭락분(-12.4%)을 상당 부분 회복하고 있는 점과도 대조적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1원 오른 1,375.7원으로 보합 출발했다.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2.21%)는 상승세고,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자인 SK하이닉스(-2.26%)는 약세다. 개장 전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8단)를 납품하기 위한 퀄테스트(품질 검증)를 통과했다는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시총 상위 종목 중 삼성바이오로직스(3.34%), 현대차(0.85%), 셀트리온(7.97%), NAVER(1.58%), 삼성물산(1.47%), 삼성생명(1.53%), 메리츠금융지주(5.28%) 등이 오르고 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0.59%), 기아(-2.43%), 포스코홀딩스(-0.76%), 삼성SDI(-0.47%), 현대모비스(-0.94%), 포스코퓨처엠(-2.07%) 등이 내리고 있다. 전날 시장 기대치를 밑돈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아모레퍼시픽은 24.31% 급락하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11.49포인트(1.57%) 오른 744.36다. 코스닥 지수도 0.14% 내린 731.82에서 출발해 오름폭을 키웠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11억원, 237억원 순매도하고 있고, 개인은 1500억원 순매수 중이다.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 에코프로비엠(-2.98%), 에코프로(-2.51%), 엔켐(-3.39%) 등이 약세고, 알테오젠(2.69%), HLB(3.61%), 삼천당제약(0.44%), 셀트리온제약(11.02%), 리가켐바이오(8.87%) 등이 오르고 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미래에셋증권, 자사주 1000만주 매입·소각 ‘밸류업 약속 이행’

미래에셋증권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 및 소각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약속한 밸류업 이행 의지를 보인 결과다. 당시 미래에셋증권은 자사주 보통주 1000만주 매입 및 소각 완료 후 주주환원정책을 이어갈 것을 밝힌 바 있다. 이번에 취득 예정인 보통주 1000만주는 유통주식 수의 약 2.2%다. 미래에셋증권은 오는 8일부터 11월 7일까지 3개월 내로 장내 주식시장에서 매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자사주 취득 완료 후에는 1000만주를 소각할 예정이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주주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며 “앞으로도 일관되고 예측가능한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주주와 함께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특징주] 한양증권우, 매각 기대감에 3거래일 연속 上

한양증권 우선주가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지난 2일 KCGI가 한양증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연일 고공행진하는 양상이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8분 기준 한양증권우는 전 거래일 대비 7250원(29.90%) 오른 3만1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5일부터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며 52주 신고가를 연일 갈아치우고 있다. 한양증권우가 3거래일 연속 급등한 데는 한양증권 매각 기대감이 작용했다. 앞서 한양증권은 지난 2일 최대 주주 등 지분 매각 관련 우선협상 대상자로 '강성부 펀드'로 불리는 KCGI를 선정했다고 공시했다. 매매 주식은 보통주 376만6973주(29.6%)로 매각 가격은 1주당 6만5000원으로 2448억5324만원이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특징주] 삼성전자, HBM3E, 엔비디아 검증 통과 소식에 1%대 상승

삼성전자가 장 초반 1%대 상승 퀄테스트(품질 검증) 엔비디아에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공급을 위한 퀄테스트(품질 검증)통과 소식이 전해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오전 9시16분 기준 전 거래일 개비 1300원(1.79%) 오른 7만3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로이터는 3명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퀄테스트통과로 삼성전자와 엔비디아가 조만간 공급 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며, 4분기부터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5세대 HBM 가운데 HBM3E(12단)에 대한 테스트는 아직 진행 중이라고 알렸다. 엔비디아와 삼성전자 측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답변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특징주] 아주스틸, 동국제강 인수 소식에 장 초반 18% 강세

아주스틸이 장 초반 두 자릿 수 강세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5분경 아주스틸 주가는 전일 대비 18.43% 오른 7390원에 거래 중이다. 최근 동국제강 산하 동국씨엠은 아주스틸의 지분 42.5%를 785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후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862만주를 500억원에 인수한다. 동국씨엠은 연내 절차를 거쳐 아주스틸을 종속기업으로 편입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가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동국씨엠의 컬러강판 시장 점유율은 세계 및 내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배너